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4.347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 of Use about STEAM : Focusing on Concern-Based Adoption Model  

Lee, Suki (목포가톨릭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ge of concern and us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EAM,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age of concern according to individual teachers' variables. The subjects were 242 teachers in charge of 3-5 years old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in G city. The research tool was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SoCQ). The collected data were converted to relative intensity by applying percentile conversion chart in the guidelines, and this was expressed as a concern profile graph, and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concern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ge of concer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STEAM was identified as a critical non-user profile. Second, the stage of concern in the teacher's STEAM was judged as a person who did not use, or was implemented for less than 2 years, and was a non-user or a novi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teachers did not receive formal education for STEAM.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current execution status of teachers, whether or not to take related course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whether to plan for future implementation.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ajors and institution types of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a support plan for changing the stage of concern of teachers about STEAM and improving the level of use was suggested.
Keywords
STEAM; Stage of Concern; Level of Use; CBAM; Early Childhood Teach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A. A. George, G. E. Hall, and S. M. Stiegelbauer, Measuring implementation in schools: The stage of concern questionnaire. 2013. available on the web at: http://www.sedl.org/cbam/socq_manual_201410.pdf
2 G. E. Hall and S. M. Hord, Change in schools: Facilitating the proces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7.
3 L. Kats, "STEM in early years,"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Vol.12, No.2, 2010. available on the web at: http://ecrp.illinois.edu/beyond/seed/katz.html
4 박선미, 정지현, 강민정, "유치원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462-471, 2018.   DOI
5 이민영, 코딩(Coding)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 및 인식,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6 최형윤, 창의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STEAM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역할,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7 E. Spaepan, "Early STEM matters: Providing high-quality STEM experiences for all young learners," A policy report by the early childhood STEM Working Group, 2017. available on the web at: http://d3lwefg3pyezlb.cloudfront.net/docs/Early_STEM_Matters_FINAL.pdf
8 오희진, 과학교사의 STEM 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STEM-PCK 변화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9 문대영,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교사의 관심 단계와 활용수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8권, 제1호, pp.35-52, 2015.
10 박현주, 심재호, 권혁수, 김영민, "STEAM교육을 경험한 교사들의 STEAM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CBAM의 관심단계. 실행수준, 실행행태를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제57권, 제4호, pp.549-562, 2018.   DOI
11 장승희,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유아예비교사의 관심도 분석,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2 조아라,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들의 관심과 활용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13 조수현, 박창언,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초등교원의 관심도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p.743-755, 2013.   DOI
14 김해영, 김수환, "SW교육 도입에 따른 교사들의 관심 단계 및 개인적 특성과의 연관성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387-400, 2016.   DOI
15 채희순, 노석구,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 분석," 초등과학교육, 제33권, 제4호, pp.634-645, 2014.
16 김민아, 김승희,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성화 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3권, 제5호, pp.65-91, 2017.   DOI
17 이미진, 김은정, "유아교사의 STEAM 교육 적용에 대한 인식 및 교사교육 방안에 대한 요구," 유아교육학논집, 제21권, 제1호, pp.63-88, 2017.
18 류제련,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도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9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적 과학기술인재대국을 위한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1~15)」,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 김진솔, 이정민, "관심중심 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초등교사의 SW교육관심도 및 실행수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8호, pp.75-87, 2020.   DOI
21 김미경, 고영화, "국내 유아교육에서의 STEAM 교육 연구동향 분석 및 교육적 함의," 유아교육학논집, 제22권, 제6호, pp.359-384, 2018.
22 김미성, 4차 산업혁명과 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분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23 조형숙, 김선월, 김지혜, 김민정, 김남연, (삶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유아과학교육, 서울:학지사, 2016.
24 이수기, 윤은경, "STEAM(융합인재교육)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746-759, 2016.   DOI
25 이수기, "유아를 위한 공학중심(융합인재교육(E-STEAM)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211-225. 2019.   DOI
26 서울특별시 교육청 유아교육진흥원, (누리과정내실화를위한)유아STEAM교육프로그램, 서울특별시교육 청유아교육진흥원, 2018.
27 J. D. Chesloff, "STEM Education Must Star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ek, Vol.32, pp.32-27, 2013. available on the web at: https://www.edweek.org/ew/articles/2013/03/06/23chesloff.h32.html
28 S. Moomaw, Teaching STEM in the early years: Activities for integrating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MN: Redleaf Press. 2013.
29 J. M. Sneideman, "Engaging children in STEM education early!," 2013. available on the web at: http://naturalstart.org/feature-stories/engaging-children-stem-education-early
30 박경숙, 김용기, 전재돈, 이효녕,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초등 교사의 관심도 변화에 관한 탐색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제39권, 제1호, pp.99-112, 2015.
31 곽혜정, 류희수,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제40권, 제1호, pp.72-89, 201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