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Green Schools in Elementary Education -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Indoor Plants in Schools -

초등학교의 그린학교 조성 방향 설정 탐색 - 학교 실내식물 도입현황 및 관리특성 분석 -

  • Jeong, Na-Ra ;
  • Han, Seung-Won ;
  • Kim, Jai-Soon ;
  • Kim, Woo-Young ;
  • Lee, Hyeong-Seok
  • 정나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 한승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 김재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 김우영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 이형석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Received : 2024.08.26
  • Accepted : 2024.09.27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plants introduced into indoor spaces to identify strategies for developing green elementary schools. Indoor plants are predominantly potted and primarily introduced into shared spaces, including entrances and hallways, rather than classrooms. Although the positive effects of indoor plants have been acknowledged, there is also an awareness of negative sentiments, including the difficulties in managing them. Although some level of plant maintenance is carried out, there are recognized challenges, such as budget allocation, designation of responsible personnel, and availability of management information. To ensure proper maintenance, concerns like budget support, assignment of duties, and increased interest need to be addressed. Compared to other staff, teachers express a greater need for plants to be introduced, which should be evaluated in terms of maintenance, environmental purification, and safety. In future restructuring projects to create spaces for learning, relaxation, and other activities by introducing plants indoors, the following should be considered: selection of plants suitable f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stablishment of maintenance plans including the budget; and expert support. Moreover, strategies to approach plant maintenance as an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student participation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그린학교 조성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실내공간에 도입된 식물의 현황과 관리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내식물은 화분형의 비율이 높으며 교실보다는 현관, 복도 등의 공용 공간에 우선 도입하고 있다. 실내식물에 의한 긍정적 효과에 공감하고 있으나 관리 어려움 등의 부정적 정서 또한 함께 인식하고 있다. 실내식물의 관리는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관리 예산, 담당자 지정, 관리정보 등의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인식되고 있으며 아울러 유지관리를 위해 예산지원, 업무분장, 관심 증가 등이 해결되어야 한다. 교원은 직원에 비해 식물 도입의 필요도가 높으며 식물은 유지관리, 환경정화, 안전성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실내에 식물을 도입하여 학습, 휴식 등의 공간을 조성하는 재구조화 사업 등이 추진될 때 환경 특성에 적합한 식물의 선정, 예산을 비롯한 유지관리 계획 수립, 전문가의 지원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참여 프로그램, 교육자료 개발 등을 통해 식물 유지관리가 업무가 아닌 교육의 행위로 다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략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연구사업(PJ01716402)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강민재, 김효남(2014). 대전 소재 5개 초등학교 과학 교재원의 활용 실태 사례.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0(2), 11-24. 
  2. 계보경(2016). 미래 학교 공간의 설계 방향.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3(4), 18-22. 
  3. 곽혜란(2022). 식물 미세먼지 제거 학습을 위한 교과융합형 문제해결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5(1), 89-114. 
  4. 구자율(2003). 초등학교 교실 내 실내정원의 도입이 집단 괴롭힘과 주의 집중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권순철, 이용환(2023). 소규모 학교공간혁신 효과성 분석. 교육녹색환경연구, 22(4), 1-8. 
  6. 김달효(2023). 학교 공간의 요소로서 자연환경의 가치와 시사점. 인간․환경․미래, 제30호, 99-119. 
  7. 김도기, 김지선, 문영진, 김제현, 권순형, 문영빛(2019). 미래학교의 개념 및 공간 설계의 방향 탐색. 교원교육, 35(2), 119-146. 
  8. 김민경(2022).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교육환경 구현을 위한 초등학교 개축설계 - 창의성 증진을 고려한 학습환경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8(11), 187-198. 
  9. 김진영, 곽혜란(2008). 교실 내 실내정원 설치가 아동 놀이성 및 놀이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3), 201-221. 
  10. 김태수(2003). 식물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정서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병준, 조태연(2021). 학교공간혁신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유연한 공간플랫폼 제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6(4), 145-154. 
  12. 박성철(2018).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시설연구 : 학습자 중심의 학교 시설 재구조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3. 유명희(2023).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의 공간 재구조화 효과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8(1), 135-148. 
  14. 유연정, 최홍규(2017). 효율적인 교재원 운영을 위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4), 89-110. 
  15. 이경선(2016). 미래학교의 디자인 방향.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3(4), 12-17. 
  16. 이동국(2019). 미래학교의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공간 설계 방향 탐색. 교육시설, 26(5), 26-31. 
  17. 이상민, 이현주(2022). 학교공간혁신의 교육효과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교육녹색환경연구, 21(3), 26-37. 
  18. 이성인(2000). 초등학교 학습원의 교육적 활용.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윤서(2019).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시설 연구 - 미래형 학습공간 모형 개발 -. 한국교육개발원.
  20. 이재림(2020). 미래 교육정책에 따른 학교 공간 혁신의 방향. 건축, 64(11), 40-42. 
