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totype of the mother-of-pearl chrysanthemum pattern box from the Goryeo Dynasty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의 제작기법 고찰 및 원형 연구

  • LEE Heeseung (Collection Management Dept.,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 LEE Minhye (Collection Management Dept.,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 KIM Sunghun (Collection Management Dept.,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 LEE Hyeonju (Collection Management Dept.,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이희승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
  • 이민혜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
  • 김성훈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
  • 이현주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 Received : 2023.10.26
  • Accepted : 2024.02.21
  • Published : 2024.03.29

Abstract

The chrysanthemum vine pattern box from the Goryeo Dynasty expresses in great detail the representative features of Goryeo Dynasty lacquerware with mother-of-pearl, such as engrav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fine mother-of-pearl, expressing vine stems using metal wires, and twisting metal wires to form the boundaries of each patterns. While the lacquerware with mother-of-pearl that remains today from the Goryeo Dynasty has the form of a sutra box and a box with lid, the chrysanthemum vine pattern box that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in the shape of a box with a separate lid and body, making it difficult to estimate the purpose of production or the stored content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confirm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rysanthemum vine pattern box in order to confirm its original form, and to investigate its structure and production technique through X-ray transmission. In addition,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use and production purpose of the box by classifying and comparing the previously known lacquerware with mother-ofpearl from the Goryeo Dynasty by type.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fabric was confirmed the bottom of body and inner box through X-ray image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gsimjeopichilgi'(wooden core grabbing fabric technique) of wrapping the object with fabric was used. And through wood grai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wooden board composition of the part presumed to be the restored part and the part presumed to have had existing Jangseo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joints were connected in a Majdaeim(part to par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 total of 14 pieces, including 9 Sutra boxes, 3 boxes, and 2 small boxes, that remain from the Goryeo Dynasty were classified by type and examined for similarity. Among them, there is a "Chrysanthemum Vine Pattern Sutra Box" from a private collection in Japan, a "Black Lacquered Chrysanthemum Arabesque Bun Sutra Box" from the Tokugawa Art Museum, a "Sutra Holder" from the British Museum, and a "Small Box with a Mother-of-Pearl Chrysanthemum Vine Pattern" from a private collection in Korea. The pattern composition of five points was most similar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amage patter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features of each part, it is presumed that the sutra holder in the British Museum was transformed into its current form from the original the chrysanthemum vine patterned box. Lastly, in order to confirm the purpose of production, that is, the use of this box, we investigated examples of Tripitaka Koreana printed version produced at a time similar to the social atmosphere of Goryeo at the time. Following the Mongol(元) invasion after the Goryeo military regime at the time, sutras appeared to pray for the stability of the nation and the soul of an individual, and with the development of domestic printing and paper in the 13th century, it gradually coincided with the transition from a scroll to a folded form, and the form of a box changed from a box. It is believed that the storage method also changed.

