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타트업 핵심인재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정보통신기술(ICT)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re Competency Scale for Startup Talent : Focusing on ICT Sector Employees

  • 한채연 (한국능력개발연구소) ;
  • 하규영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Han, Chae-yeon (Korea Ability Development laboratory.,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Ha, Gyu-young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투고 : 2024.08.27
  • 심사 : 2024.09.24
  • 발행 : 2024.09.30

초록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ICT)분야 스타트업의 특수한 요구를 반영하는 핵심 인재 역량 평가 척도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기존의 인재 역량 평가 도구들은 대부분 대기업이나 전통적인 중소기업의 환경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기술이 급변하는 스타트업의 역동적인 요구 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특히 소수의 인재가 회사의 성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스타트업에게 핵심인재는 매우 중요한 자산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스타트업이 직면한 도전과 기회에 적합한 인재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마련함으로써, 국내 스타트업이 보다 효과적인 인재 관리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는 문헌 리뷰와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초기 71개 문항을 선별하였으며 본 연구의 문항 기술에 대해 좀 더 정확하고 명료하게 기술되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문항의 기술을 변경하였으며, 총 4차 내용타당도를 거쳐 65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실시하여 총 58개의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본조사에서는 앞서 예비조사에서 도출된 역량의 대분류 3개 요인인 지식, 기술, 태도로 분류한 것을 기반으로 각각 다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0개의 잠재요인인 업무이해력 6문항, 실무수행경험(암묵지) 6문항, 협업 6문항, 관리 및 문제해결력 9문항, 현장실무능력 9문항, 자기주도성 4문항, 목표지향성 5문항, 적응성 5문항, 관계지향성 5문항, 조직충성 3문항으로 스타트업에서 필요한 핵심 역량의 요인과 문항을 추출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역량의 다면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다루며, 기술 능력, 팀워크, 혁신성, 리더십 등 스타트업에 필수적인 다양한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스타트업의 관리자들이 구직자의 역량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를 제공하였으며, 개발된 척도는 스타트업 내에서 직원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전체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스타트업은 내부적으로 우수한 인재 풀을 구축하고, 직원들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조직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재 역량 평가 척도는 스타트업의 특성에 맞춘 맞춤형 평가 도구로서, 스타트업이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국내 스타트업이 성공적으로 성장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실무적인 방향을 제시하며, 스타트업 생태계의 발전과 국가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mpetency evaluation scale tailored to the specific needs of key talent in the ICT startup sector. Existing competency assessment tools are mostly designed for environments in large corporations or traditional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ailing to adequately reflect the dynamic requirements of rapidly evolving startups. For startups, where a small number of individuals directly impact company success, key talent is a critical asset.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create a scale that measures the competencies suited to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aced by startups, helping domestic startups establish more effective talent management strategies. The research initially selected 71 item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expert feedback that emphasized the need for more precise and clear descriptions, the item descriptions were revised, and a total of 65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four rounds of content validation. Following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a final set of 58 items was developed. The main survey conducted further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three broad competency factors?knowledge, skills, and attitude?identified in the preliminary survey. As a result, 10 latent factors emerged: 6 items for task comprehension, 6 items for practical experience (tacit knowledge), 6 items for collaboration, 9 items for management and problem-solving, 9 items for practical skills, 4 items for self-direction, 5 items for goal orientation, 5 items for adaptability, 5 items for relationship orientation, and 3 items for organizational loyalty. The developed scale comprehensively covers the multifaceted nature of competencies, allowing for a thorough evaluation of essential skills such as technical ability, teamwork, innovation, and leadership, which are critical for startups. Therefore, the scale provides a tool that helps startup managers objectively and accurately assess candidates' competencies. It also supports the growth of employees within startups, maximizing the overall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utilizing this tool, startups can build a strong internal talent pool and continuously enhance employees' competencies, thereby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In conclusion, the competency evaluation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customized tool that align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tartups and plays a crucial role in securing sustainable competitiveness in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s. Additionally, it offers practical guidance to support the successful growth of domestic startups and help them maintain their competitive edge in the market,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tartup ecosystem and the growth of the national econom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회일, 김현중 (2021). 非외감 ICT 기업의 R&D 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년 학술대회, 726-727.
