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9.646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cept of Play for Establishing Cultural Contents Studies  

Kim, Ki-Jeong (전주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t has been 20 years since the cultural contents were newly emerged in the late 1990s and grown in our society. However, efforts to establish culture contents concept and to establish cultural contents as a separate discipline are relatively poor. There may be various reasons,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it failed to cover the broad sense of the word 'cultural contents' and to present a key concept through the co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securing the conceptual resources necessary to lay the foundation for cultural contents within play, under the premise that cultural contents should be play studies in the 21st century. In order to do this,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of play in each of the three conceptual categories, ie, mimesis, aesthetics, and power, which are deemed to be related to the meaning of cultural contents that we currently use.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play is used in various ways in connection with various concepts such as emotion, art, percept, cognition, education, coincidence, power, hegemony, class, religion, ritual. These various uses of play concept can give cultural contents researchers an opportunity to study cultural contents from a play perspective.
Keywords
Cultural Contents; Play; Mimesis; Aesthetics; Pow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Mihai I. Spariosu, Dionysus Reborn - Play and the Aesthetic Dimension in Modern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Discourse, Cornell Uni, p.31, 1989.
2 B. Sutton-Smith, The Ambiguity of Play, Harvard Univ, p.74, 2001.
3 B. Sutton-Smith, The Ambiguity of Play, Harvard Univ, p.75, 2001.
4 에티엔느 드 라 보에티, 박설호 역, 자발적 복종, 울력, pp.66-67, 2004.
5 존 스토리, 박만준 역,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경문사, p.6, 2005.
6 질 들뢰즈, 펠릭스 가따리, 최명관 역, 앙띠 오이디푸스, 민음사, pp.505-506, 1994.
7 미하일 바흐찐, 이덕형 외 역,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26, 2004.
8 미하일 바흐찐, 이덕형 외 역,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28, 2004.
9 미하일 바흐찐, 이덕형 외 역,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30, 2004.
10 미하일 바흐찐, 이덕형 외 역,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32, 2004.
11 미하일 바흐찐, 이덕형 외 역,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47, 2004.
12 존 피스크, 박만준 역, 대중문화의 이해, 경문사, p.118, 2005.
13 고석기, "바흐찐의 그로테스크 몸 담론을 통한 셰익스피어 극의 (여성주의)문화 유물론적 접근," Shakespeare Review, 제43집, p.627, 2007.
14 미하일 바흐찐, 이덕형 외 역,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56, 2004.
15 조르조 아감벤, 김상운 역, 세속화 예찬, 난장, pp.108-109, 2010.
16 조르조 아감벤, 김상운 역, 세속화 예찬, 난장, p.113, 2010.
17 김기정, "요한 호이징아의 놀이와 문화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인문연구, 제63호, p.339, 2011.
18 조르조 아감벤, 김상운 역, 세속화 예찬, 난장, p.110, 2010.
19 박상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 영역과 연구 분야 설정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제10호, 2007.
20 박기수, "한국 문화콘텐츠학의 현황과 전망," 대중서사 연구, 제12권, 제2호, 2006.
21 신광철, "문화콘텐츠학 연구사 정리의 방향과 과제," 인문콘텐츠, 제38호, 2015.
22 송한샘, "'문화콘텐츠'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극예술연구, 제59호, 2018.
23 Eva. Neumann, The Element of Play, Irvington, p.5, 1974.
24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I), 서울대학교출판부, pp.31-37, 2006.
25 B. Sutton-Smith, The Ambiguity of Play, Harvard Univ, pp.6-15, 2001.
26 Mihai I. Spariosu, Dionysus Reborn - Play and the Aesthetic Dimension in Modern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Discourse, Cornell Uni, p.17, 1989.
27 플라톤, 박종현 역, 국가․정체, 서광사, 2005.
28 알랭 바디우, 장태순 역, 비미학, 이학사, p.12, 2010.
29 앤드류 달리, 김주환 역, 디지털 시대의 영상 문화, 현실문화연구, p.73, 2003.
30 플라톤, 박종현 역, 국가․정체, 서광사, 제10권, 602B, 2005.
31 질 들뢰즈, 이정우 역, 의미의 논리, 한길사, p.240, 1999.
32 James Williams, Gilles Deleuze's Logic of Sens : A Critical Introduction and Guide, Edinburgh Uni, pp.17-20, 2008.
33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역, 시학, 문예출판사, p.37, 1448b5, 2002.
34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역, 시학, 문예출판사, p.62, 1455b5, 2002.
35 막스 베버, 박성수 역,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문예출판사, 1996.
36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역, 시학, 문예출판사, p.38, 1448b15, 2002.
37 신현주, "한국여가산업 발전을 위한 이론적 고찰," 관광학 연구, 제14집, p.78, 1990.
38 아리스토톨레스, 천병희 역, 정치학, 숲, p.408, 2009.
39 조안 B. 시울라, 안재진 역, 일의 발견, 다우, p.23, 2010.
40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역, 시학, 문예출판사, p.412, 2002.
41 임마뉴엘 칸트, 백종현 역, 판단력 비판, 아카넷, pp.211-212, 2011.
42 퍼거스 휴즈, 김광웅 외 역, 놀이와 아동발달, 시그마프레스, pp.7-22, 2006.
43 B. Sutton-Smith, The Ambiguity of Play, Harvard Univ, p.129, 2001.
44 임마뉴엘 칸트, 백종현 역, 판단력 비판, 아카넷, p.192, 2011.
45 정낙림, "인식과 놀이 - 칸트의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제53집, p.214, 2010.
46 공병혜, "칸트철학에서의 상상력과 놀이에 대한 미학적 고찰," 철학연구, 제57집, 2002.
47 임마뉴엘 칸트, 조관성 역주, 칸트의 교육학 강의, 철학과 현실사, p.172, 2007.
48 임마뉴엘 칸트, 조관성 역주, 칸트의 교육학 강의, 철학과 현실사, p.174, 2007.
49 기정희, "쉴러의 인간의 미적교육에 나타난 '놀이'의 의미," 인문연구, 제54집, p.250, 2008.
50 프리드리히 쉴러, 최익희 역,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서한, 이진, p.108, 1997.
51 프리드리히 쉴러, 최익희 역,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서한, 이진, p.32, 1997.
52 프리드리히 쉴러, 최익희 역,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서한, 이진, p.84, 1997.
53 이사야 벌린, 강유원 외 역, 낭만주의의 뿌리, p.133, 2006.
54 프리드리히 쉴러, 최익희 역,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서한, 이진, p.82, 1997.
55 프리드리히 쉴러, 최익희 역,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서한, 이진, pp.100-101, 1997.
56 프리드리히 쉴러, 최익희 역,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서한, 이진, p.102, 1997.
57 장상용, "쉴러의 "유희충동"," 괴테연구, 제6집, p.190,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