고려시대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미세한 자개표면에 문양을 세기거나, 금속선을 이용해 넝쿨의 줄기를 표현하고, 금속선을 꼬아 각 문양의 경계를 구성하는 등 고려나전칠기의 대표적인 특징이 아주 세밀하게 표현되어있다. 현재 남아있는 고려시대 나전칠기는 경함 및 합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반면 이번 연구대상인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뚜껑과 몸체가 분리되는 상자의 형태를 하고 있어 제작목적 혹은 보관된 내용물을 추정하기 어려웠다. 이번 연구에서는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의 원형을 확인하기 위해 조형적인 특징을 확인하고, X선 투과촬영과 X선 형광분석을 통해 구조와 제작기법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존에 알려진 고려시대 나전칠기를 유형별로 분류 및 비교분석해 상자의 용도와 제작목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X선 이미지 상 바닥면과 속상자에서 직물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기물을 직물로 감싸는 목심저피칠기기법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목리를 통해 복원부분으로 추정되는 부분의 판재구성과 기존 장석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구부에서 맞대임 방식으로 연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양에 사용된 금속선은 X선 형광분석 결과 황동으로 판단된다. 조사결과를 근거로 현재 남아있는 고려시대 경함류 9점, 상자류 3점, 소상자류 2점 등 총 14점을 유형별로 분류해 유사성을 조사하였다. 이중 일본 개인소장 국화넝쿨무늬경함, 도쿠가와미술관 흑칠지국당초문나전경상, 영국박물관의 나전국당초문경함, 국내소장 나전칠국당초문합(소상자) 등 5점의 문양구성이 본 연구대상과 가장 유사하였다. 그리고 손상양상, 조형적 특성, 구조적 특징 등을 부위별로 대조한 결과 영국박물관의 나전국당초문경함의 형태가 나전넝쿨무늬상자의 원형으로 현재 형태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이번 상자의 용도, 즉 제작목적을 확인하기 위해 당시 고려의 사회분위기와 비슷한 시기 제작된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당시 무신정권 이후 몽골의 침입을 겪으면서 국가의 안정과 개인의 명복을 빌기 위한 사경이 출현, 그리고 13세기 국내 인쇄술과 종이의 발전으로 점차 두루마리에서 절첩식 형태로의 전환기와 맞물려 경함에서 상자의 형태로 보관방식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중앙박물관, 2019, 「보존과 복원의 세계 나전칠기」, pp.38, 155.
  2. 가와다 사다무, 2006, 「세계 속의 한국 나전칠기」, 「천년을 이어온 빛 나전칠기」, 국립중앙박물관, p.219.
  3. 국립민속박물관, 2022, 「한국생업기술사전」 상공업 1, p.145.
  4. 김삼대자, 2008, 「한국칠기와 중국칠공예의 연계성」, 「동아주칠예 한중일칠기」, 북촌미술관, pp.186~187.
  5. 황지현, 2019, 「한국 나전칠기의 역사」, 「보존과 복원의 세계 나전칠기」, 국립중앙박물관, p.155.
  6. Fatricia Frick, 2012, 'Refined Craftsmanship and Exquisite Beauty-The art of lacquerwork in the Goryeo dynasty', Korean Lacquer Art Aesthetic Perfection, Hirmer, p.49.
  7. 강호선, 2020, 「13~14세기의 대장경 인출.유통과 고려대장경」, 「한국문화」 191(4),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pp.61~66.
  8. 김윤정, 2017, 「14세기 고려-원 관계 확장과 고려의 원 복식문화 수용」, 「역사학보」 234, 역사학회, pp.84~87, 89.
  9. 김은정, 2013, 「고려시대 나전칠기의 문양 및 제작기법 연구」, 「강좌미술사」 40, 한국미술불교사학회, p.60.
  10. 박수진.송정일.김한슬.조아현.박종서, 2020,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합의 제작기법 연구」, 「보존과학회지」 36(6), 보존과학회, p.485.
  11. 이난희, 2003, 「고려나전의 기법에 대한 고찰」, 「미술사학」 17, 한국미술사교육학회, pp.192, 196.
  12. 이은희, 1987, 「고려 충렬왕대의 사경연구」, 「문화재」 20, 국립문화재연구원, pp.220~221, 230.
  13. 정영환.전해운, 2007, 「고려나전칠기의 조형적 고찰」, 「조형디자인연구」 11(1), 한국조형디자인협회, p.10.
  14. 정은우, 2019, 「일본 오타니대학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 연구」, 「문화재」 52(4), 국립문화재연구원, pp.48~51.
  15. 최영숙, 2006, 「고려시대 나전칠기 연구」, 「미술사연구」 16, 미술사연구회, pp.85~87.
  16. 최응천, 2018, 「「고려도경」에 보이는 고려시대 공예의 양상과 특징」, 「한국중세사연구」 55, 한국중세사학회, p.143.
  17. Lee, N., Fitski, M., 2018, 'Manufacture and Date of a Goryeo dynasty Sutra Box with Mother-of-pearl Inlaid Decoration at the Rijksmuseum, Amsterdam', Studies in Conservation 63(3), pp.164-166. 168~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