  2. 고선미, 오윤, 권혁남 (2020). 스타트업 잡크래프팅이 양면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1(1), 1035-1050.
  3. 고영희, 이호성 (2016). 투자유치 전략을 위한 스타트업의 특성과 벤처캐피탈 투자구성의 상호연관성 연구. 벤처창업연구, 11(2), 63-73.
  4. 공유진 (2015). 스타트업 기업을 위한 브랜딩 프로세스: 린 스타트업 방법론을 활용하여: 린 스타트업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3), 53-65.
  5. 공혜원 (2019). 글로벌 국가 비교를 통한 한국 기술기반 스타트업 생태계 진단: 정량 및 정성 연구. 벤처창업연구, 14(1), 101-116.
  6. 권영은 (2022). 스타트업 핵심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권용석, 황보윤, 이종훈 (2016). 스타트업의 액셀러레이터 선택 시 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14(1), 33-46.
  8. 길창민, 양동우. (2022). 스타트업 관련 최근 국내 연구 동향: 연구 변수들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7(2), 81-97.
  9. 김기중, 김찬선 (2024).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타트업 핵심 이슈 분석: 정책적 함의. 융합과 통섭, 7(1), 165-189.
  10. 김만수, 강재원 (2021). 정책 패러다임 관점에서 살펴본 창업정책 변화. 벤처창업연구, 16(3), 43-58.
  11. 김민준 (2019). 스타트업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봉근, 김영준 (2022). 신기술사업자의 창업자 역량과 기술혁신역량이 기업생존에 미치는 영향: 청년창업기업을 중심으로. 大韓經營學會誌, 35(11), 2089-2125.
  13. 김사길, 이선규 (2017). 개방형 기술혁신에 기반한 스타트업의 성장 방안. 디지털융합논문지, 4(2), 31-38.
  14. 김상성 (2020). 핵심인재의 이직의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석원, 이동명 (2019). 혁신적 인사시스템이 인적자원역량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34(6), 379-407.
  16. 김선우, 김강민 (2020). 스타트업 성장단계 구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벤처창업연구, 15(2), 127-135.
  17. 김선우, 김강민 (2022). 스타트업 투자 생태계 성장 분석: TIPS 창업팀을 중심으로. STEPI Insight, (301), 1-33.
  18. 김선우, 진우석 (2020). 벤처기업의 스케일업 방안. STEPI Insight, 1-30.
  19. 김성옥, 강하연, 서소영, 정인선, 강반디, 이슬기, 김준연 (2017). 한.중 ICT 벤처.스타트업 및 공동연구 협력방향 연구. 정책연구, 2017(34), 1-161.
  20. 김성천, 황희곤 (2022). 스타트업 창업자의 핵심역량과 기업의 경쟁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개방형 혁신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3(12), 427-441.
  21. 김성천, 황희곤. (2022). 스타트업 창업자의 핵심역량과 기업의 경쟁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개방형 혁신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3(12), 427-441.
  22. 김영국 (2018). (4차 산업혁명과) 창업금융. 박영사.
  23. 김영배, 하성욱 (2000).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성장단계에 대한 실증조사: 핵심성공요인, 환경특성, 최고경영자 역할과 외부자원 활용. 기술혁신연구, 8(1), 125-153.
  24. 김영태, 한준상, 최항석, 김민영, 김소영 (2008). 국내 기업 사례에서 직무순환이 인사고과 점수와 핵심인재 선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11(2), 261-283.
  25. 김영환 (2021). 해외 주요국 창업생태계 벤치마킹을 통한 한국의 창업생태계 발전방안.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 2967-2990.
  26. 김용성 (2019). SW교육의 트렌드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연구.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6(2), 623-625.
  27. 김은진 (2013). 스타트업의 창업 공간에 관한 연구 : 서울의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김준성, 이소영 (2018). 린 스타트업 전략에 따른 체험정보수집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물류학회지, 28(6), 147-160.
