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분야 디지털 전환 사례 연구: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Digital Transformation in Education: Focusing on International Cases

  • 김일주 (명지대학교 융합소프트웨어학부)
  • Iljoo Kim (School of Software Convergence, College of ICT Convergence, Myongji University)
  • 투고 : 2024.09.12
  • 심사 : 2024.09.26
  • 발행 : 2024.10.31

초록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교육 분야에도 적용되어 여러 현장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한국 교육에서의 디지털 전환은 정책적으로 꾸준히 논의된 것에 비해 그 진행 속도는 매우 더딘 상황이다. 반면 순조로운 디지털 전환 과정을 보이는 국가들은 지속적인 연구 및 기술 개발과 도입 노력을 통해 교육 현장의 디지털화를 성공적으로 이루어가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부진한 국내 교육 디지털 전환의 원인을 분석해 보고, 교육 분야에서의 성공적인 해외 디지털 전환 사례 연구를 통해 국내 교육계의 보다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해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특히 교육계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주체에 따라 정부 주도 및 민간 주도 국가로 분류하여 사례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한국의 교육구조 및 교육환경을 고려한 해법을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해당 사례들로부터의 주요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 주도의 국내 교육 디지털 전환은 그 정책의 지속성과 일관성이 부족하며 인프라 구축·개선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어, 다양한 디지털 전환 기술 및 양질의 콘텐츠 개발에 더욱 집중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 주도의 디지털 전환에 성공적인 국가들은 신기술 및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우수한 온라인 통합 학습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 이의 개발 및 운영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정부 주도의 공교육을, 교육 관련 벤처기업육성 및 창업지원 등을 통해 민간에 더욱 개방하고 개별 학교의 권한을 강화함으로써, 에듀테크(edutech) 시장 활성화를 통한 기술 발전과 교육 현장의 발 빠른 디지털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교육의 디지털 전환 정책의 방향성 수립과 보다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해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Digital transformation, actively progressing in various fields, is also being applied to the education sector, bringing positive changes in many schools and education settings. However, despite continued discussions and efforts, the pace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Korean education has been very slow. In contrast, countries showing smooth digital transformation processes are successfully digitalizing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technolog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efforts. This paper aims to study international cases of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education sector and explore best applicable solutions for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domestic education field. The study classifies case studies into government-led and private-led initiatives based on the main driver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education, considering solutions that take into account Korea's educational structure and environment. The key insights derived from the cases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led digital transformation in domestic education lacks sustainability and consistency in its policies, overly focusing 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There is a need to concentrate more on the development of diverse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and high-quality content. Second, countries that have successfully implemented government-led digital transformation operate excellent online integrated learning platforms that provide new technologies and digital content.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conside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uch platforms. Third, there is a need to open up the public education that is mainly led and controlled by government to the private sector further through the support of education-related venture companies and startups, while also enhancing the autonomy of individual local schools. This would facilitate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a swift digital transformation in educa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edutech market. This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cases, contributes to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policies in Korean education and provides effective solutions for more successful implemen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계보경.박준홍.이다영(2022). 국내외 에듀테크 확성화 정책과 거버넌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etrieved from https://www.keris.or.kr/main/ad/pblcte/selectPblcteOVSEAInfo.do?mi=1143&pblcteSeq=13590.
  2. 공영일(2020). 대한민국 에듀테크 산업과 디지털 뉴딜정책. 행복한 교육, 2020(6), Retrieved from https://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Img.do?bbsId=BBSMSTR_000000000191&nttId=9954#.
  3. 교육과학기술부(2010). 교육과학기술정보화 기본계획. Retrieved (2024.09.13.)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51&lev=0&statusYN=W&s=moe&m=0310&opType=N&boardSeq=15590.
  4. 교육부(2014). 제5차 교육정보화기본계획. Retrieved (2024.09.13.)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40&boardSeq=57775&lev=0&m=0202.
  5. 교육부(2019). 제6차 교육정보화기본계획. Retrieved (2024.09.13.)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51&lev=0&statusYN=W&s=moe&m=0310&opType=N&boardSeq=82324.
