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자료 중 607명의 응답을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은 독립변수,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SPSS 25.0, AMOS 24.0을 활용해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의 향상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갖는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기기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등 접근성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노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North Korean defector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on life satisfaction and to verify whether self-efficacy mediates this relationship. To this end, among the data on the digital information gap conducted in 2022, responses from 607 people were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25.0 and AMOS 24.0, with the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life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self-efficacy as the parameter. As a result, North Korean defector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mproving the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was found to increase self-efficacy. North Korean defector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self-efficacy through bootstrapping,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efforts to improve accessibility, such as education to improve North Korean defector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