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요국 반도체 정책과 AI반도체 정책에의 시사점

Semiconductor Policies in Major Countries and Implications of Artificial-Intelligence Semiconductor Policies

  • 신강선 (미래전략연구실) ;
  • 고순주 (미래전략연구실)
  • K.S. Shin ;
  • S.J. Koh
  • 발행 : 2024.04.01

초록

Artificial-intelligence (AI) semiconductors are crucial for securing national core competitiveness, including dominating the AI and data ecosystem and succeeding in the Digital New Deal. When examining the macroenvironment, the global division of labor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has weakened owing to the technological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Major countries are aiming to build the entire semiconductor ecosystem around their territories. As a result, these countries are formulating policy goals tailored to their realities and actively pursuing key policies such as research and development, securing manufacturing bases, workforce development, and financial support. These policies also focus on intercountry cooperation and bold government policy support, which is deemed essential. To secure core competitiveness in AI semiconductors, South Korea needs to examine the policy directions of major countries and actively formulate and implement policies for this semiconductor industry.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운영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음[24ZR1420, 국가지능화 R&D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술정책 연구].

참고문헌

  1. 산업연구원, "미.중 기술패권 경쟁과 우리의 대응 전략," 2021. 10.
  2. 성윤모, "한국산업의 나아가야 할 길,"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 2020. 10. 12.
  4.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차세대 지능형반도체," 2019.
  5. 산업연구원, "AI반도체 산업의 발전 현황과 시사점," 2020.
  6.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확산 가속화 방안," 2021. 12.
  7.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AI반도체 표준화 이슈보고서,"
  8. Gartner, "Forecast: AI Semiconductors, Worldwide, 2020-2026," 2022. 5.
  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공지능 반도체 국가투자전략 연구," 2022.
  10.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지능형 반도체 최신 기술동향,"
  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가전략기술_DashBoard," 2023.
  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I반도체 시장 동향 및 우리나라 경쟁력 분석," 2020. 12.
  1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인공지능(반도체) 기술동향브리프," 2019.
  14. KOTRA, "미국 반도체 R&D 지원 정책 방향," 2023. 4. 20.
  15. 국제금융센터, "미국의 리쇼어링(reshoring) 정책 및 영향 평가,"
  16. 조선비지, "삼성 테일러 파운드리 공장 첫 삽 떴다. 22兆 투입 2024년 11월 완공," 2022. 11. 15.
  17. 연합뉴스, "TSMC, 美애리조나에 공장 더 짓는다. 첨단패키징설비 건설추진," 2023. 9. 20.
  18.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미국, 국립과학재단과 인텔 간의 반도체 인력 양성 파트너십 체결," 2022. 9. 8.
  19. 산업연구원, "미국 '반도체와 과학법'의 정책적 시사점," 2022. 8. 4.
  20. 산업연구원, "중국 반도체산업의 공급망 현황과자립화 전략," 2022.
  21. 하나증권, "중국 반도체 국산화의 주역들," 2022. 10. 3.
  22.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中, 공장 착공.펀드조성 등 반도체 대규모 투자 지속," 2016.
  23. 연합뉴스, "중국, 반도체 신규공장 건설 세계 최대...'자립굴기' 성공할까," 2022. 7. 25.
  24. 서울경제, "中 "올 반도체 76만 대군 양성"...韓 中企 인력까지 싹쓸이," 2023. 6. 14.
  25. 조선일보, "시진핑 모교 칭화대가 '中반도체 인큐베이터'...年1000명씩 인재 배출," 2022. 6. 25.
  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미중 갈등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전략 및 전망," 2021.
  27. KOTRA 해외시장 뉴스, "대만 반도체산업," 2019. 6.
  28. 민수진 외, "첨단반도체 R&D 협력 사례 분석: IMEC, TSRI, NSTC를 중심으로," 2023. 8.
  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대만 반도체 전략의 주요 내용과 전망," 2021. 8. 25.
  30. 조선일보, "반도체법, 대만은 반년만에 통과...한국은 지지부진," 2023. 1. 29.
  31.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대만 반도체 산업 생태계 구조 및 시사점" 2023.
  32. https://www.nedo.go.jp
  33. 일본 경제산업성, "반도체전략," 2021. 6.
  34. 연합뉴스, "日정부, TSMC 구마모토 제2공장 건설비 최소 3분의 1 지원," 2023. 8. 4.
  3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NO.240," 2023. 6.
  36. 일본 내각부, "경제재정운영과 개혁의 기본방침 2022," 2022. 5. 31.
  37. 일본 경제산업성, "디지털 추진 인재 육성의 대응," 2022.
  38. https://jfc-guide.com/institution/18254/
  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1등 국가를 향한 도약이 시작된다," 2020. 1. 19.
  4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시스템반도체 기술혁신 지원방안," 2021. 2. 2.
  41.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 "반도체 산업 현황 및 미래 기술 로드맵," 2023. 7. 19.
  42. THEELEC, "2030년까지 510조원 투자...반도체 강국 육성책 발표," 2021. 5. 13.
  43. 경향신문, "반도체 균형발전은 어렵다?...용인에 세계최대 클러스터 몰아넣기," 2023. 3. 15.
  4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 지원사업 본격 착수," 2021. 1. 12.
  45. 관계부처합동, "종합 반도체 강국 실현을 위한 'K-반도체 전략'," 2021. 5. 13.
  46. 산업통상자원부, "민관공동투자 반도체 고급인력양성사업," 2023.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