  29. 김지원 (2019).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K 대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김지훈, 구자숙 (2023). 스타트업에서 LMXSC (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사회적 비교) 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연구-자존감과 조직 동일시의 다중 직렬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30(2), 73-96.
  31. 김진웅 (2008). 산업구조 변화의 결정요인 분석: ICT 산업을 중심으로: ICT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연구, 23, 5-30.
  32. 김찬중, 채주석 (2021). 중소.중견 기업의 핵심인재관리와 조직성과 간의 영향 관계: 최고경영자 전략적 리더 십의 조절효과. 기업경영리뷰, 12(1), 121-142.
  33. 김현, 김종헌, 문재승 (2020). 스타트업 최고경영자의 네트워킹행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기업경영리뷰, 11(4), 25-46.
  34. 김현동, 성상현 (2011). 핵심인재관리제도가 직급별.산업별 여성인력 비중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5-35.
  35. 김현동, 송보화 (2009). 핵심인재우대정책과 제도의 실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고찰. 직업능력개발연구, 12(1), 75-93.
  36. 김현정 (2023). 한국의 ICT 스타트업 투자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벤처창업연구, 18(1), 189-201.
  37. 나희경, 이희우 (2016). 린 스타트업 방법론의 적용: 한국'카닥'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카닥'사례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1(5), 29-43.
  38. 남영현, 서영욱 (2020). 스타트업 특성이 혁신역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공기업과의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15(2), 299-313.
  39. 류기락 (2012). 노동시장제도와 청년 고용: OECD 주요 국가 노동시장의 제도적 상보성, 1985~ 2010. 경제와사회, 252-287.
  40. 박가영 (2022). 초중등 교사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교수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박동건, 최대정 (2003). 창업자의 역량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2), 61-91.
  42. 박소희, 심완섭, 이은재 (2015). 글로벌창업 지원제도 국제비교를 통한 국내 제도 방향 모색. e-비즈니스연구, 16(6), 543-570.
  43. 박오원 (2013). 핵심인재관리와 조직성과: 기업규모 및 종업원 참여제도의 조절효과: 기업규모 및 종업원 참여제도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6(2), 389-409.
  44. 박일주, 최종민 (2019). 정부의 창업자금지원이 창업가의 사업확장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 신생기업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25(1), 245-274. 
  45. 박재환, 박명수, 김대엽 (2012). 창업정책 현황과 창업생태계 관점에서의 청년 창업 활성화 방안. 경영교육연구, 27(5), 1-30.
  46. 박정우 (2020).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 팀 학습행동, 팀 경계 확장 행동 및 성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박정우, 김진모 (2020).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 팀 학습 행동, 팀 경계 확장 행동 및 지각된 성과의 관계. 중소기업연구, 42(1), 135-165.
  48. 박정환 (2021). When and how helping behaviors of startup employees can reduce their turnover intention?.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박준기, 이혜정 (2016). 스타트업 팀워크와 성과: 과업 갈등과 관계 갈등의 영향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1(2), 101-111.
  50. 박준기, 이혜정 (2018). ICT 서비스 스타트업의 성공조건: 팀 창의성, 지식공유 그리고 흡수역량. 한국 IT 서비스학회지, 17(1), 1-16.
  51. 박찬선, 김지소, 문형돈. (2018). 4 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ICT 일자리 정책에 대한 고찰.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253-1254.
  52. 박현숙, 나희경, 문계완. (2023). 스타트업의 기업 특성이 데스밸리 극복에 미치는 영향: 개방형 혁신과 벤처캐피탈 지원의 조절효과. 벤처창업연구, 18(1), 13-29.
  53. 백소영 (2013). Rasch 모형을 적용한 글로벌 인재 역량 척도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서경민 (2006). 핵심인재 육성 프로그램 현황 및 시사점: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8(2), 71-87.
  55. 서일석 (2018). 스타트업 초기 재원 마련, 어떻게 할까? 벤처스퀘어, Retrieved 2018. 10. 27. from http://www.venturesquare.net/756088
  56. 성소현 (2020). 중소벤처기업부 인력양성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손가녕 (2019). 주요국의 스케일업 지원정책과 시사점. 정보통신방송정책, 31(2), 1-16.