  21. 장미(2013). 수도권지역의 스쿨팜 운영현황 및 초등농업교육 연계에 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정나라, 유수진, 김광진, 한승원(2020). 수직정원을 활용한 초등학교 식물교육프로그램 운영 효과 분석. 환경복원녹화, 23(5), 736-86. 
  23. 정나라, 정현정(2020). 초등학교 외부공간 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녹색환경연구, 19(3), 38-47. 
  24. 정나라, 유수진, 김광진, 한승원(2020). 수직정원을 활용한 초등학교 식물교육프로그램 운영 효과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3(5), 73-86. 
  25. 조시은, 백선경, 방재성(2021). 그린스마트미래학교를 위한 건축기획 개선방안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건축공간연구원. 
  26. 조진일(2020). 미래 교수-학습 및 공간의 유형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9(1), 13-24. 
  27. 주은정, 이지혜(2021). 학교 공간 혁신으로부터 시작되는 배움의 변화. 한국초등교육, 32(2), 271-285. 
  28. 주은정, 임보라, 고홍규(2023). 학교장의 식물기르기에 대한 교육적 신념으로 촉발된 생태교육의 운영과정과 그 의미. 한국초등교육, 34(4), 381-400. 
  29. 최인영(2023). 초등학교 공간혁신을 위한 공간사용 행태 및 요구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2(3), 21-28. 
  30.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미래학교 디자인 가이드라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1. 홍선주, 임지영(2024). 학교교육공간 혁신을 위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 탐색. 교육녹색환경연구, 23(2), 1-10. 
  32. 황동국(2018). 초등학생 성격유형에 따른 원예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1), 1033-1050. 
  33. Aikens, K., McKenzie, M., & Vaughter, P. (2018). Environmental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policy researc h: A systematic review of methodological and thematic trends. Environmental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Policy, 265-292. 
  34. Barragan-Jason, G., Loreau, M., de Mazancourt, C., Singer, M. C., & Parmesan, C. (2023).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nections with nature improve both human well-being and nature conservation: A systematic review of meta-analyses. Biological Conservation, 277, 109842. 
  35. Diaz-Lopez, C., Serrano-Jimenez, A., Chacartegui, R., Becerra-Villanueva, J. A., Molina-Huelva, M., & Barrios-Padura, A. (2023). Sensitivity analysis of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and its implications in the built environment. Environmental development, 45, 100795. 
  36. Doxey, J. S., Waliczek, T. M., & Zajicek, J. M. (2009). The impact of interior plants in classrooms on students' performance, attendance, and attitudes. HortScience, 44(2), 384-391. 
  37. Gruenewald, D. A. (2003). The best of both worlds: A critical pedagogy of place. Educational Researcher, 32(4), 3-12. 
  38. Hadjichambis, A. C., & Paraskeva-Hadjichambi, D. (2020). Education for environmental citizenship: The pedagogical approach. Conceptualizing environmental citizenship for 21st century education, 4, 237-261. 
  39. Jax, K., Calestani, M., Chan, K. M., Eser, U., Keune, H., Muraca, B., ... & Wittmer, H. (2018). Caring for nature matters: a relation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nature's contributions to human well-being. Current opinion i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35, 22-29. 
  40. Jorgenson, S. N., Stephens, J. C., & White, B. (2019). Environmental education in transition: A critical review of recent research on climate change and energy educ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50(3), 160-171. 
  41. Kim, K. H., & Lee, J. Y. (2020). The effects of indoor plan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ntr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3), 1-12. 
  42. Kopnina, H. (2018).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The turn away from 'environment'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Environmental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policy (pp. 135-153). Routledge. 
  43. Louv, R. (2008). Last Child in the Woods: Saving Our Children from Nature-Deficit Disorder. Algonquin Books. 
  44. Orr, D. W. (1994). Earth in mind: On education, environment, and the human prospect. Island Press. 
  45. Otto, S., & Pensini, P. (2017). Natur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of childre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connectedness to nature, together, are related to ecological behaviour. Global environmental change, 47, 88-94. 
  46. Palmer, J. A. (1998).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ory, practice, progress and promise. Routledge. 
  47. Stevenson, R. B., Lasen, M., Ferreira, J. A., & Davis, J. (2017). Approaches to embedding sustainability in teacher education: A synthesis of the literatur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63, 405-417. 
  48. Stevenson, R. B., Lasen, M., Ferreira, J. A., & Davis, J. (2017). Approaches to embedding sustainability in teacher education: A synthesis of the literatur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63, 405-417. 
  49. Sukma, E., Ramadhan, S., & Indriyani, V. (2020).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Vol. 1481, No. 1, p. 012136). IOP Publishing. 
  50. Tilbury, D. (1995).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Defining the new foc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1990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2), 195-212. 
  51. Van De Wetering, J., Leijten, P., Spitzer, J., & Thomaes, S. (2022). Does environmental education benefit environmental outcom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meta-an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81, 101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