  6. 교육부(2020). 2020년도 교육정보화 시행계획. Retrieved (2024.09.13)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51&lev=0&statusYN=W&s=moe&m=0310&opType=N&boardSeq=80687.
  7. 교육부(2021). 2021년도 교육정보화 시행계획. Retrieved (2024.09.13)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51&lev=0&statusYN=W&s=moe&m=0310&opType=N&boardSeq=83804.
  8. 교육부(2022). 2022년도 교육정보화 시행계획, Retrieved (2024.09.13)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51&lev=0&statusYN=W&s=moe&m=0310&opType=N&boardSeq=90629.
  9. 교육부(2023). 2023년도 교육정보화 시행계획. Retrieved (2024.09.13)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51&lev=0&statusYN=W&s=moe&m=0310&opType=N&boardSeq=95906.
  10. 국회도서관(2024). AI와 공교육: 한눈에 보기. Retrieved (2024.09.13.) from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controlNo=MONO12024000017591#none.
  11. 김경애.류방란(2019). 교육에서의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에 대한 기대와 우려. 교육과학연구, 50(3), 65-75.
  12. 김민석.손가녕(2017). 제4차 산업 혁명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Digital Transformation)의 이해. 정보통신방송정책, 29(3), 26-29.
  13. 김빛이라(2020). '취재후' 577억 원 들인'디지털 교과서, 교사들 평가는낙제점. KBS 뉴스, Retrieved from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008696.
  14. 김소연.김정렬(2023). 전문가 교사들의 초등 디지털 영어 교과서에 관한 상호작용성 평가. 교사교육연구, 62(1), 39-54.
  15. 김신애.방준성.권희경(2018). 교육 분야 '국가디지털전환' 기획의 방향성 탐색. 한국교육, 45(4), 176.
  16. 김영길.서승범.박정수(2023). 품질경영과 4차산업혁명 전자기술의 연계: 인공지능(AI)과 스마트팩토리 기술을 중심으로. 전자무역연구, 21(1), 85-102.
  17. 김일주(2021). 대기업의 디지털 산업 확장 유형의 탐색적 연구. 벤처창업연구, 16(6), 241-248.
  18. 김종호(2019). 공교육 제도에서 공공성의 한계와 교육의 다양성 모델의 검토. 법과인권교육연구, 12(3), 7.
  19. 김지혜(2021a). 미국의 인공지능(AI) 융합교육 현황과 시사점.. Retrieved from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strCurMenuId=10091&pageIndex=1&pageCondition=10&nTbBoardArticleSeq=830279.
  20. 김지혜(2021b). 미국의 교육 분야 메타버스 운영 및 활용 현황. Retrieved from TbCategorySeq=&pageIndex=1&pageCondition=10&nTbBoardArticleSeq=832081&searchTopic=&searchObject=&searchCondition_D=36&searchKeyword_SD=&searchKeyword_ED=&searchCondition_W=6&sea.
  21. 김지혜(2022a). 미국의 교육 분야 디지털 전환 현황과 전망. 교육개발, 222, 53-55.
  22. 김지혜(2022b). ISTE로 바라본 에듀테크, 학교와 민간주도 교육 생태계. 전자신문, Retrieved from https://www.etnews.com/20221024000150.
  23. 김현경(2022). 프랑스의 학교 교육활동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 사례. Retrieved from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nTbBoardSeq=&strCurMenuId=10091&nTbCategorySeq=&pageIndex=1&pageCondition=10&nTbBoardArticleSeq=835874&searchTopic=&searchObject=&searchCondition_D=36&searchKeyword_SD=&searchKeyword_ED=&searchCondition_W=6&searchKeyword_W=.
  24. 김현경(2023). 프랑스의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교육을 위한 정책과 사례. Retrieved from https://www.kedi.re.kr/khome/main/research/selectPubForm.do?plNum0=15320¤tPage=1&tabGb=0.