  58. 손상희 (2019). 4 차 산업혁명 대비 디자인 미래인재 핵심역량 탐색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5(2), 305-315.
  59. 송은실, 남정민, 황지민, 반진영 (2022). 정보보호 스타트업 육성 고도화 방안 연구. 과학기술융합연구, 1(1), 19-33.
  60. 송은영, 임호선. (2021).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디지털 패션 테크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3(3) 1229-2060.
  61. 송치욱 (2022). 스타트업 대표의 리더십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신기윤, 여영준, 김지현, 이정동 (2018). ICT 융합 산업의 기술혁신과 규제갈등 사례 연구. 한국혁신학회지, 13(1), 259-292.
  63. 신수림 (2006). 기업핵심인재의 이직의사 결정요인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심연수, 서정해, 박은미 (2021). IT 스타트업의 전략적 지향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향성 조절효과. 벤처창업연구, 16(1), 127-138.
  65. 안나 (2020). 애자일 문화의 영향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6. 안성원. (2021). 인공지능 인재확보를 위한 현황분석과 전략 방향. 한국통신학회지, 38(2), 26-33.
  67. 안승구 (2017). 기술기반 창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정책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보고서.
  68. 엄미선 (2022). 스타트업의 애자일 문화 영향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9. 오인, 수서, 용원 (2002). 구조화된 역량기반 채용면접 체계: 이론적 고찰과 개발 사례. 인적자원개발연구. 1. 48-74.
  70. 옥지호, 안혜성 (2014). 핵심인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014(1), 0-23.
  71. 우종필 (202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72. 유지용 (2018). 스타트업 기업의 리더십 유형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 윤창호 (2023). 스타트업 산업분야 디지털인재 요구분석.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40(2), 32-37.
  74. 윤혜진, 김은희 (2021). 국내 ICT 기반 관광 스타트업의 동향 및 성과 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43, 39-59.
  75. 이각범, 송위진 (1994). 미국 실리콘 밸리의 첨단 중소기업과 조직 환경. 지역연구, 3(3), 37-54.
  76. 이갑두 (2011). 전략과 핵심인재관리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4(4), 2541-2564.
  77. 이경묵, 윤현중 (2007). 경쟁환경, 기술변화, 경쟁전략과 핵심인재관리 강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영학연구, 36(5), 1259-1294.
  78. 이상조, 남정민 (2018). AER (Asan Entrepreneur Review) 사례를 통한 스타트업 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벤처창업연구, 13(2), 39-50.
  79. 이서한, 노승훈 (2014). ICT 융합 유형별 스타트업 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사례연구를 중심으로.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203-215.
  80. 이세윤, 박준기, 이혜정 (2016). 과업 갈등상황에서 스타트업 팀의 민첩성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과 지식공유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11(6), 27-37.
  81. 이수희 (2013). 호텔 직원 핵심역량과 채용평가 항목의 상관관계를 통한 채용평가기준의 개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2. 이수희, 정규엽. (2013). 호텔 직원 핵심역량과 채용평가 항목의 상관관계 연구. 관광연구저널, 27(2), 75-96.
  83. 이순묵 (2010). 역량과 역량관련 프로그램의 타당화를 위한 제안.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3), 551-573.
  84. 이윤숙, 문성욱 (2016). 창업의 수, 생존율 및 고용 성장에 관한 고찰: 1994년에서 2013년까지 서울시 사업체를 중심으로: Korea Business Review, 20(2), 121-141.
  85. 이윤숙, 이상준, 신호정 (2018). 기업가의 창업동기와 고용창출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영학연구, 47(4), 783-805.
  86. 이은아, 서정해, 심연수 (2019). 스타트업의 기업가지향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 기술지향성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기술지향성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벤처창업연구, 14(2), 47-59.
  87. 이일범, 강민정, 김지웅 (2022). 스타트업 창업자의 창업성공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8(1), 361-370.
  88. 이재, 윤오, 김명언 (2017). 누구와 창업할 것인가?: 스타트업 공동창업팀 내 심층적 다양성의 필요영역.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0(1), 49-76.
