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식품저장용 저온저장고의 제상 운전에 대한 소비전력 감소를 위해, 유기계 상변화물질을 사용한 축열조를 기반으로 응축 폐열을 축열하고, 이를 제상 열원에 사용할 수 있는 TSD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TSD 시스템의 제상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EHD 시스템과 동일한 외기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에서 제상 운전을 수행하였고, 이에 대한 비교 결과 다음과 같다. 1) TSD는 축열조 삽입으로 작동압력과 질량유량이 증가하여 증발량이 많고, 이에 따라 EHD 비해 압축기 토출 온도 기준 119.4℃에서 97℃까지 냉매온도가 감소하였다. 2) 저온저장고 습도를 90%RH 조건으로 유지하고 재냉각 운전을 할 경우, EHD의 제상 소비전력은 14.88 kWh의 결과를 보였고, TSD의 제상 소비전력은 0.58 kWh로 EHD 대비 3.9% 수준으로 제상을 완료하였다. 또한 전체 소비전력은 EHD와 TSD 각각 64.88 kWh와 56.22 kWh로, TSD는 EHD 대비 8.66 kWh 감소하였다. 3) 제상 시점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TSD 시스템은 90%RH 및 70%RH 조건에서 제상이 각각 15회, 7회 진행되어 상대습도의 변화에 따른 서리 성장 속도에 맞춰 제상 시점 검출이 가능했다. 4) TSD의 제상 운전이 진행되는 동안 EHD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저장고 내부 온도를 보였고, EHD는 낮은 상대습도 조건에서 공급된 제상 열원보다 서리양이 적어 제상 열원이 냉방부하로 작용하여 16.5℃의 가장 높게 상승한 온도 값을 보였다. 사계절이 뚜렷한 국내 기후 특성상, 식품 및 농산물의 저온 저장, 냉동고, 쇼케이스 등에 사용되는 단방향 냉각 시스템에서 응축열은 외기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적정 잠열 축열 온도의 선정 및 PCM 응용시스템의 개발을 통한 보조 열원의 활용과, 디지털 트윈 및 예측 제상운전 기술을 통한 냉각 시스템의 최적 제어 방안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