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독일의 근현대 조경유산 보호제도와 지정사례 연구

A Study on the Case of Designation and Protection System of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Heritage in Germany

  • 김민선 (조경과 문화 ) ;
  •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전문대학원 유산기술학과)
  • Kim, Min-Seon (Landscape Architecture and Culture) ;
  • Kim, Choong-Sik (Dept. of Heritage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Graduate School of Korea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Heritage)
  • 투고 : 2024.05.13
  • 심사 : 2024.09.30
  • 발행 : 2024.09.30

초록

우리나라는 현재 근현대 조경유산의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아주 미비한 실정으로, 조경적 가치가 등록문화유산의 안내문, 기록화 보고서, 정기조사 보고서에 등장하지 않거나 건축유산의 주변환경으로만 간략히 현황 기록될 뿐이다. 반면 독일의 베를린에서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20세기의 모더니즘 주택단지 내 건축물 외부공간이 '정원기념물'로 지정 및 보호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독일의 관련 제도를 고찰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독일은 근대화 및 도시화의 산물이자 조경유산인 공원, 광장, 가로수, 묘지, 도시경관 등을 보호해야 할 기념물로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독일 정부 기관 사이트에 공개된 유산 목록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근현대 조경유산의 지정유형도 주거시설, 공공시설, 문화집회시설, 교육시설, 의료시설, 종교시설, 전쟁 관련 및 기념시설, 산업시설 등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현재 우리나라 등록문화유산 중 건조물 분류체계의 용도와 동일하였다. 우리나라는 등록문화유산 제도를 통해서 근현대 부동산 유산을 건조물 중심으로만 보호하고 있다면, 독일은 근현대 건축물과 그 외부공간 및 정원을 각각 구분하여 대등한 위계로 보호하고 있는 것이다. 조경유산의 지정구역 역시 건축기념물과 명확히 구분하여 설정하였으며, 동일 구역 내 조경유산도 양식이나 특성 등 보존 가치의 차이에 따라 지정구역을 세분하여 설정하기도 하였다. 또한 건축물과 외부공간 전체를 앙상블로 지정하고, 앙상블 내 건축물과 외부공간의 조경유산을 각각의 다른 기념물 유형으로 지정하면서 그 구역도 명확히 구분하여 보호하는 사례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우리나라에서도 근현대 조경유산을 발굴·보호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국적으로 근현대 조경유산 잠재자원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일정 영역 또는 요소가 현존하고 있다면 양식의 특징, 고유성 등의 규명 후 유산으로 지정 또는 등록하고 기록화 사업도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Currently, Korea lacks an institutional framework needed to safeguard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heritage. The value of landscapes is merely recorded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rchitectural heritage. On the other hand, attention has been drawn to Germany's approach, particularly in Berlin, where the outdoor spaces of buildings within housing estates listed as World Cultural Heritage are designated and protected as 'garden monuments.' This research seeks to explore Germany's relevant policies to glean insights that could be beneficial. Germany has established clear regulations to protect landscape heritages such as parks, squares, street trees, cemeteries, and cityscapes as monuments worthy of preservation.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heritage listings available on German government websites, the designated typ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heritage encompass a wide range of facilities including residential facilities, squares, parks, public facilities, cultural venues, educational facilities, healthcare facilities, religious facilities, war memorials, and industrial facilities. This aligns with the designated purposes outlined within the building classification system used for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in Korea. While Korea continues to prioritize the protection of structures, Germany adopts a more nuanced approach by separately identifying and equally safeguarding buildings, their surrounding spaces, and gardens. In defining areas for landscape heritage, a clear distinction was made from those designated for architectural monuments. Even within the same area, landscape heritages are further subdivided and specified according to variations in style, unique features, or their value for preservation. This research is anticipated to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al data for identifying and safeguarding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heritage within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문화재청(2017). 근현대 문화유산 보전 및 활용 관련 법령 체계 개선 연구 : 3. 6. 
  2.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search.naver.com. 
  3.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 
  4. 권예지, 김민선, 김충식(2022). 근현대 조경유산 보존을 위한 등록문화재 제도개선 방안 연구. 문화재지. 56(2). 
  5. 길지혜, 박희성(2022). 1920~30년대 한국 주택정원 인식과 정원가꾸기 양상. 한국조경학회지. 50(2). 
  6. 김진성(2009). 목포 ''이훈동 정원''의 일본식 정원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7. 김서린, 김해경, 박미현(2014). 근대 사직공원의 형성과 변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4). 
  8. 진혜영, 신현실(2020). 개항기 군산 근대정원의 조영특성에 관한 기초연구-군산 사가와 가옥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 
  9. 이경미, 배준규, 신현실(2021). 서울지역 문화주택의 근대정원 형성과정 및 조영특성-개항기 조계지 근대정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9. 
  10. 국가유산청 간행물. https://www.cha.go.kr. 
  11. 송호영(2022). 독일의 새로운 문화재보호법에 관한 고찰. 국제사법연구. 28(2): 341. 346. 361. 364. 
  12. 계인국(2019). 독일 문화재 보호법제의 체계와 발전양상. 유럽헌법연구. 30: 221-222. 
  13. 문화재청(2014). 선진국 문화재 보존관리 규범 현황 및 내용에 관한 연구 : 337. 
  14. 안두순(2016). 독일의 문화유산 보호정책과 통일 후 복원사업.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한국사무소 : 2. 
  15. Ursel Amrei Mosbauer(2003). Konservierung, Restaurierung und Rekonstruktion historischer Garten und Platze: Gartendenkmalpflegerische Umsetzungsprobleme von Theorie in Praxis. Technischen Universitat Munchen Doktor-Ingenieurs genehmigten Dissertation : 5. 8-10. 12. 
  16. 독일연방 및 주의 법 포털. https://justiz.de/onlinedienste/bundesundlandesrecht/index.php. 
  17. 남기봉, 오세규(1993). 브루노 타웃의 브리츠 말굽형 주거단지 계획의 공간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6) : 46. 
  18. 베를린 기념물데이터베이스. https://denkmaldatenbank.berlin.de. 
  19. 정찬용(1996). 외국도시의 도시조경:정책과 설계-독일의 도시 조경 정책: 도심 광장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4(1): 128-129. 
  20. 슐레스비히 홀슈타인 기념물데이터베이스. https://efi2.schleswig-holstein.de/kulturdenkmalsuche. 
  21. 브란덴부르크 기념물데이터베이스. https://bldam-brandenburg.de/denkmalinformationen. 
  22. Klaus-Henning von Krosigk(2011). Friedhofe als Gartendenkmal - das Beispiel Berlin, ICOMOS - Hefte des Deutschen Nationalkomitees Bd : 53. 29-31. 
  23. 함부르크 기념물데이터베이스. https://www.hamburg.de/bkm/denkmalkarte. 
  24. Ellen Brandenburger(2011). Zur Geschichte und Theorie der Gartendenkmalpflege. University of Bamberg Press : 9. 13. 43. 
  25. Melanie Schaffler(2023). Historische Garten Deutschlands vor dem Hintergrund der Charta von Florenz, diplom.de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