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병원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Hospital Advertising by Advertising Creative Strategy

  • 장지은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
  • 류민호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Ji Eun Jang (Business Administration, Dong-A University) ;
  • Min Ho Ryu (Departmen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ong-A University)
  • 투고 : 2023.08.30
  • 심사 : 2023.11.19
  • 발행 : 2024.02.29

초록

최근 SNS는 광고의 주요 채널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병원의 SNS 광고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광고의 메시지 속성과 광고 모델 유형이 광고 효과(Click Through Rate, CTR)에 미치는 영향을 이원배치 분산분석과 다중회귀 모형을 통해 분석한다. 데이터는 비만치료 네트워크 병원의 2018년부터 2023년 초까지 약 5년 간, 카카오톡 채널, YouTube, 인스타그램 및 페이스북에서 실제 집행된 광고 총 991개를 사용한다. 분석 결과, SNS채널 별로 광고 효과(CTR)는 다르게 나타났고,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소구'는 광고 효과(CTR)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광고 모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실제 병원의 SNS 광고 데이터를 분석하고 광고 효과 측정 지표로 클릭율(CTR)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병원 광고 전략 수립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NS Advertising Creative Strategy of Hospital.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two-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Advertising Creative Strategy, consist of message framing, appeal, and advertising models, on CTR (Click Through Rate). The data used in this research was the actual advertisement results impressed from 2018 to the beginning of 2023 through multiple SNS channel (Kakaotalk Channel, YouTube, Instagram, and Facebook) by a liposuction specialized network hospital with 20 branches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different SNS Channel effects on CTR and among 'Message Framing (Positive, Negative)', 'Message Appeal (Rational, Emotional)' and 'Advertisement Models (Character, Ordinary, Professional)', only Advertisement Mode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T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point that it analyzed the actual SNS advertisements of hospital and adopted CTR to measure the effect of advertising. Based on thos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동아대학교 교내 연구지원으로 작성됨.