  89. 이재석, 이기호, 이상명 (2021). 창업기업의 성장단계별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국내외 유니콘 기업의 사례 비교. 중소기업연구, 43(1), 165-186.
  90. 이재호, 장준형 (2018). 지능정보 핵심인재상 정립 연구. 창의정보문화연구, 4(2), 135-142.
  91. 이재호, 진석언, 신현경 (2016). ICT 기반 창의인재상 정립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17(5), 141-150.
  92. 이종현, 김지송, 신승용 (2023). 코로나 19 상황에서 ICT 스타트업의 비대면 수출 및 무역 상담 플랫폼 경험 사례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48(4), 321-342.
  93. 이준영, 한미정 (2020). 스타트업 기업의 사내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자본이 경영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 고찰: 사회적 자본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2(2), 76-114.
  94. 이창수, 송우일 (2012). 스타트업 지속적 혁신을 실현하는 창업의 과학. 인사이트.
  95. 이창은 (2021). 스타트업 기업의 창업성공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6. 이청훈 (2020). 소프트웨어 스타트업SW개발자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7. 이현정 (2006) 멘토링과 핵심인재의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8. 이현호, 황보윤, 공창훈 (2017). 스타트업의 초기 성공을 결정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12(1), 1-13.
  99. 이혜영, 김진수 (2019). 창업가의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벤처창업연구, 14(5), 13-24.
  100. 임미희, 강영선, 김시은 (2023). 기술 기반 스타트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의료 AI 기업 루닛 (Lunit) 의 사례를 중심으로. Korea Business Review, 27(4), 1-19.
  101. 임세민, 송지훈 (2023). 스타트업에서 실패를 통한 학습풍토와 혁신행동의 관계: 지식공유의 매개효과와 과업갈등의 조절된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지, 36(3), 349-373.
  102. 임승재 (2020). 스타트업 조직 구성원의 감성지능이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3. 임윤서 (2021). 스타트업 CEO 의 경력성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대학생의 진로선택을 위한 역할모델 탐색. 사회과학연구, 32(2), 153-183.
  104. 임재성 (2023). 직장역경과 직무열정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창의성 매개효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8(4), 193-206.
  105. 임종빈, 정승용, 이상욱, 정선양 (2016).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혁신클러스터 정책에 관한 연구: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4), 109-130.
  106. 임형채 (2016). ICT 기술을 활용한 물류사업 스타트업 현황 및 시사점. 우정정보, 2016(1), 7-20.
  107. 임효순 (2018).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핵심역량 인식 유형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8. 장미 (2011). 청소년지도자 직무역량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28, 114-144.
  109. 장지호 (2005). 김대중 정부의 벤처기업 지원정책에 관한 고찰-산업정책의 부활인가 혹은" 촉매적" 정부의 새로운 역할인가..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377-418.
  110. 전기호, 장윤희, 전경미 (2019). Does leader humor promote employe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e roles of affect, power distance orientation, and abusive supervision. 인사조직연구, 27(1), 1-29.
  111. 전동화, 정동섭 (2011). 핵심인재관리제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경쟁전략 및 기술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0(4), 315-338.
  112. 전해영 (2016). 한반도 르네상스 구현을 위한 VIP리포트 : 국내외 스타트업 현황과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 통권 654호.
  113. 정병규 (2024). 애자일 리더십과 스타트업 조직성과 관계 탐색 :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벤처혁신연구, 7(1), 59-75.
  114. 정순기, 이병호. (2013). ICT 융합 진화과정의 동태성: 실리콘밸리 지식 융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IT 서비스학회지, 12(1), 143-161.
  115. 정승수 (2010). 역량기반 인사관리시스템의 발전 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6. 정재엽 (2023). 스타트업 창업자의 전략적 리더십 효과. 전략경영연구, 26(2), 1-22.
  117. 정현우 (2013). 중소기업의 핵심인재우대정책과 관리제도가 인적자원의 경쟁력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2(3), 153-172.
  118. 정혜민 (2022). 임파워링 리더십이 스타트업 종사자의 혁신업무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9. 정호연, 김태철 (2018). 창업지원사업 만족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36(6), 61-67.
