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1.11.8.353

Introduction of Digital Media and Consequent New Risk Types -Focus on the Analysis of User Risk Perception and Risk Features of Smart Phones as Convergence Media-  

Cho, Hang-Min (유플러스연구소)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resent study began from the criticism that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existing digital media have focused on the technical productivity and effectiveness to focus on the positive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cretely confirm the dangers that may be caused by digital media and confirm the overall risk perception for digital media such as the user's opinions for risk evaluations and risk management for such dangers. As a result of making the digital convergence media, the smart phone, as the detail study subject, the 17 risk types including the 'risks of financial dimensions, risks of social-cultural dimensions, risks of individual dimensions and risks of pathological dimensions' were classified. Furthermore, the users appeared to highly evaluate the seriousness and possibilities of risk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isk-factor per each risk type(risk magnitude ${\times}$ development possibility). Next, it appeared that the users did not have high degree of reliability for the government in the aspects of countermeasures and prevention of risks and appeared to highly evaluate their expectation and liability for their individual roles. If the seriousness and development possibilities, the evaluations for liability, preventative measures and post-management methods for the risks of smart phones can be thoroughly analyzed and applied, it will be able to expand them as significant political countermeasures that can reduce the risks of other digital media in the future.
Keywords
Digital Media Risks; User Awareness of Smart Phone Risks; Risk Types of Smart Phon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M. Shin(水越伸), 디지털미디어 100년 후를 상상한다, Tokyo Iwanami Shoten Pub, 2009; 백성수 외 역, 한국학술정보, 2000
2 최흥석, 디지털 위험사회 대응 정책방안,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9.
3 김원석, 디지털생존교양: 위험한 변화에서 살아남기 위해 알아야 할 거의 모든 것, 갤리온, 2010.
4 김영석,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2003.
5 박창희. 디지털 시대 수용자 패러다임의 변화 : 수용자의 어제, 오늘, 그리고 미래; 이은미 외, 디지털 수용자.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6 이호영, 디지털미디어의 사회적 사용에 관한 연구-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I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7 최홍석, 김현준, 디지털 위험사회 대응 정책방안 연구 - 제2회 정보문화 국제컨퍼런스 '새로운 도전: 디지털 위험사회의 도래' 발표 자료집, 행정안전부, 2009.
8 정국환, 유지연, 디지털재난, 그 의미와 대응의 새로운 패러다임(KISDI 이슈리포트 09-09),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9 서보윤, 디지털사회의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정보보호캠페인 전략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5.
10 한세억, 성숙한 인터넷 강국을 위한 정책과제와 시사점,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8.
11 이상기, 김주희, "휴대폰의 기능, 위험에 대한 인식과 중독적 이용의 관계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540-575, 2009.
12 송해룡, 페터 비데만, 휴대전화 전자파의 위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13 홍성태, 정보위험사회의 도래와 대응에 관한 연구: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14 손용,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텔레커뮤니케이션, 한울아카데미, 2003.
15 J, Ellul, The Technological Society, Trans. John Wilkinson, New York : Knopf, 1964.
16 M. McLuhan, Understanding Media. New York: Mentor,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