참고문헌

  1. 강민지, "미용성형외과의 SNS 광고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 연구-페이스북의 팬페이지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 PR 실학회 학술대회, 2017, pp. 443-461.
  2. 권순곤, 광고 소구유형이 광고태도 및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3. 김예은, 박재진, "의료기관 속성에 따른 의료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광고학연구, 제20권, 제6호, 2009, pp. 111-129.
  4. 김용민, "의료광고 규제제도 개선에 관한 행정법적 연구", 법학연구, 제28권, 제3호, 2020, pp. 21-54.
  5. 김장현, "캐릭터 특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캐릭터 신뢰성과노스탤지어의 매개적 역할", 상품학연구, 제36권, 제5호, 2018, pp. 81-90.
  6. 박성준, 광고모델의 공신력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제품 관여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10.
  7. 배성덕, 박도형,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바일 광고플랫폼의 광고효과 연구: 광고특성, 매체특성, 상품특성을 중심으로", 지능정보연구, 제24권, 제2호, 2018, pp. 37-57.
  8. 송영우, 황찬규, 한희, "소셜미디어 마케팅 4가지 모델-사례와 마케팅효과평가 방법",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2015, pp. 1071-1078.
  9. 위경환, 성형 광고의 메시지 소구 및 모델 유형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 여대생 대상 성형광고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13.
  10. 유승엽, 김은희, "의료소비자의 병원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의료광고 시사점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7권, 제5호, 2006, pp. 201-214.
  11. 이경렬, 김상훈, "모바일 광고의 접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들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6권, 제3호, 2005, pp. 191-218.
  12. 이은종, "영상광고에서 캐릭터이미지가 브랜드가치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2권, 제1호, 2004, pp. 137-150.
  13. 이주호, 김기한, "스포츠용품 브랜드 SNS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대한 효과 분석: Facebook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1권, 제1호, 2019, pp. 69-102.
  14. 이철영, 우예순, "의료광고 소구유형에 따른 광고와 병의원 브랜드에 대한 태도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9권, 제3호, 2011, pp. 277-285.
  15. 이해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서 유형별 미용성형 광고태도에 관한 연구: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15.
  16. 이호준, 병원광고에서의 광고 모델유형과 소구 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09.
  17. 조진호, 광고에 쓰이는 유명인 모델과 무명인 모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996.
  18. 주형철, "스포츠용품 구매 시 카카오톡 채널의 서비스특성이 소비자신뢰 및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27권, 제3호, 2022, pp. 73-86.
  19. 차배근, "광고에 대한 태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정보연구, 제27권, 1990, pp. 3-39.
  20. 최양호, 한은경, "인터넷 의료광고 사이트 이용자와 소비자 권리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3호, 2002, pp. 490-519.
  21. 태현지, "[문화] 귀여운 '지방이'로 비만치료병원 문턱 낮춰", 동아일보, 2018.5.23., Available at: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80522/90189062/1.
  22. 한국언론진흥재단, "국내 SNS 광고 현황과 특성 연구", 2012.
  23. 한국언론진흥재단, "의료광고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2017.
  24. 한미정, "건강관련 커뮤니케이션 연구논문 내용분석: 1990년대부터 2005년 상반기까지 발 표된 국내연구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제17권, 제5호, 2006, pp. 210-232.
  25. 황지성, 의료기관 SNS 광고속성이 광고가치, 광고태도, 구전의도 그리고 진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20.
  26. Aaker, D. A. and D. Norris, "Characteristics of TV commercials perceived as informativ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22, No.2, 1982, pp. 61-70.
  27. Asdemir, K., N. Kumar, and V. S. Jacob, "Pricing models for online advertising: CPM vs. CPC",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23, No.3-part-1, 2012, pp. 804-822.
  28. Belch, G. E. and M. A. Belch, Advertising and promotion: An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perspective 6th, New York: McGraw-Hill, 2004.
  29. Chu, F. G., "Strategy analysis of advertising rational appeals strategy", J. Adv. Public Relat, Vol.8, 1996, pp. 1-26.
  30. Crano, W. D., "Effects of sex, response order, and expertise in conformity: A dispositional approach", Sociometry, 1970, pp. 239-252.
  31. Friedman, H. H. and L. Friedman, "Endorser effectiveness by product typ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19, No.5, 1979, pp. 63-71.
  32. Grigaliunaite, V. and L. Pileliene, "Emotional or rational? The determination of the influence of advertising appeal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Scientific Annals of Economics and Business, Vol.63, No.3, 2016, pp. 391-414.
  33. Kamen, J. M., A. C. Azhari, and J. R. Kragh, "What a spokesman does for a sponsor",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15, No.2, 1975, pp. 17-24.
  34. Lee, D. W., B. D. Hwang, and J. W. Park, "Characteristics of Medical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Various Departments at Medical Institutio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 No.4, 2016, pp. 25-36.
  35. Lee, J. and I. B. Hong, "Predicting positive user responses to social media advertising: The roles of emotional appeal, informativeness, and crea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36, 2016, pp. 360-373.
  36. Lin, L. Y., "The impact of advertising appeals and advertising spokespersons on advertising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Afric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Vol.5, No.21, 2011, pp. 8446-8457.
  37. Mowen, J. C. and S. W. Brown, "On explaining and predicting the effectiveness of celebrity endorsers", ACR North American Advances, 1981.
  38. Ohanian, R., "The impact of celebrity spokespersons' perceived image on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1, No.1, 1991, pp. 46-54.
  39. Ramaprasad, J. and K. Hasegawa, "Creative strategies in American and Japanese TV commercials: A compariso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2, No.1, 1992, pp. 59-67.
  40. Sagong, M., S. H. Jung, J. S. Park, and K. W. Cho, "SNS 정보 특성이 병원선택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제8권, 제1호, 2014, pp. 15-25.
  41. Tafesse, W., "YouTube marketing: how marketers' video optimization practices influence video views", Internet Research, Vol.30, No.6, 2020, pp. 1689-1707.
  42. Tversky, A. and D. Kahneman, "The framing of decisions and the psychology of choice", Science, Vol.211, No.4481, 1981, pp. 453-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