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2.226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 Against the Disinformation: the Possibility of Citizen Participation  

Chung, Yeonwoo (세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study seeks to present ways to form and express political opinions while monitoring, regulating and critically accepting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false information and platforms, which are spread channel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First, it logically identified the unfairness of legal regulations on false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is often practically impossible to judge whether false information is false or not, and even false information can sometimes fall within the category of freedom of expression protection. It also revealed that voluntary regulation by platform operators was limited. As an alternative, it was theoretically clear whether civil society should participate in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democratic public debate sites and create social discourse. The specific method is to find and classify false information and share it with citizens to raise awareness. Second, it forms an autonomous cooperative system with platform operators and others. Third, develop critical media capacity of citizens. Fourth, it responds to producers and platform operators of false information while engaging in community activities as a direct practitioner.
Keywords
Disinformation; Public Sphere; Citizenship; Civic Particip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N. A. Karlova and K. E. Fisher, "A social diffusion model of mis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human information behaviour," Information Research, Vol.18, No.1, pp.1-17, 2013.
2 양정애, "일반시민들이 생각하는 '뉴스'와 '가짜뉴스'," Media Issue, 제5권, 제1호, pp.1-15, 2019.
3 Ireton, Cherilyn and Julie Posetti, Journalism, 'Fake News' & Disinformation, Paris, France: UNESCO, 2018.
4 박아란, "'가짜뉴스'와 온라인 허위정보(disinformation) 규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언론정보연구, 제56권, 제2호, pp.113-155, 2019.
5 박경신, "허위사실유포죄의 위헌성에 대한 비교법적 분석," 법학연구, 제12권, 제1호, pp.1-44, 2009.
6 오일석, 지성우, 정운갑, "가짜뉴스에 대한 규범적 고찰," 미국헌법연구, Vol.29, No.1, pp.157-193, 2018.
7 이상기, 손나리, "페이크 뉴스 (Fake News)에 대한 수용자들의 비판적 대응은 가능한가?,"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9권, 제1호, pp.19-537, 2018.
8 박신욱, "독일의 가짜정보 대응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육법학연구, 제30권, 제3호, pp.269-304, 2018.
9 김창화, "미국의 가짜 뉴스 대응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敎育法學硏究, Vol.30, No.3, pp.1-22, 2018.
10 황용석, 권오성,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인터넷서비스 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언론과 법, 제16권, 제1호, pp.53-101, 2017.
11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시민사회의 시민교육 체계 구축 과정 연구, 2016.
12 송호근, "한국의 시민과 시민사회의 형성," 지식의 지평, Vol.20, pp.1-18,2016.
13 심성보, "인성교육에 대한 "시민성" 접근," 교육비평, Vol.36, pp.162-181, 2015.
14 송경재, 정보네트워크 사회,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자본과 시민참여 연구: 밀레니얼 소셜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Vol.28, No.3, pp.85-111, 2019.
15 R. Putn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York: Simon Schuster. 2000.
16 김세원, "시민-인성 통합 교육 모색을 위한 한나 아렌트의 '소통하는 시민' 개념 연구 - 국내 아렌트 철학연구 흐름을 배경으로," 수사학, Vol.35, pp.33-67, 2019.
17 M. Crenson and B. Ginsberg, Dowonsizing Democracy:How America Sidelined Its Citizens and Privatized Its Public, Baltimore: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2.
18 정연우, "한국시민언론운동의 특성과 전망,"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1, No.1, pp.122-152, 2017.
19 김정한, "한나 아렌트의 시민불복종," 실천문학, 통권115호, pp.186-196, 2014.
20 장은주, "메리토크라시와 존엄의 정치," 사회와 철학, 제32호, pp.47-78, 2016.   DOI
21 박지윤, "인터넷 공론장의 담화 텍스트 유형분석-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을 도입하며-," 문화와 융합, Vol.41, pp.193-120, 2019.
22 정다영, "혐오표현과 민주주의," 法學論叢, 제31권, 제2호, pp.123-164, 2018.
23 남시호, "미디어 다양성의 문화정치학,"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51호, pp.136-155, 2010.
24 진중권, "트루스오딧세이," 한국일보, 2020.01.23. 2면.
25 최장집, "한국민주주의의 공고화, 위기, 그리고 새 정치질서를 위한 대안," 김대중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 19주년 기념식 및 학술회의자료집, pp.7-40, 2019(12).
26 이성욱, "예멘 난민 수용 반대 여론과 정치적 결정에 대한 단상:아우구스티누스의 '사랑'의 원리 위에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0, pp.121-131, 2018.   DOI
27 최지수, 윤석민, "가짜뉴스 거버넌스 정부규제, 자율규제, 공동규제 모형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Vol.36, No.1, pp.127-180, 2019.
28 이은주, "민주적 거버넌스의 실질화를 위한 핵심 요인으로 시민사회의 '협력적 대항력'에 대한 고찰," 시민과세계, 참여연대참여사회연구소, pp.173-199, 2018.
29 김세환, 황용석, "가짜뉴스에 대한 한국과 EU의 비교 정책 연구-정책형성 담론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56권, 제2호, pp.156-187, 2019.
30 정은령, 고예나, "인터넷 신뢰도 기반조성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방통융합정책연구, KCC-2018-26, 2018.
31 M. A. Amazeen, Making a difference? A critical assessment of fact-checking in 2012. New America Foundation Media Policy Initiative Research Paper, 2013.
32 이정훈, "비판적 뉴스 이용 전략에 영향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1, pp.578-592, 2019.   DOI
33 이재원, 박동숙, "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시대의 뉴스 리터러시 재개념화:뉴스 큐레이션 능력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2, No.2,171-206, 2016.   DOI
34 https://maldita.es/maldita-es-journalism-to-not-be-fooled/
35 이재진, "포스트 트루스(Post-Truth) 시대의 페이크뉴스와 저널리즘," 한국기자협회 주최 '가짜뉴스 문제점과 대응방안' 토론회, 2017.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