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6.222

Study on the Change of Nuclear Energy Policy: Before and After Fukushima Nuclear Accident  

Park, Soo-Kyung (충남대학교 행정학부)
Jang, Dong-Hyun (충남대학교 행정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Since Fukushima nuclear disaster occurred in 2011, the nuclear energy policy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been in recession. However, In Korea, the nuclear-friendly policy had remained and even expanded over the last 60 years until the Park Geun-hye government. In other words, there was the path dependence of nuclear energy policy. Since the Moon Jae-in government that pledged to perform nuclear phase-out policy in 2017 was inaugurated, the nuclear-friendly policy began to swerve from the course of path dependence. Based on the mai logic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is study looked into the change of Korean nuclear policy by before and afte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external situation of Fukushima Nuclear Accident became a critical turning point and led to a change in the government's policy on nuclear power.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it influenced the paradigm of nuclear power policy, policy decision structure, and laws of nuclear power. From a doer's perspective, it influenced political idea and social acceptability. Since Moon Jae-in government was inaugurated in 2017, nuclear phase-out policy has secured its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nuclear power policy has basically changed from nuclear-friendly policy to nuclear phase-out policy. Therefore, the energy policy of Moon Jae-in government gets out of the nuclear power based path dependency that previous governments pursued, keeps punctuated equilibrium, and changes to renewable energy oriented policy.
Keywords
Nuclear Energy Policy; Path-dependency;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stitution; Policy Chang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주성돈, "원자력발전정책의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제11권, 제3호, pp.325-346, 2011.
2 김태헌, 석유의존도 변화에 따른 국제유가의 경제적파급효과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3 이달석, 최성희, 오세신, 김영덕, 新 고유가 대응전략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07.
4 고규용, "교토의정서 발효와 에너지산업부문 대응방안," Air cleaning technology, 제18권, 제3호, pp.1-14, 2005.
5 한국원자력학회 후쿠시마위원회, 후쿠시마원전 사고분석: 사고내용, 결과, 원인 및 교훈, 한국원자력학회, 2013.
6 조현,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국제적 대응과 우리의 과제," 외교, 제99호, pp.81-93, 2011.
7 https://news.joins.com/article/6999015
8 원자력안전위원회, 고리 1호기 전력공급중단 관련조사현황 및 향후대책, 2012.
9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3061201071243013002
10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2014.
1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5327&cid=43667&categoryId=43667
12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629_0013759163
13 https://blog.naver.com/energyinfoplaza/22113620880
14 http://imnews.imbc.com/weeklyfull/weekly01/4234366_17924.html
15 https://www.nocutnews.co.kr/news/489266
16 국무총리실, 제1차 국가에너지 기본계획, 2008.
17 https://www.yna.co.kr/view/AKR20170619071500001
18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32&aid=0002827193
19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2017.
20 https://blog.naver.com/hellopolicy/221124330932
21 산업통상자원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17.
22 김지효,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권고안의 주요내용과 시사점," 지속가능교통 브리프, 제9권, 제4호, pp.1-3, 2018.
23 산업통상자원부, 원전 품질서류 위조사건 관련 원전운영 개선대책, 2013.
24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시민참여형조사보고서, 2017.
25 http://www.law.go.kr/lsEfInfoP.do?lsiSeq=165568#
26 신옥주, "공론화위원회를 통한 신고리 5.6호 건설중단 결정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국가법학회, 제14권, 제1호, pp.1-30, 2018.
27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4911&ancYd=19580311&ancNo=00483&efYd=19580311&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0000
28 용태석, 원자력발전정책 변동요인에 관한 QCA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9 http://www.eve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482
30 환경운동연합, 대선후보자별 에너지-기후변화 공약비교, 2017.
31 윤순진, "반핵운동에서 탈핵운동으로: 후쿠시마 핵발전사고 이후 한국 탈핵운동의 변화와 과제," 시민사회와 NGO, 제13권, 제1호, pp.77-124, 2015.
32 이근대, 원전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33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7437
34 현대경제연구원,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VIP리포트, 제708호, 2017.
35 현대경제연구원,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VIP리포트, 제726호, 2018.
36 E. M. Immergut, "The Theoretical Core of the New Institutionalism," Politics & Society, Vol.26, No.1, pp.5-34, 1998.   DOI
37 남궁근 편, 새행정이론, 대영문화사, 2002.
38 김종성, "신제도주의의 행정학적 함의," 사회과학연구, 제13권, pp.59-82, 2002.
39 김태룡, 행정이론, 대영문화사, 2017.
40 정용덕 편, 신제도주의 연구, 대영문화사, 1999.
41 하연섭, 제도분석, 다산, 2003.
42 W. H. Sewell, Three Temporalities: Toward an Eventful Sociology, T. J. McDonaId(ed.), The Historic Turn in the Human Scienc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6.
43 하혜수, "지방분권정책의 경로의존성 연구: 총액인건비제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29-252, 2007.
44 S. D. Krasner, "Sovereignty: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Political studies, Vol.21, No.1, pp.66-94, 1988.   DOI
45 하연섭, "신제도주의의 최근 경향: 이론적 자기 혁신과 수렴,"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4호, pp.339-359, 2002.
46 P. A. Hall and C. R. T. Rosemary, "Political Science and the Three New Institutionalisms," Political Studies, Vol.44, No.5, pp.936-957, 1996.   DOI
47 최조순, 강현철, "지역발전정책의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8권, 제3호, pp.59-83, 2014.
48 M. Levi, A Model, a Method, and a Map: Rational Choice in Conparative and Historical Analysis, M. I. Lichbach, A. S. Zuckerman(eds.), Comparative Politics: Rationality, Culture, and Stru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9 남궁근, 정책학, 법문사, 2012.
50 S. D. Krasner, "Approaches to the State, Alternative Conceptions and Historical Dynamics," Comparative Politics, Vol.16, No.2, pp.223-246, 1984.   DOI
51 진상현, 박진희, "한국과 독일의 원자력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1권, 제3호, pp.265-289, 2012.
52 임석준, 김현정, "한국 원자력정책의 아젠다 역동성과 정책변화: 옹호연합모형의 적용," 국제정치연구, 제21집, 제1호, pp.25-55, 2018.
53 김영준, 이찬구, "다중흐름모형을 통한 원자력 규제정책 의제설정 과정 분석: 2011년 원자력안전법 제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49-79, 2017.
54 권태형, 전영준,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국내 원자력정책의 변화: 정책옹호연합모형의 적용," 행정논총, 제53권, 제4호, pp.245-269, 2015.
55 김태희, 원자력정책의 제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원자력 발전 정책의 국가별 유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56 이민화, 원자력 정책의 신제도주의적 특성 연구 : 후쿠시마 사고 전후 국가별 원자력 정책의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57 진상현, "한국 원자력 정책의 경로의존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제18권, 제4호, pp.8-17, 2009.
58 진상현, "후쿠시마 사고 전후 한국 원자력 정책의 변화와 전망," 역사비평, 제101호, pp.140-166, 2011.
59 주성돈, 원자력정책의 변동에 관한 연구: 역사적 제도와 행위자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60 김길수, "원자력 안전규제정책의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30권, 제2호, pp.57-80,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