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민석 (2018).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임파워먼트 연구동향 분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9(-), 81-112. doi:10.17997/SWRY.59.1.4.
- 김병수, 이종연 (2019). 소프트웨어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385-405. doi:10.22251/jlcci.2019.19.22.385
- 김선진, 최인수 (2013). 2000-2011년까지 유아 창의성 교육의 연구 동향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2), 47-69.
- 김수연, 최명일, 김대욱 (2013). 한국과 미국의 PR 연구 경향 분석 『홍보학연구』와 JPRR 게재 논문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7(3), 120-153. doi:10.15814/jpr.2013.17.3.120
- 김수정, 김지연 (2022). 최근 10년간(2011년-2020년) 유아 교육 및 보육현장에서의 창의성 관련 연구동향분석: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22(1), 31-45. doi:10.21213/kjcec.2022.22.1.31
- 김은영 (2019). 누리과정 개정의 배경과 개정 내용. 육아정책포럼, 62, 6-15.
- 김재우, 김동진 (2019).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회과 연구 동향 분석: 2000년대 이후의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51(2), 35-70. doi:10.35557/trce.51.2.201906.002
- 김현숙 (2017). 유아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당약함 (2022).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연구동향과 지식구조 분석: 텍스트마이닝과 의미연결망을기반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두순, 문양세, 박영호, 윤찬현, 정영식, 장형석 (2014). 빅데이터 컴퓨팅 기술. 서울: 한빛아카데미.
- 박병기, 강현숙 (2007). 한국 창의성 연구의 조망. 교육심리연구, 21(1), 233-264.
- 박선혜 (2014).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텍스트 연결망 분석: 놀이 관련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지우, 박하나, 정성희, 임규연 (2022).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개별화 학습 연구동향 분석: TF-IDF, LDA 기반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34(4), 711-739.
- 소경희, 허예지, 이종아 (2016). 한국의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고개발, 12(1), 1-20.
- 신동훈, 김세현 (2020).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외국인 유학생 연구 동향 분석: 시기별연구주제 변화 탐색. 교육학연구, 58(1), 333-361.
- 안동근, 한지수 (202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창의성과 환경 연구의 지식구조 탐구. 창의력교육연구, 23(3), 59-79. doi:10.36358/JCE.2023.23.3.59
- 양태연 (2021).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창의력교육연구, 21(2), 23-46. doi:10.36358/JCE.2021.21.2.23
- 연준모 (2018).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창의력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18(4), 1-22. doi:10.36358/JCE.2018.18.4.1
- 유효인, 문가영 (2019).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성과 놀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 23-51. doi:10.22251/jlcci.2019.19.12.23
- 윤희진 (2020).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다문화 멘토링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9(1), 27-50.
- 이강훈, 제희선 (2018).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창의인성교육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4), 121-144. doi:10.22155/JFECE.25.4.121.144
- 이경화 (2016). 3-5세 누리과정의 한계와 유아교육자의 과제. 생태유아교육연구, 15(4), 1-23.
- 이송연, 안도희 (2015). 아동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부모·교사교육 국내 연구동향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33(2), 177-201.
- 이신동, 기순신, 김복영, 성은현, 박현옥, 박춘성, 이정아, 김현미, 이영희, 박미경, 송명숙, 김진, 이현옥, 최승일 (2016). 유아창의성 교육. 서울: 양서원.
- 장상옥 (2018).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분석: 교육과정 분석 연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1059-1086. doi:10.22251/jlcci.2018.18.24.1059
- 전경원, 박인영, 김경숙, 오한나 (2020). 발문 중심의 유아 창의성 교육. 파주: 정민사.
- 전경원, 오한나 (2020). 2007년-2019년까지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창의력교육연구, 20(1), 1-22. doi:10.36358/JCE.2020.20.1.1
- 최인수 (2001). 유아의 창의적 특성과 교육적 시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2), 103-128.
- 최현주, 최연철 (2016).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601-627.
- 하석영, 이정민 (2019). 대학생 창의성 교육프로그램 연구동향. 창의력교육연구, 19(3), 87-102. doi:10.36358/JCE.2019.19.3.87
- 한기순, 추교남, 양태연 (2019).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창의성 연구 흐름과 방향에 대한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19(4), 1-19. doi:10.36358/JCE.2019.19.4.1
- 한안나 (2024).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아 창의성 교육 담론 분석.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황정숙 (2008).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Clements, D. H. (1986). Effects of logo and CAI environment on cognition and creativ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4). 309- 318.
- Runco, M. A. (1989). Parents' and teachers' ratings of the creativity of children.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1), 73.
- Sawyer, R. K., John-Steiner, V., Moran, S., Sternberg, R. J., Feldman, D. H., Nakamura, J., & Csikszentmihalyi, M. (2003). Creativity and development. NY: Oxford University Press.
- Suryana, D., Tika, R., & Wardani, E. K. (2022, June). Management of crea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environment in increasing golden age creativity. In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CECE-6 2021) (pp. 17-20). Atlantis Press. doi:10.2991/assehr.k.220602.005
- TEXTOM (n.d.). TEXTOM 매뉴얼 v4.0. https://www.textom.co.kr/manual/manual_collecting에서 2023년 3월 4일에 인출
- Torrance, E. P., Bruch, C. B., & Torrance, J. P. (1976). Interscholastic futuristic creative problem solving.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0(2), 117-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