  25. 김현정.김성기(2021). 한국과 에스토니아의 과학 교육과정 비교 연구: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화학회지, 65(5), 348-349.
  26. 남윤진(202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가상현실 기술 기반 패션의 유형과 가치. 기초조형학연구, 22(5), 117-128.
  27.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20). 2020 에듀테크 해외 유망 시장 동향 및 진출전략. Retrieved (2024.09.13.) from https://openknowledge.kotra.or.kr/handle/2014.oak/24665.
  28. 박상현(2021). 美 학생25명 교실, AI 선생님도25명... 한국은 한화면 원격수업. 조선일보, Retrieved from https://www.chosun.com/national/education/2021/05/10/BTXBFETXUBAOFLDEP473RB3G4U/.
  29. 박아람.이찬(2023). 디지털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에듀테크의 진화와 미래교육을 위한 역할 고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7(1), 72-73.
  30. 박휴용(2018). 신자유주의적 교육 거버넌스의 탄생과 확산: 스웨덴, 영국, 핀란드의 국가교육과정 비교분석. 열린교육연구, 26(2), 230-298.
  31. 백정열(2018). 에듀테크의 기술 및 콘텐츠 동향.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14.
  32. 변태진.박정우(2023). AR 및 VR 관련 과학교육 문헌 연구. 초등과학교육, 42(2), 227-244.
  33. 손수정(2013). 작지만 강한 창업국가, 에스토니아(Estonia). 동향과 이슈, 2, 1-21.
  34. 손영진.최환영(2022). 스마트팩토리 도입사례와 효과 지속성에 관한 연구.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4(1), 127-136.
  35. 손찬희(2021). 미래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유형별 주요 의제 분석: 디지털 전환과 한국 교육. 한국교육개발원 공개가능보고서, 2021, 9-10.
  36. 신민철.박인우(2023).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에 기반한 초, 중등 교사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 관심도 및 실행형태 분석. 교육공학연구, 39(1), 277.
  37. 신재우(202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반의 Digital Bank 사업모델 연구. 한국IT정책경영학회 논문지, 13(3), 2449-2455.
  38. 오민정(2023). 독어독문학 교육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연구: 게더타운 강의실 수업 경험에 대한 소고. 독어독문학, 64(1), 203-228.
  39. 오정환.임태홍.정구인(2021). 글로벌 압력의 배경에서 미국의 표준교육 개혁동향: 교육과정 표준화 징후. 교육과정연구, 39(1), 156.
  40. 왕보경(2021).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의 '행복 교육': ②덴마크. 교육정책뉴스, Retrieved from https://www.edupo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49.
  41. 윤은지(2022). 덴마크 교육 분야 디지털 기술 활용 동향. 해외교육 동향, Retrieved from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strCurMenuId=10091&nTbBoardArticleSeq=835873.
  42. 이강주(2021).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학습생태계 조성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Retrieved from https://www.nkis.re.kr/subject_view1.do?otpId=OTP_0000000000006496&otpSeq=0&popup=P.
  43. 이민경(2019). 모든 학생들의 성공(La reussite de tous les eleves)과 미래역량교육을 위한 프랑스의 교육혁신 방향성과 실제. 한국교육학연구, 25(2), 168-176.
  44. 이쌍철(2020). 교육 분야 감염병[COVID-19] 대응 과제: 정규 수업 인정 원격수업을 중심으로(IP2020-01). 한국교육개발원, Retrieved from https://www.kedi.re.kr/khome/main/research/selectPubForm.do?plNum0=13587.
  45. 이윤미(2019). 한국형 공교육체제의 특성과 개선과제. 한국행정연구, 28(4), 5-18.
  46. 이은지.조철호(2021).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연구 동향 분석. 한국품질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552.
  47. 이장균(2018). 선진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 동향과 시사점: 4차산업혁명시대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한국경제주평, 810, 1-120.
  48. 이종원(2023).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대응하는 교육과정의 개발: 한국지리 탐구 과목을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1(1), 93-106.
  49. 이종재.정성수.김영식(2006).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4(4), 1-26.
