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nalysis of R&D investment efficiency in regional industries : Focusing on Daejeon

지역산업의 R&D 투자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 Byounghwa Lim (Department of Technology Practical Converg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Byungkwon Lim (Department of Technology Practical Converg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un-Kyu Kim (Department of Technology Practical Converg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임병화 (충남대학교 기술실용화융합학과) ;
  • 임병권 (충남대학교 기술실용화융합학과) ;
  • 김천규 (충남대학교 기술실용화융합학과)
  • Received : 2024.09.07
  • Accepted : 2024.10.04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D efficienc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s regional industries an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regional industries. To achieve thi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PI)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hanges of 16 Decision-Making Units (DMUs) in Daejeon's key industries from 2013 to 2022. The DEA analysis revealed that certain industry groups, such as the Research Industry (2013-2014), Bio Industry (2013-2014), and Metal Industry (2015-2017), demonstrated high efficiency by optimizing resource utilization. These industries were found to effectively maximize outputs by efficiently using resources in their R&D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some industries, such as the Knowledge Industry (2013-2014)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dustry (2015-2017), recorded relatively low efficiency, indicating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resource utilization and operational strategies. The Scale Efficiency (SE) analysis showed that some industries were not operating at an optimal scale. Furthermore, the MPI analysis, which evaluated productivity changes over time, confirmed that technological progress and changes in technical efficiency significantly impacted industry-specific productivity. Efficiency changes over time were recorded as 70.96% (13-'14), 70.317% (15-'17), 68.59% (18-'20), and 76.57% ('21-'22), with a 28.38% improvement potential over ten years.

본 연구는 대전지역 주력산업의 R&D 효율성을 평가하고, 지역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포락분석(DEA)과 Malmquist 생산성지수(MPI) 분석을 활용하여, 2013년부터 2022년까지의 대전 주력산업 16개 DMU(Decision-Making Units)에 대한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DEA 분석 결과, 연구산업('13-'14년), 바이오산업('13-'14년), 금속산업('15-'17년) 등은 자원 활용의 최적화를 이루어 높은 효율성을 나타냈다. 이는 연구개발 활동에서 자원을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산출을 극대화했음을 의미한다. 반면, 지식산업('13-'14년), 무선통신산업('15-'17년) 등 일부 산업군은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성을 기록하며, 자원의 비효율적 활용과 운영 전략의 개선이 필요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규모효율성(SE) 분석에서는 일부 산업군이 최적 규모에서 운영되지 않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Malmquist 생산성지수(MPI) 분석을 통해 시간에 따른 생산성 변화를 평가한 결과, 기술적 진보와 기술적 효율성의 변화가 산업별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시계열에 따른 효율성 변화는 70.96%('13-'14년) → 70.31%('15-'17년) → 68.59%('18-'20년) → 76.57%('21-'22년) 분석되었고 10년에 걸쳐 개선이 가능한 R&D의 총투자 효율성은 28.38%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주원, 이준석, 이학연. (2021). 지역경제 성장요인과 정책적 함의: 광역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30(2), 209-241.
  2. 안소희. (2024). 2023년 지역 R&D 실태조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4-25.
  3. 이동욱. (2015). 정부 R&D투자와 기업혁신 활동간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19-23.
  4. 김선배. (2001). 지역혁신 체제 구축을 위한 산업정책 모형. 지역연구, 17(2), 79-97.
  5. 이수창, 이환범. (2017). 지역경제 성장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논집, 29(2), 231-251, 10.21888/KPAQ.2017.6.29.2.231
  6. 김경근, 정선영, 홍성효. (2014). 중소기업 R&D 활동에서 외부조달 재원의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과 효율성 제고방안: 대전.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BOK] 한국은행 지역본부 공동연구보고서 모음집, 4(1), 161-201.
  7. 김보람, 김대철. (2017). DEA 모형을 활용한 혁신형 중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32(2), 339-358.
  8. 송희영, 최원석. (2011).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기법을 활용한 한국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변화 분석. 무역학회지, 36(4), 21-44.
  9. 이병철. (2008). 우리나라 광역시.도별 특허성과를 통한 연구개발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지식재산연구, 3(2), 99-121, 10.34122/jip.2008.12.3.2.99
  10. 권선희, 조윤기. (2019). 중국 하이테크산업의 R&D투자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유라시아연구, 16(3), 81-100.
  11. 정민수, 이영호, 유재성, 김의정. (2024). 지역경제 성장요인 분석과 거점도시 중심 균형발전. [BOK] 이슈 노트 [제2024-15호], 3-28.
  12. 한국개발연구원. (2006)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4+9 사업) 심층평가. 공공투자관리센터 연구보고서, 3-22.
  13. 박정희, 문종범. (2010). DEA를 이용한 지역산업 기술개발 사업의 효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23(4), 2047-2068.
  14.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next/new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9242&pageFlag=&sitePage
  15. 균형발전종합시시템. 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gbnCode=S51&eventNo=40
  16. 송우경. (2018).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의 변천과 발전 방향. 이슈페이퍼, 1-88.
