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위드코로나 시대 자연치유환경을 적용한 주택구조와 사례분석

A Housing Plan and Cases Analysis Applying a Naturopathy Environment in the COVID-19

  • 이해욱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연치유학전공) ;
  • 남윤철 (중부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 유호종 (중부대학교 대학원 자연치유학과)
  • 투고 : 2024.09.04
  • 심사 : 2024.10.28
  • 발행 : 2024.11.25

초록

Due to the influence of Corona, the house has been changed to various spaces such as self-treatment, home work, and home training in addition to li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using trends after COVID-19. And we investigated examples of houses that considered a natural healing environment. The conclu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Naturopathy environment' is a specialized design of a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space where residents can defend themselves from the dangers of viruses and diseases and heal naturally. After COVID-19, people demand various activity spaces such as hobbies, rest, and exercise in their houses. And there is a tendency to demand safer residential spaces such as quarantine, disinfection, and ventilation. There are five types of cases. ① The front door has added a for quarantine functions(basin, bathroom, sterilizing equipment) to prevent the virus. ② There is a work space in the house where you can work from home and also a self-isolation space. ③ The variable walls inside the house can expand two spaces, allowing for various activities. ④ Hous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rivate life areas and work areas. ⑤ In order to reduce contact with others, this type expands the balcony and specially designs the landscaping space of the apartment complex.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오길, 이재규, 노인요양시설의 치유정원 분석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4(3), 2019.
  2. 김광호, 김종성과 승효상 작품의 허공에서 표현되는 치유성에 관한 비교연구, 의료.복지 건축, 14(2), 2008.
  3. 김용우, 국내 종합병원 병동부 다인병실의 치유환경 개선을 위한 건축 계획적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 김정아, 병원 실내공간의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자연요소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5), 2011.
  5. 박인지, 서지은, 자연과의 소통적 관점에서 본 타운하우스에서 거주자 치유를 위한 계획방법,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6(6), 2017.
  6. 송효주, 최상헌, 노인특성을 고려한 노인요양시설 치유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1(1), 2009.
  7. 안지현, 김경희, 박의택, 참여디자인 방법을 적용한 농촌 치유관광 공간계획 수립 연구: 치유환경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5(7), 2020.
  8. 오지영, 치유환경 설계를 위한 근거기반 디자인 문헌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3(1), 2021.
  9. 이현주, 조현경, 서지은, 코로나 후유증 치유와 주거공간과의 관계성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3(1), 2022.
  10. 정태종, 의료시설 내 건축공간구성을 통한 치유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소우 후지모토 의료시설 사례들의 공간분석을 중심으로, 의료복지건축, 25(2), 2019.
  11. 전종우, 김광호, 치유환경의 행태지원성과 지속가능성 개념에 관한 연구: 저층 친환경 의료시설 사례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2(4), 2013.
  12. 최준호, 코로나-19 이후, 인간중심의 주거공간 연구와 방향, 한국주거학회지, 15(2), 2020.
  13. 가와시마 아키라, 의사가 말하는 자연치유력, (이진원 역), 삼호미디어, 2014.
  14.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치유농업용어에 대한 인식과 사용, 2016.
  15. 장석종, 오감 멀티테라피, 서교출판사, 2019.
  16. 정림건축, 정림건축의 기본을 되새기다, 2013 정림건축 연감집.
  17.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auric, www.auric.or.kr)
  18. 일본 성인병예방협회(www.japa.org/tips/kkj_9910/)
  19. "자연치유 공간"으로 변화하는 병원, 메디컬 업저버, 2010.10.25(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033)
  20. '포스트코로나 시대 아파트 조경,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 2022.4.21(www.lafent.com/mbweb/news/view.html?news_id=130611)
  21. Jain Malkin, Hospital interior architecture: Creating healing environments for special patient populations,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992.
  22. Jain Malkin, A Visual Reference for Evidence-Based Design, Center for Health Design; 1st edition, 2008.
  23. Clare Cooper Marcus, Healing Gardens in Hospitals, Interdisciplinary Design and Research e-Journal, 1(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