  120. 제원우 (2022). 스타트업의 공유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 경력 성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1. 조성주, 이상명, 박병진. (2014). 린 스타트업': 창업 초기기업의 실패 최소화 전략. 벤처창업연구, 9(4), 41-53.
  122. 조원희 (2023). 스타트업 CEO의 변혁적 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LMX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3. 조원희, 황찬규, 김창섭. (2020). ICT 스타트업 CEO 의 변혁적 리더십이 상사-부하 교환관계 (LMX) 를 통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과학회지, 9(3), 386-403.
  124. 최남석 (2015). 한국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확장에 따른 지식기반제조업 파급효과 분석. 국제통상연구, 20(4), 1-29.
  125. 최현희 (2022). 코로나 19 이후 해외 스타트업 정책동향과 주요 변화. 산은조사월보.
  126. 탁진국 (2007).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127. 한영찬, 이상직 (2023). 이슈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이 스타트업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벤처혁신연구, 6(2), 1-19.
  128. 한채연, 이용준 (2024).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조직핵심인재 역량에 대한 직장인들의 인식: 핵심역량 교육 및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2), 99-117.
  129. 한채연, 하규영 (2023). 개인-조직 및 개인-직무 적합성이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먼트, 지속적 학습활동, 협업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애자일 조직문화의 스타트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벤처혁신연구, 6(3), 21-42.
  130. 한형민, 김정곤, 김도연, 이성희, 백종훈(2021).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과 정책 시사점. 정책연구 브리핑, 2021(1), 1-16.
  131. 허주연 (2020).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의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15(5), 13-35.
  132. 홍필두 (2023). 지능형 금융분야 인재양성 사례. 한국통신학회지, 40(2), 25-31.
  133. 황세희, 김경미, 박현준 (2020). 국내 스타트업의 현황 및 성공요인 분석:(주) 우아한형제들의 사례를 통하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5(1), 71-87.
  134. 황정섭, 심다현, 이정우 (2021). ICT 스타트업 스케일업 성공요인 연구: ERIS 모델 적용 사례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4), 89-101.
  135. Alfaro Cortes, E., & Alfaro Navarro, J. L. (2011). Do ICT influence economic growth and human development in European Union countries?. International Advances in Economic Research, 17, 28-44.
  136. Blank, S., & Dorf, B. (2020). The Startup Owner's Manual: The Step-by-Step Guide for Building a Great Company. John Wiley & Sons.
  137. Breschi, S., Lassebie, J., & Menon, C. (2018). A Portrait of Innovative Start-ups Across Countries.
  138. Campbell, B. A., Coff, R., & Kryscynski, D. (2012). Rethinking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from human capital.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7(3), 376-395.
  139. Campbell, B., & Kryscynski, D. (2019). What are we isolating? Why human capital-based competitive advantage may not be so much about human capital. Handbook of Research on Strategic Human Capital Resources, 157-168.
  140. Castanias, R. P., & Helfat, C. E. (1991). Managerial resources and rents. Journal of Management, 17(1), 155-171.
  141. Chatterji, A., & Patro, A. (2014). Dynamic capabilities and managing human capital.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28(4), 395-408.
  142. Cockayne, D. (2019). What is a startup firm? A methodological and epistemological investigation into research objects in economic geography. Geoforum, 107, 77-87.
  143. Davila, A., Foster, G., & Jia, N. (2010). Building sustainable high-growth startup companies: Management systems as an accelerator.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52(3), 79-105.
  144. Demianenko, N., Yasnolob, I., Oleg, G. O. R. B., Zoria, O., Liudmyla, C. H. I. P., Pestsova-svitalka, O., ... & Bardina, T. (2021). Innovative approaches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tartup eco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ourism, 12(3), 668-676.
  145. Ehsan, Z. A. (2020).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Analysis of Gold Prices-How Will COVID-19 Impact the Price of Gold?. Available at SSRN 3644893.
  146. Ghezzi, A., & Cavallo, A. (2020). Agile business model innovation in digital entrepreneurship: Lean startup approach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10, 519-537.
  147. Hatch, N. W., & Dyer, J. H. (2004). Human capital and learning as a source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5(12), 1155-1178.
