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Using Text Mining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유아 창의성 교육 국내 연구동향 분석

  • Anna Han ;
  • Heesook Hwang
  • 한안나 (국립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 황희숙 (국립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4.07.24
  • Accepted : 2024.08.24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search trends in creativity education for Korean children using term-frequency analysis,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analysis within text mining techniques. Methods: For this purpose,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802 articles published in KCI-listed journals from 2001 to 2022, using Textom. Results: This results showed that, first, words such as 'young children', 'creativity', 'activity', 'program', 'creative', 'test', 'education', and 'effectiveness' consistently appeared among the top 30 most frequent terms across all periods. Second, semantic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words like 'young children', 'creativity', 'activity', and 'program' consistently exhibited high centrality, there were notable changes in the centrality of 'test' over time, including a decrease in its centrality and varying influential words across different periods. Third, three to four topics were identified for each period, with common themes such as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to promote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longside period-specific topics like giftedness and play, highligh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time period.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over the past 22 year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offer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석 (2018).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임파워먼트 연구동향 분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9(-), 81-112. doi:10.17997/SWRY.59.1.4.
  2. 김병수, 이종연 (2019). 소프트웨어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385-405. doi:10.22251/jlcci.2019.19.22.385
  3. 김선진, 최인수 (2013). 2000-2011년까지 유아 창의성 교육의 연구 동향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2), 47-69.
  4. 김수연, 최명일, 김대욱 (2013). 한국과 미국의 PR 연구 경향 분석 『홍보학연구』와 JPRR 게재 논문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7(3), 120-153. doi:10.15814/jpr.2013.17.3.120
  5. 김수정, 김지연 (2022). 최근 10년간(2011년-2020년) 유아 교육 및 보육현장에서의 창의성 관련 연구동향분석: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22(1), 31-45. doi:10.21213/kjcec.2022.22.1.31
  6. 김은영 (2019). 누리과정 개정의 배경과 개정 내용. 육아정책포럼, 62, 6-15.
  7. 김재우, 김동진 (2019).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회과 연구 동향 분석: 2000년대 이후의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51(2), 35-70. doi:10.35557/trce.51.2.201906.002
  8. 김현숙 (2017). 유아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당약함 (2022).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연구동향과 지식구조 분석: 텍스트마이닝과 의미연결망을기반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박두순, 문양세, 박영호, 윤찬현, 정영식, 장형석 (2014). 빅데이터 컴퓨팅 기술. 서울: 한빛아카데미.
  11. 박병기, 강현숙 (2007). 한국 창의성 연구의 조망. 교육심리연구, 21(1), 233-264.
  12. 박선혜 (2014).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텍스트 연결망 분석: 놀이 관련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지우, 박하나, 정성희, 임규연 (2022).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개별화 학습 연구동향 분석: TF-IDF, LDA 기반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34(4), 711-739.
  14. 소경희, 허예지, 이종아 (2016). 한국의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고개발, 12(1), 1-20.
  15. 신동훈, 김세현 (2020).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외국인 유학생 연구 동향 분석: 시기별연구주제 변화 탐색. 교육학연구, 58(1), 333-361.
  16. 안동근, 한지수 (202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창의성과 환경 연구의 지식구조 탐구. 창의력교육연구, 23(3), 59-79. doi:10.36358/JCE.2023.23.3.59
  17. 양태연 (2021).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창의력교육연구, 21(2), 23-46. doi:10.36358/JCE.2021.21.2.23
  18. 연준모 (2018).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창의력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18(4), 1-22. doi:10.36358/JCE.2018.18.4.1
  19. 유효인, 문가영 (2019).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성과 놀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 23-51. doi:10.22251/jlcci.2019.19.12.23
  20. 윤희진 (2020).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다문화 멘토링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9(1), 27-50.
  21. 이강훈, 제희선 (2018).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창의인성교육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4), 121-144. doi:10.22155/JFECE.25.4.121.144
  22. 이경화 (2016). 3-5세 누리과정의 한계와 유아교육자의 과제. 생태유아교육연구, 15(4), 1-23.
  23. 이송연, 안도희 (2015). 아동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부모·교사교육 국내 연구동향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33(2), 177-201.
  24. 이신동, 기순신, 김복영, 성은현, 박현옥, 박춘성, 이정아, 김현미, 이영희, 박미경, 송명숙, 김진, 이현옥, 최승일 (2016). 유아창의성 교육. 서울: 양서원.
  25. 장상옥 (2018).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분석: 교육과정 분석 연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1059-1086. doi:10.22251/jlcci.2018.18.24.1059
  26. 전경원, 박인영, 김경숙, 오한나 (2020). 발문 중심의 유아 창의성 교육. 파주: 정민사.
  27. 전경원, 오한나 (2020). 2007년-2019년까지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창의력교육연구, 20(1), 1-22. doi:10.36358/JCE.2020.20.1.1
  28. 최인수 (2001). 유아의 창의적 특성과 교육적 시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2), 103-128.
  29. 최현주, 최연철 (2016).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601-627.
  30. 하석영, 이정민 (2019). 대학생 창의성 교육프로그램 연구동향. 창의력교육연구, 19(3), 87-102. doi:10.36358/JCE.2019.19.3.87
  31. 한기순, 추교남, 양태연 (2019).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창의성 연구 흐름과 방향에 대한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19(4), 1-19. doi:10.36358/JCE.2019.19.4.1
  32. 한안나 (2024).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아 창의성 교육 담론 분석.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황정숙 (2008).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Clements, D. H. (1986). Effects of logo and CAI environment on cognition and creativ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4). 309- 318.
  35. Runco, M. A. (1989). Parents' and teachers' ratings of the creativity of children.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1), 73.
  36. Sawyer, R. K., John-Steiner, V., Moran, S., Sternberg, R. J., Feldman, D. H., Nakamura, J., & Csikszentmihalyi, M. (2003). Creativity and development. NY: Oxford University Press.
  37. Suryana, D., Tika, R., & Wardani, E. K. (2022, June). Management of crea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environment in increasing golden age creativity. In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CECE-6 2021) (pp. 17-20). Atlantis Press. doi:10.2991/assehr.k.220602.005
  38. TEXTOM (n.d.). TEXTOM 매뉴얼 v4.0. https://www.textom.co.kr/manual/manual_collecting에서 2023년 3월 4일에 인출
  39. Torrance, E. P., Bruch, C. B., & Torrance, J. P. (1976). Interscholastic futuristic creative problem solving.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0(2), 117-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