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하 공공 보도 시설의 CPTED 적용 효과 분석 : 사례 비교 연구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PTED Implementation in Underground Public Walkway Facilities

  • 강영진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공공디자인전공) ;
  • 염건령 (가톨릭대학교 행정학과 탐정학) ;
  • 김주연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
  • Kang Young-Jin (Public Design Dept,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Yeom Keon-Ryeong (Major on Private Investigation,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Joo-Yun (Industrial Design Dept, Hongik University)
  • 투고 : 2024.07.30
  • 심사 : 2024.09.20
  • 발행 : 2024.10.31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에 있는 세 개의 지하보도 개선 사업에 대하여 CPTED(환경 디자인을 통한 범죄예방) 규정된 원칙에 근거하여 안전성과 활용지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연구이다. 2024년에 실시한 조사는 접근통제, 감시강화, 유지관리, 명료성 강화, 활용성(영역성) 강화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지하보도의 접근통제는 제한적이었고, 감시강화는 일부 지하보도에서 효과적이었으나, 명료성과 활용성 강화는 전반적으로 부족했다. 최종적으로, AHP 방법을 사용한 평가에서 역삼 지하보도와 종각 지하보도는 '매우 좋음', 선릉 지하보도는 '좋음' 등급을 받았다. 연구는 지하보도의 CPTED 적용을 개선하고 지속적인 유지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는 범죄예방 및 공간 활용도 향상에 기여할 것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evaluates the safety and usability of three underground walkways in Seoul by applying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principles. The 2024 survey focused on five key concepts: Access control, Surveillance enhancement, Maintenance, Legibility enhancement, and Territorial usability enhanc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Access control in the underground walkways was limited. While Surveillance enhancement proved effective in some walkways, Legibility and Territorial usability enhancements were generally lacking. Ultimatel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or evaluation, both the Yeoksam and Jonggak underground walkways received a "Very Good" rating, while the Seolleung underground walkway received a "Good" rating. The research highlights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applying CPTED principles to underground walkway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maintenance. These measures, the study suggests, will contribute to crime prevention and enhance the overall usability of these spaces.

키워드

참고문헌

  1. 민영희.하미경.권주영(2016). "상업시설 지하주차장의 CPTED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형마트와 백화점, 복합상업시설 지하주차장 현장조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5권 제3호, 통권116호, 한국실내디자인학회. pp. 129-137.
  2. Newman, O.(1972). Defensible Space; People and Design in the Violent City, Architecture Press.
  3. Gibson, V. L.(2016). Third Generation CPTED-Rethinking the Basis for Crime Prevention Strategies, Northumbria University.
  4. Jeffery, C. R.(1971).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14. no. 4, pp. 598-598.
  5. Crowe, T. D., & Fennelly, L. J.(2013).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msterdam : Elsevier.
  6. Atlas, Randall I. (2013). 21st Century Security and CPTED, Designing for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and Crime Prevention. Routledge.
  7. 이수연.윤준호,.유안식.김지온(2023). "야간 시간대 보행자의 범죄 두려움 감소를 위한 CPTED 적용방안", 한국셉테드학회지, 제14권 제3호, 한국셉테드학회, pp. 173-200.
  8. Mihinjac, M., & Saville, G.(2019a). "Third-Generati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MDPI.
  9. Mihinjac, M., & Saville, G.(2019b). "Crime and Fear in Hollygrove; Building Neighbourhood Resil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and Applied Criminal Justice, pp. 1-20.
  10. Rea, M. S.(2000). IESNA Lighting Handbook., 9th ed.,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of North America.
  11. 전준하.최응렬(2023). "시민들의 CPTED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2권 제3호, 통권 제93호, 한국공안행정학회, pp. 373-404.
  12. 윤희숙.강석진(2023). "지방도시 보행로의 범죄안전을 위한 CPTED 연구", 한국셉테드학회지, 제14권 제3호, 한국셉테드학회, pp. 201-229.
  13. Creswell, J. W., & Creswell, J. D.(2018).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5th Edition, Sage Publications.
  14. Saaty, Thomas L.(2012). Decision Making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University of Pittsburgh.
  15. Greco, S., Ehrgott, M. & Figueira, J. R.(2016). Multiple Criteria Decision Analysis State of the Art Surveys, Springer.
  16. 박준호.장현석.김혜림.성민경.김나은(2022). "서울지역의 CPTED 사업 실시 지역과 행정동 수준 범죄 유형별 발생등급 간 공간적 상관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셉테드학회지, 제13권 제3호, 한국셉테드학회, pp. 185-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