  148. Hogarty, K. Y., Hines, C. V., Kromrey, J. D., Ferron, J. M., & Mumford, K. R. (2005). The quality of factor solution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influence of sample size, communality, and overdetermin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5(2), 202-226.
  149. Hutcheson, G. D., & Sofroniou, N. (1999). The Multivariate Social Scientist: Introductory Statistics Using Generalized Linear Models. Sage.
  150. Karim, S., & Williams, C. (2012). Structural knowledge: How executive experience with structural composition affects intrafirm mobility and unit reconfiguratio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3(6), 681-709.
  151. Kerr, W. R., Nanda, R., & Rhodes-Kropf, M. (2014). Entrepreneurship as experimentatio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8(3), 25-48.
  152. Klotz, A. C., Hmieleski, K. M., Bradley, B. H., & Busenitz, L. W. (2014). New venture team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oadmap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40(1), 226-255.
  153.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154. Margolis, J., & Tzabbar, D. (2020). Leveraging founding team human capital for innovative new ventures. Organizational Dynamics, 49(4), 1-5.
  155. Moogk, D. R. (2012). Minimum viable product and the importance of experimentation in technology startup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2(3), 23-26.
  156. Orlikowski, W. J., & Yates, J. (2006). ICT and organizational change: A commentary.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42(1), 127-134.
  157. Picken, J. C. (2017). From startup to scalable enterprise: Laying the foundation. Business Horizons, 60(5), 587-595.
  158. Poposka, K., Nanevski, B., & Mihajlovska, E. (2016). The start-up phase in SME development: Main challenges, motives and financing opportunities. Journ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6(16), 45-61.
  159. Ries, E. (2011). The Lean Startup: How Today's Entrepreneurs Use Continuous Innovation to Create Radically Successful Businesses. Crown Currency.
  160. Riyanti, B. P. D., Sandroto, C. W., & DW, M. T. W. (2017). Soft skill competencies, hard skill competencies, and intention to become enterpreneur of vocational graduates.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 of Business Studies, 9(2), 119-132.
  161. Roberts, N., & Grover, V. (2012). Investigating firm's customer agility and firm performance: The importance of aligning sense and respond capabiliti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5(5), 579-585.
  162. Roberts, N., & Grover, V. (2012). Leveraging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to facilitate a firm's customer agility and competitive activity: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8(4), 231-270.
  163. Selby, J., & Mayer, K. J. (2013). Startup firm acquisitions as a human resource strategy for innovation: The acqhire phenomenon. In Academy of Management Proceedings (Vol. 2013, No. 1, p. 17109). Briarcliff Manor, NY 10510: Academy of Management.
  164. Silva, D. S., Ghezzi, A., Aguiar, R. B. D., Cortimiglia, M. N., & ten Caten, C. S. (2020). Lean Startup, Agile Methodologies and Customer Development for business model innov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research agenda.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ial Behavior & Research, 26(4), 595-628.
  165. Tinsley, H. E., & Tinsley, D. J. (1987). Uses of factor analysi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4(4), 414.
  166. Tjoa, A. M., & Tjoa, S. (2016). The role of ICT to achieve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 In ICT for Promoting Human Development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 6th IFIP World Information Technology Forum, WITFOR 2016, San Jose, Costa Rica, September 12-14, 2016, Proceedings 6 (pp. 3-13).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67. Tzabbar, D., & Margolis, J. (2017). Beyond the startup stage: The founding team's human capital, new venture's stage of life, founder-CEO duality, and breakthrough innovation. Organization Science, 28(5), 857-872.
  168. Wang, C., Dai, M., Fang, Y., & Liu, C. (2022). Ideas and methods of lean and agile startup in the VUCA Era.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18(4), 1527-1544.
  169. Yashiro, N. (2023). Rebooting the innovation ecosystems. In OECD Economic Surveys: Finland 2022 pp. 81-93. OECD Publishing. https://doi.org/10.1787/515ec630-en
  170. Zwick, W. R., & Velicer, W. F. (1986). Comparison of five rule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ponents to retain. Psychological Bulletin, 99(3),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