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주 공산성의 외래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The Alien Plants and Management Plans of Gongsanseong in Gong-ju

  • 투고 : 2024.05.17
  • 심사 : 2024.06.27
  • 발행 : 2024.06.30

초록

본 연구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 공산성을 대상으로 공간 내 외래식물 식재현황을 분석하고 관리방안을 연구하여 전통 경관과 환경을 유지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생태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산성의 관속식물상은 전체 197분류군으로 자생식물은 174분류군(88.3%), 외래식물은 21분류군(10.7%) 그리고 귀화식물은 22분류군(11.2%)으로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멸종위기종(CR) 목련이 출현하여 전체 식물종의 0.5% 비율을 보였으며. 특산식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침입외래식물은 돌소리쟁이, 가시박 등 2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경미한 확산(MS)은 7분류군(35.0%), 심각한 확산(SS)은 2분류군(10.0%), 광범위한 확산(WS)은 10분류군(50.0%)으로 WS > MS > SS 순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2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국화과 8분류군, 콩과 4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도시화지수는 10.7%, 귀화율은 6.5%로 확인되었다. 관리방안은 전문가를 활용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식물종별 위치와 규모 및 생육정보 등을 사전에 파악하고 외래종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연간 제거사업계획 수립이 가능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planting status of alien plants in Gongsanseong,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t provides ecological information necessary to maintain and manage traditional landscapes and environments. Vascular flora was identified as 174 taxa (88.3%) of native plants, 21 taxa (10.7%) of alien plants, and 22 taxa (11.2%) of naturalized plants among the total 197 taxa. As for rare plants, endangered species (CR) Magnolia kobus DC. appeared, accounting for 0.5% of all plant species. Endemic plants were not identified. As for the invasive alien plants, 21 taxa were identified, such as the Rumex obtusifolius L and Sicyos angulatus L. As for the degree of spread, mild spread (MS) was identified as 7 taxa (35.0%), severe spread (SS) as 2 taxa (10.0%), and extensive spread (WS) as 10 taxa (50.0%). As for naturalized plants, 22 taxa were naturalized, followed by 8 taxa of Asteraceae and 4 taxa of Fabaceae. The urbanized index was 10.7% and the naturalized plants ratio was 6.5%. The management plan is to identify the location, size and growth information of each plant species in advance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using expert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n annual removal project plan based on basic information on alien spec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문화재연구소(2013) 국가지정문화재 민속마을의 식생현황 및 전통식생경관 복원방안. 국립문화재연구소
  2. 박용하, 김재욱(2015). 기후변화와 생태계 변화에 기반한 침입외래종의 관리 전략.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보고서.
  3. 김홍지(2008). 문화재지정 이후 전통마을 보존방침의 변천과 경관변용에 관한 연구 -안동하회마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0(3): 119-126.
  4. 유주한(2022). 경주 전통사찰의 침입외래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분황사, 백률사, 삼불사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0(2): 44-58. https://doi.org/10.14700/KITLA.2022.40.2.044
  5. 정용문, 권용호, 이상화, 최재용, 송호경(2007). 공주시 공산성의 산림식생 구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2): 16-25.
  6. 기상청(2022). 기상연보. 서울: 기상청.
  7. 임동옥, 황인천(2006). 가야산국립공원의 외래식물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281-288.
  8. 류새한(2009). 하천변의 외래식물. 숲과문화연구회. 18(5): 60-62.
  9. 국립수목원(2019). 국가표준식물목록 개정판. 포천: 국립수목원
  10.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Berlin : Gebruder Bornteaeger.
  11. 국립수목원(2022). 한국 관속식물 적색목록 한국의 희귀식물. 포천: 국립수목원.
  12. 이창복(2014). 대한식물도감(원색). 서울: 향문사.
  13. 이헌병(2003). 성주 한 개마을 공간구성 및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부천대학교 논문집. 24: 5-13.
  14. 이영노(2006). 한국식물도감. 서울: 교학사.
  15. Raunkiaer, C.(1934).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Charendon press.
  16. 이유미, 박수현, 정수영, 오승환, 양종철(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1): 87-101.
  17. Kariyama, S. and H. Kobatake(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18. Numata(1975) Naturalized Plants. Tokyo: Japanese books.
  19.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4): 69-83.
  20. 문화재청(2004).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 문화재청 보고서.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4)
  21. 김종원(2013). 한국 식물 생태 보감 1. 파주: 자연과생태.
  22. 이인용, 김승환, 홍선희(2023). 생태계교란식물인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환삼덩굴의 발생특성과 관리. 한국잡초학회. 10(3): 227-242.
  23. 이인용, 박재읍, 박태선, 문병청, 소재성, 오세문(2008). 환경위해잡초환삼덩굴의 제초제 및 피복물에 의한 방제효과. 한국잡초학회. 28(3): 360-364.
  24. 박수현(2009). 한국의 귀화식물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서울: 일조각.
  25.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1995).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조사(I). 국립환경연구원 보고서.
  26. 강병화(2014). 생태계교란식물 가시박의 친환경 방제기술개발.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27. 이용호, 정경식, 유성영, 이민주, 박종용, 김태완, 오영주, 홍선희(2014). 토양 피복 망 크기에 따른 가시박의 피압 효과. 한국잡초학회 2014 추계 학술대회 초록집. pp.105.
  28. 이인용, 김승환, 이용호, 홍선희, 박기웅(2021). 생태계교란식물 가시박의 발생특성과 관리방안. 한국잡초학회. 10(4): 353-363.
  29. Masters, G. and Norgrove, L. (2010). Climate change and invasive alien species, CABI Working Paper 1.
  30. 김진석(2016). 생태계 교란식물 cordgrass (Spartina spp.)의 효과적인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고찰. 한국잔디학회. 5(3): 11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