  17.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2017.10.20.) 14개 시.도 지역주력산업 개편방안 확정 https://www.mss.go.kr/site/smba/ex/bbs/View.do?cbIdx=86&bcIdx=1003641&parentSeq=1003641
  18. 지방시대위원회. https://www.balance.go.kr/base/board/read?boardManagementNo=11&boardNo=9245&searchCategory=&page=4&searchType=&searchWord=&menuLevel=2&menuNo=41
  19. 전성만, 정현민. (2023).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성과와 한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학보, 20(3), 57-83.
  20. 이윤, 안영효. (2011). DEA와 Malmquist 생산성지수를 이용한 한국의 주요 국가산업단지 운영 효율성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5), 95-117.
  21. 고길곤. (2017). 효율성 분석 이론-자료포락분석과 확률변경분석, 문우사.
  22. 이철행. (2020).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 분석 연구국내 하이테크산업 사례 분석. 과학기술정책, 3(2), 187-209.
  23. 이정동, 오동현. (2012). 효율성 분석 이론. (주) 지필미디어, 81-102.
  24. 박병상, 이용균, 김윤신. (2009). DEA 를 이용한 종합병원의 효율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4), 299-312.
  25. 송건섭. (2015). 지방상수도 공기업의 경영성과 분석: DEA-Malmquist 지수 이용: DEA-Malmquist 지수 이용.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43-162.
  26. 이형석, 서형준. (2020). 17 개 광역자치단체의 R&D 투자효율성 분석. 지식재산연구, 15(2), 253-280.
  27. 한하늘. (2013). 인천광역시 연구개발 생산성 추세변화 비교분석-특허성과를 중심으로. 인천연구, (7), 141-175.
  28. 조윤기, 권선희. (2019). 중국 하이테크산업의R&D 투자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유라시아연구, 16(3), 81-100.
  29. 우청원. (2019). DEA 를 이용한 청정에너지기술 R&D 효율성 분석: 신재생에너지기술 R&D 과제를 대상으로. 기술혁신학회지, 22(4), 690-708.
  30. 김현정. (2019). 에너지 공기업 연구개발 (R&D) 투자의 효율성 측정과 제고 방안. 공공사회연구, 9(4), 162-182.
  31. 조남권, 김규환, 이석진. (2018). DEA 를 통한 중소. 중견기업의 R&D 효율성 분석. 지식재산연구, 13(2), 207-236.
  32. 조정래, 김태윤. (2017). 공기업 주관 R&D 효율성의 특성 분석: 국가에너지기술개발사업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국가에너지기술개발사업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규제연구, 26(2), 147-187.
  33. 윤상흠, 박춘식, 하귀룡. (2017). 국내 제약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32(1), 25-46.
  34. 이성희, 김태수, 이학연. (2015). DEA 윈도우 분석을 이용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사업화 동태적 효율성 분석. 경영과학, 32(4), 193-207.
  35. 윤정목, 류태수, 황승준, 박근완. (2014). DEA 를 통한 산업단지내 강소기업의 효율성 평가 및 특성에 관한 연구: R&D 투자를 중심으로: R&D 투자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7(10), 1747-1765.
  36. 이광배, 모수원. (2013). 우리나라 지역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과 동태적 효율성. 산업경제연구, 26(1), 333-345.
  37. 박석종, 김경화, 정상기. (2010). 과학기술적 성과 관점에서 정부 R&D 사업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4(2), 205-222.
  38. 방민석, 정혜진. (2011).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한 지방 R&D 사업의 효율성 분석. 지방행정연구, 25(4), 287-310.
  39. 소순후. (2011). 비방사적 SBM 모형을 이용한 지역 전략산업 기술개발투자의 효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24(2), 1169-1188.
  40. 박정희, 문종범. (2010). DEA 를 이용한 지역산업 기술개발 사업의 효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23(4), 2047-2068.
  41. Charnes, A., Cooper, W. W.,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 429-444.
  42. Farrell, M. 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General), 120(3), 253-281.
  43. Banker, R. D., Charnes, A., Cooper, W. 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9), 1078-1092.
  44. Cooper, W. W., Seiford, L. M., Zhu, J. (Eds.). (2011). Handbook on data envelopment analysis.
  45. Chen, Y., Ali, A. I. (2004). DEA Malmquist productivity measure: New insights with an application to computer industry.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59(1), 239-249.
  46. Rayeni, M. M., Vardanyan, G., Saljooghi, F. H. (2010). The measurement of productivity growth in the academic departments using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Journal of Applied Sciences, 10(22), 2875-2880.
  47. Fare, R., Grosskopf, S., Roos, P. (1998). Malmquist productivity indexes: a survey of theory and practice. In Index numbers: Essays in honour of Sten Malmquist, 127-190.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48. Wang, E. C., Huang, W. (2007). Relative efficiency of R&D activities: A cross-country study accounting for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DEA approach. Research policy, 36(2), 260-273.
  49. Sharma, S., Thomas, V. (2008). Inter-country R&D efficiency analysis: An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Scientometrics, 76(3), 483-501.
  50. Hashimoto, A., Haneda, S. (2008). Measuring the change in R&D efficiency of the Japanese pharmaceutical industry. Research policy, 37(10), 1829-1836.
  51. Wang, Y., Pan, J. F., Pei, R. M., Yi, B. W., Yang, G. L. (2020). Assessing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efficiency of China's high-tech industries with a two-stage network DEA approach. Socio-Economic Planning Sciences, 71, 1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