  50. 이주희(2022). 금융 마이데이터의 전략적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20(3), 181-189.
  51. 이호근.이서영(2020). 창작 산업(Creative Industry)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 사례연구: 시장재편전략과 플랫폼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7), 177-188.
  52. 임은진(2014). 싱가포르의 교육 정책과 지리 교육과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1), 16-19.
  53. 정중호(2022). 디지털금융의 발전과 정책 과제. 글로벌금융리뷰, 3(2), 61-65.
  54. 차현정.가석현.윤혜경(2023). 과학 디지털 교과서 실감형 콘텐츠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평가: 중학교2학년 지구와 우주 영역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2), 59-72.
  55.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20). 영국의 에듀테크 활성화 지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etrieved from https://www.keris.or.kr/main/ad/pblcte/selectPblcteRMInfo.do?mi=1139&pblcteSeq=13409.
  56. 홍순철(2023). 디지털 교육 체제 전환 관련 주요 개념 및 해외사례. 공교육3.0뉴스, Retrieved from https://www.edu3.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1.
  57. 황에스더(2018). 싱가포르의 부진학생 지원 시스템 및 프로그램 현황. 해외교육동향, Retrieved from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strCurMenuId=54&pageIndex=1&pageCondition=10&nTbBoardArticleSeq=817933.
  58. DR(2024a). ultra:bit. Retrieved from https://www.dr.dk/skole/ultrabit.
  59. DR(2024b). Tema: Find undervisningsforlob her. Retrieved from https://www.dr.dk/skole/ultrabit/tema/find-undervisningsforloeb-her.
  60. Education estonia(2020a). How did Estonia become a new role model in digital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s://www.educationestonia.org/how-did-estonia-become-a-new-role-model-in-digital-education/.
  61. Education estonia(2020b). Estonia #1 in Europe for digital learning. Retrieved from https://www.educationestonia.org/estonia-no-1-in-europe-for-digital-learning/.
  62. education estonia(2024a). eKool. Retrieved from https://www.ekool.eu/en/home.
  63. education estonia(2024b). Services & products. Retrieved from https://www.educationestonia.org/services-and-products/?.
  64. Google, Arts & Culture(2024). Google, Arts & Culture. Retrieved from https://artsandculture.google.com/.
  65. Kraus, S., Jones, P., Kailer, N., Weinmann, A., Chaparro-Banegas, N., & Roig-Tierno, N.(2021). Digital transformation: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e of the art of research. Sage Open, 11(3), 21582440211047576.
  66. LendED(2024). LendED. Retrieved from https://www.lended.org.uk/.
  67. Lim, J. K.(2021). Let students' curiosity fuel their learning. SCHOOLBAG, Retrieved from https://www.schoolbag.edu.sg/story/let-students-curiosity-fuel-their-learning.
  68. Ministere de l'education national et de la jeunesse(2024a). Territoires Numeriques Educatifs. Retrieved from https://tne.reseau-canope.fr/.
  69. Ministere de l'education national et de la jeunesse(2024b). Le dispositif Edu-Up. Retrieved from https://eduscol.education.fr/1603/le-dispositif-edu.
  70. Ministry of Education(2017). Nurturing Future-Ready Learners: Empowering Students in Self-Directed Learning. Retrieved (2024.08.10) from https://www.moe.gov.sg/news/press-releases/20170816-nurturing-future-ready-learners-empowering-students-in-self-directed-learning.
  71. Ministry of Education(2023). Our educational technology journey. Retrieved (2023.09.13.) from https://www.moe.gov.sg/education-in-sg/educational-technology-journey.
  72. MOE Singapore(2019). What is Student Learning Spac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eKIHRVWxYPI&t=15s.
  73. MOE Singapore(2024). Student Learning Space. Retrieved from https://www.learning.moe.edu.sg/.
  74. Neo, W. T.(2021). Pushing the boundaries in teaching and learning. SCHOOLBAG, Retrieved from https://www.schoolbag.edu.sg/story/pushing-the-boundaries-in-teaching-and-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