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연구사업(PJ01716402)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References
- 강민재, 김효남(2014). 대전 소재 5개 초등학교 과학 교재원의 활용 실태 사례.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0(2), 11-24.
- 계보경(2016). 미래 학교 공간의 설계 방향.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3(4), 18-22.
- 곽혜란(2022). 식물 미세먼지 제거 학습을 위한 교과융합형 문제해결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5(1), 89-114.
- 구자율(2003). 초등학교 교실 내 실내정원의 도입이 집단 괴롭힘과 주의 집중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권순철, 이용환(2023). 소규모 학교공간혁신 효과성 분석. 교육녹색환경연구, 22(4), 1-8.
- 김달효(2023). 학교 공간의 요소로서 자연환경의 가치와 시사점. 인간․환경․미래, 제30호, 99-119.
- 김도기, 김지선, 문영진, 김제현, 권순형, 문영빛(2019). 미래학교의 개념 및 공간 설계의 방향 탐색. 교원교육, 35(2), 119-146.
- 김민경(2022).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교육환경 구현을 위한 초등학교 개축설계 - 창의성 증진을 고려한 학습환경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8(11), 187-198.
- 김진영, 곽혜란(2008). 교실 내 실내정원 설치가 아동 놀이성 및 놀이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3), 201-221.
- 김태수(2003). 식물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정서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병준, 조태연(2021). 학교공간혁신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유연한 공간플랫폼 제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6(4), 145-154.
- 박성철(2018).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시설연구 : 학습자 중심의 학교 시설 재구조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 유명희(2023).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의 공간 재구조화 효과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8(1), 135-148.
- 유연정, 최홍규(2017). 효율적인 교재원 운영을 위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4), 89-110.
- 이경선(2016). 미래학교의 디자인 방향.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3(4), 12-17.
- 이동국(2019). 미래학교의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공간 설계 방향 탐색. 교육시설, 26(5), 26-31.
- 이상민, 이현주(2022). 학교공간혁신의 교육효과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교육녹색환경연구, 21(3), 26-37.
- 이성인(2000). 초등학교 학습원의 교육적 활용.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윤서(2019).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시설 연구 - 미래형 학습공간 모형 개발 -. 한국교육개발원.
- 이재림(2020). 미래 교육정책에 따른 학교 공간 혁신의 방향. 건축, 64(11), 40-42.
- 장미(2013). 수도권지역의 스쿨팜 운영현황 및 초등농업교육 연계에 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나라, 유수진, 김광진, 한승원(2020). 수직정원을 활용한 초등학교 식물교육프로그램 운영 효과 분석. 환경복원녹화, 23(5), 736-86.
- 정나라, 정현정(2020). 초등학교 외부공간 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녹색환경연구, 19(3), 38-47.
- 정나라, 유수진, 김광진, 한승원(2020). 수직정원을 활용한 초등학교 식물교육프로그램 운영 효과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3(5), 73-86.
- 조시은, 백선경, 방재성(2021). 그린스마트미래학교를 위한 건축기획 개선방안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건축공간연구원.
- 조진일(2020). 미래 교수-학습 및 공간의 유형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9(1), 13-24.
- 주은정, 이지혜(2021). 학교 공간 혁신으로부터 시작되는 배움의 변화. 한국초등교육, 32(2), 271-285.
- 주은정, 임보라, 고홍규(2023). 학교장의 식물기르기에 대한 교육적 신념으로 촉발된 생태교육의 운영과정과 그 의미. 한국초등교육, 34(4), 381-400.
- 최인영(2023). 초등학교 공간혁신을 위한 공간사용 행태 및 요구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2(3), 21-28.
-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미래학교 디자인 가이드라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홍선주, 임지영(2024). 학교교육공간 혁신을 위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 탐색. 교육녹색환경연구, 23(2), 1-10.
- 황동국(2018). 초등학생 성격유형에 따른 원예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1), 1033-1050.
- Aikens, K., McKenzie, M., & Vaughter, P. (2018). Environmental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policy researc h: A systematic review of methodological and thematic trends. Environmental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Policy, 265-292.
- Barragan-Jason, G., Loreau, M., de Mazancourt, C., Singer, M. C., & Parmesan, C. (2023).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nections with nature improve both human well-being and nature conservation: A systematic review of meta-analyses. Biological Conservation, 277, 109842.
- Diaz-Lopez, C., Serrano-Jimenez, A., Chacartegui, R., Becerra-Villanueva, J. A., Molina-Huelva, M., & Barrios-Padura, A. (2023). Sensitivity analysis of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and its implications in the built environment. Environmental development, 45, 100795.
- Doxey, J. S., Waliczek, T. M., & Zajicek, J. M. (2009). The impact of interior plants in classrooms on students' performance, attendance, and attitudes. HortScience, 44(2), 384-391.
- Gruenewald, D. A. (2003). The best of both worlds: A critical pedagogy of place. Educational Researcher, 32(4), 3-12.
- Hadjichambis, A. C., & Paraskeva-Hadjichambi, D. (2020). Education for environmental citizenship: The pedagogical approach. Conceptualizing environmental citizenship for 21st century education, 4, 237-261.
- Jax, K., Calestani, M., Chan, K. M., Eser, U., Keune, H., Muraca, B., ... & Wittmer, H. (2018). Caring for nature matters: a relation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nature's contributions to human well-being. Current opinion i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35, 22-29.
- Jorgenson, S. N., Stephens, J. C., & White, B. (2019). Environmental education in transition: A critical review of recent research on climate change and energy educ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50(3), 160-171.
- Kim, K. H., & Lee, J. Y. (2020). The effects of indoor plan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ntr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3), 1-12.
- Kopnina, H. (2018).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The turn away from 'environment'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Environmental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policy (pp. 135-153). Routledge.
- Louv, R. (2008). Last Child in the Woods: Saving Our Children from Nature-Deficit Disorder. Algonquin Books.
- Orr, D. W. (1994). Earth in mind: On education, environment, and the human prospect. Island Press.
- Otto, S., & Pensini, P. (2017). Natur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of childre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connectedness to nature, together, are related to ecological behaviour. Global environmental change, 47, 88-94.
- Palmer, J. A. (1998).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ory, practice, progress and promise. Routledge.
- Stevenson, R. B., Lasen, M., Ferreira, J. A., & Davis, J. (2017). Approaches to embedding sustainability in teacher education: A synthesis of the literatur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63, 405-417.
- Stevenson, R. B., Lasen, M., Ferreira, J. A., & Davis, J. (2017). Approaches to embedding sustainability in teacher education: A synthesis of the literatur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63, 405-417.
- Sukma, E., Ramadhan, S., & Indriyani, V. (2020).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Vol. 1481, No. 1, p. 012136). IOP Publishing.
- Tilbury, D. (1995).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Defining the new foc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1990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2), 195-212.
- Van De Wetering, J., Leijten, P., Spitzer, J., & Thomaes, S. (2022). Does environmental education benefit environmental outcom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meta-an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81, 101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