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도 경남대학교 연구년 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References
- 권오남, 오세준, 윤정은, 이경원, 신병철, 정원 (2023). ChatGPT의 수학적 성능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문제 풀이를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37(2), 233-256.
- 김동원, 홍진곤, 김선희, 신보미, 김연, 박진형, 탁병주, 황지현 (2020).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현장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 김세영, 조미경 (2022). 개별화 맞춤형 수학 학습을 지원하는 AI 기반 플랫폼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36(3), 417-438.
- 김영옥 (2008). 효과적인 수학 교수를 위한 교사 지식 기반 영역과 수학적 지식 구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596-608.
- 김욱태 (2024). 수학과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ChatGPT를 활용한 서답형 평가 피드백이 학생들의 피드백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김호석 (2024). ChatGPT를 활용한 인공지능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 교육부 (1997).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 교육부 (2007). 제7차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 교육부 (2022a). 총론.
- 교육부 (2022b). 수학과 교육과정.
- 노지화, 고호경, 김병수, 허난 (2023). 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한 수학교육 연구 방향의 함의.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6(1), 1-19.
- 문혜림, 김진혁, 한경희, 김시호 (2023). 대학입시 수능시험을 평가 도구로 적용한 ChatGPT의 학업 능력 분석.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11(5).
- 박지영 (2023). 파이썬을 활용한 <인공지능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군집분류(Clustering)를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박혜연, 손복은, 고호경 (2022).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6(1), 1-21.
- 백남진, 온정덕 (2014).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에서 기준과 수행의 의미. 교육과정연구, 32(4), 17-46.
- 선우진, 방정숙, 박예진 (2021). 교사가 수업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초등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35(1), 15-36.
- 서명희, 조민식 (2023). 인공지능(AI) 역량 함양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3(2), 771-790.
- 손태권 (2023). ChatGPT의 수학교육 활용 가능성 탐색: 분수 문제에 관한 학생의 산출물과 예비교사의 담화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6(2), 99-113.
- 신동조 (2020a). 초.중등교육에서 인공지능: 체계적 문헌고찰. 수학교육학연구, 30(3), 531-552.
- 신동조 (2020b).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AI) 활용에 관한 예비수학교사의 인식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34(3), 215-234.
- 안도연, 손태권, 이광호 (2023). 비계설정 도구로서의 ChatGPT: 초등학생의 수학 논리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평가. Digital, & Learning, 13(2), 183-196.
- 이유진 (2023). ChatGPT를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학수업설계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37(3), 497-516.
- 이동국, 이봉규, 이은상 (2022). 인공지능(AI) 활용 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및 연수 과제 도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8(2), 415-444.
- 이동국, 이은상 (2022). 인공지능(AI) 활용 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에 관한 교육요구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8(3), 821-842.
- 이순아 (2015). 한국과 미국의 예비교사들의 교육과 교직에 대한 견해 차이 들여다보기: 문화교류 프로젝트의 온라인 대화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8(2), 57-92.
- 이수한, 박대한 (2021). 수학 예비교사들의 교과 역량 중심 수업 실행 지식분석. 학교수학, 23(2), 269-288.
- 이한나, 강신천, 김의정, 김창석 (2023). 흥미도 향상을 위해 ChatGPT를 활용한 수학 교수 학습 방법 제안 및 적용: 미적분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발표논문집, 27(2).
- 오세준 (2023). 수학 문제 해결에서 효과적인 ChatGPT의 프롬프트 고찰: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를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37(3), 545-567.
- 윤정은, 박수민, 권오남 (2023). ChatGPT를 활용한 수학 플립러닝 사례연구: 학습자의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지, 29(2), 201-220.
- 최인선 (2022). 수학교실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탐색: 중학교 통계 단원 시나리오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5(2), 149-174.
- 황병남 (2023).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인공지능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Dunning, D., & Kruger, J. (1999). Unskilled and unaware of it: How difficulties in recognizing one's own incompetence lead to inflated self-assess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6), 1121-1134.
- Frieder, S., Pinchetti, L., Chevalier, A., Griffiths, R.-R., Salvatori, T., Lukasiewicz, T., Petersen, P. C., & Berner, J. (2023). Mathematical capabilities of ChatGPT. Proceedings of the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Track on Datasets and Benchmarks 3, NeurIPS Datasets and Benchmarks 2023, December 2023. Retrieved from https://arxiv.org/abs/2301.13867
- Graesser, A. C., Chipman, P., Haynes, B. C., & Olney, A. (2005). AutoTutor: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with mixed-initiative dialogue. IEEE Transactions on Education, 48(4), 612-618. Retrieved from https://doi.org/10.1109/TE.2005.856149
- Govender, R. (2023).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future of ChatGPT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s and higher education. Pythagoras, 44(1), a787. Retrieved from https://doi.org/10.4102/pythagoras.v44i1.787
- Hwang, G. J., & Chang, C. Y. (2023). A review of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chatbots in educatio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31(7), 4099-4112. Retrieved from https://doi.org/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