1 |
박기문, 최유현, 홍준희, 이규녀, 문성환, 태진미, 이경표, 민봉기, 노경숙(2014). 융합인재교육의 핵심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3), 214-234.
|
2 |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3 |
이현주, 하지훈, 곽영순(2020).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의 현장 적용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 및 학생의 인식. 교육과학연구, 22(2), 1-23.
|
4 |
채희인, 노석구(2015). 범교과적 핵심역량과 과학핵심역량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의 네트워크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23-40.
|
5 |
송경오, 박민정(2007).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특징과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 34(4), 155-183.
DOI
|
6 |
강명희, 김민정, 김보경, 유지원(2013). 21세기 초등학생의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교육방법연구, 25(2), 373-402.
DOI
|
7 |
최상덕, 서영인, 황은희, 최영섭, 장상현, 김영철(2013).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 생태계 구축(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8 |
Griffin, F., Care, E., & McGaw, B. (2012). The changing role of education and schools. In F. Griffin, B. McGaw, & E. Care (Eds.),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pp. 1-15). New York: Springer.
|
9 |
Barzilai, S., & Zohar, A. (2014). Reconsidering personal epistemology as metacognition: A multifaceted approach to the analysis of epistemic think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9(1), 13-35.
DOI
|
10 |
Holmes, G., & Hooper, N. (2000). Core competence and education. Higher Education, 40, 247-258.
DOI
|
11 |
Krippendorff, K. (2004).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
12 |
Moore, D. R., Cheng, M. I., & Dainty, A. R. (2002). Competence, competency and competencies: Performance assessment in organisations. Work Study, 51(6), 314-319.
DOI
|
13 |
Thomas, J. W.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San Rafael, CA: The Autodesk Foundation.
|
14 |
Trilling, B., & Fedal, C. (2009).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15 |
박재진(2014). 역량 중심의 과학 영재 교육을 위한 과학자의 핵심 역량 모델 개발 및 타당화. 영재교육연구, 24(4), 509-541.
DOI
|
16 |
고은정, 정대홍(2014). 과학교과서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6), 535-547.
DOI
|
17 |
김현섭, 이태교, 방경현(2019).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통합과학 교과서의 반영 순위 및 학생들의 인식 비교 분석. 현장과학교육, 13(1), 63-77.
DOI
|
18 |
박재근(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탐구 활동에 반영된 과학과 핵심역량의 분석. 생물교육, 47(4), 509-521.
DOI
|
19 |
송신철, 심규철(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나타난 과학과 교과역량 분석. 생물교육, 48(1), 1-9.
DOI
|
20 |
Hammer, D., & Elby, A. (2002). On the form of a personal epistemology. In B. K. Hofer & P. R. Pintrich (Eds.),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 169-190). Mahwah, NJ: Erlbaum.
|
21 |
Holsti, O. R. (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ading, MA: Addison-Wesley.
|
22 |
Lucia, A. D., & Lepsinger, R. (1999).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23 |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DOI
|
24 |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DeSeCo) : Summary of the final report. OECD Press.
|
25 |
하지훈, 신영준(2016). 핵심역량과 과학과 교과역량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35(4), 426-441.
|
26 |
이지성(2015). 우리는 불행하게 살도록 교육받았다. http://www.seoulpost.co.kr/news/30745.
|
27 |
채희인(2017). 과학핵심역량의 재구조화에 기반한 초등과학 수업전략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안양.
|
28 |
최현미, 김현섭(2020).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중학교 과학1 교과서의 반영 순위 및 학생들의 인식 분석. 현장과학교육, 14(3), 353-364.
DOI
|
29 |
이상하, 박도영, 박상욱, 최인봉, 구남욱, 이은경(2014). 미래사회 핵심역량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교육평가정책의 방향.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30 |
Weber, R. P. (1985). Basic content analysis. Beverly Hills, CA: SAGE.
|
31 |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학연구, 25(3), 1-21.
|
32 |
Pring, R. (1995). Closing the gap: Lib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preparation. London: Hodder & Stought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