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2기 신도시 공원 이용자의 만족도와 인식 분석

Satisfaction and Perception Analysis of Parks of the 1st and 2nd Generation New Towns

  • 김영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허윤선 (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
  • Kim, Youngm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Hue, Youns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hingu College)
  • 투고 : 2024.04.20
  • 심사 : 2024.06.14
  • 발행 : 2024.08.31

초록

본 연구는 1, 2기 신도시를 대표하는 9개의 공원을 대상으로 공원 이용자들의 행태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새로운 신도시 공원의 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도시 공원 이용자들은 주로 휴식, 산책, 운동 등의 목적으로 공원을 방문하며, 가족, 혼자, 친구와 함께 방문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주로 1-2시간 이내로 공원을 이용하며, 대부분 도보로 공원에 접근한다. 또한, 공원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특히 도보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원 시설 중 보행시설, 수목 및 식재, 수경시설, 휴게시설, 문화시설 등이 공원의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시설과 운동시설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으며,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NPS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공원 이용자들은 공원을 추천할 의향이 높으며, 특히 광교호수공원과 동탄센트럴파크와 같은 특정 공원의 추천지수가 높았다. IPA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공원의 보행시설과 수목 및 식재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은 반면, 놀이시설과 운동시설은 상대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시설로 분류되었다. 이를 토대로 각 시설의 개선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원 이용자들의 불만 사항을 파악하여 보다 나은 공원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도시 공원의 계획 방향에 대해서는 선형적인 형태의 보행이 편리한 공원이 가장 선호되며, 자연적인 지형과 숲이 보존된 산지 공원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3기 신도시를 포함한 향후 신도시 공원의 계획에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보행과 접근성에 초점을 맞춘 형태의 공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behaviors and satisfaction of park users in nine parks representing first and second-generation new towns, aiming to propose directions for planning new town parks. According to the analysis, park users in new towns mainly visit parks for purposes such as relaxation, strolling, and exercise, often with family, alone, or with friends. They typically spend 1-2 hours in the park and mostly access it on foot. Additionally, satisfaction with park accessibility is high, particularly among pedestrians. Satisfaction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pedestrian pathways, trees and vegetation, water features, rest areas, and cultural facilities have the greatest impact on overall park satisfaction. Playgrounds and sports facilities show relatively lower satisfaction levels, indicating a need for improvement. Furthermore, according to NPS analysis, park users are highly willing to recommend parks, especially with Gwanggyo Lake Park and Dongtan Central Park receiving high recommendation scores. IPA analysis shows that pathways and vegetation are perceived as highly important and satisfactory, while playgrounds and sports facilities are categorized as areas needing improvement. Thu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improvement strategies for each. Additionally, identifying park users' grievances can lead to creating a better park environment. Finally, concerning the planning direction for new town parks, linear-shaped parks facilitating walking are preferred, with parks preserving natural terrain and forests deemed the most desirable.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city parks, including those in the third-generation new towns, should harmonize with nature and prioritize pedestrian acc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영상(2011) 우리나라 신도시 계회겡서 생활권 공간구조의 변화 -창원시, 분당신도시, 세종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6(2): 193-210.
  2. 구한민, 김갑성, 장현서(2021) 3기 신도시 부천대장지구 기본계획 수립방안 연구 -1.2기 신도시 평가에 기반한 기본구상 및 도시공간계획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22(1): 5-24.
  3. 김도경, 홍형순, 문성혜(2009) 광교신도시 호수공원 조성계획 -국제설계공모 당선작 '도시저수지'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10(4): 53-66.
  4. 김성수, 이다예, 문새하, 변세일, 김중은(2020) 수도권 신도시 정책의 평가 및 향후 발전 방향. 국토연구원 보고서.
  5. 김용진, 권일(2021) "개념설계" 측면에서 국내신도시의 평가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1기.2기.3기 신도시 참여 전문가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4(3): 57-69.
  6. 김종윤, 황병묵, 김종환, 김병수, 강완모(2023) 도시공원의 생태계 서비스와 수목특성 관계 연구 -경기도 화성시 동탄 2신도시를 대상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5(2): 196-210.
  7. 김주일, 최성지(2013) 공간 구성 차원에서 살펴본 우리나라 신도시 공원 녹지체계의 변화. 도시설계 14(3): 145-159.
  8. 김현수(2007) 2기 신도시의 평가에 관한 연구-1기 신도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9(4): 249-270.
  9. 박상섭, 이제선, 성기수(2022) 3기신도시 기본구상 및 입체적 도시공간계획 국제공모 당선작: 부천 대장지구. 도시설계 23(1): 165-184.
  10. 박성용, 김광식(2003) 신도시 주민의 공원 이용에 대한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 12(2): 3-35.
  11. 박종화, 조기혁(2016) 공원 크기에 따른 공원의 온도저감 효과 분석 -일산 신도시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51(5): 247-261,
  12. 박지호, 박환용(2004) 조건부가치추청법을 이용한 신도시 중앙공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국토계획 29(6): 199-214.
  13. 오규식, 이민복, 이동우(2013) 수도권 신도시의 열쾌적성 평가.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1(2): 55-71.
  14. 오정학, 고동완, 김유일(1999) 도시공원의 지역적 정체성 평가와 유용성. 한국조경학회지 27(1): 79-89.
  15. 윤은주, 김현옥, 염종민(2013) 분당신도시의 녹지 변화 경향 분석 -1985년~2006년 인공위성 영상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8(2): 329-340.
  16. 윤정중(2019)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3기 신도시의 계획지표 및 개발방향설정 연구. 토지주택연구 10(3): 43-55.
  17. 윤정중, 최상희, 최대식, 윤정란, 진규남, 권오준, 송태호(2021) 1.2기 신도시 종합평가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18. 이세영, 유학규, 정성원, 여홍구(2006) 신도시 외부공간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본 신도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건축계 22(9): 3-12.
  19. 이지은, 주혜린, 전아현, 김홍기, 김벽연(2022) 복합환승센터 권역을 중심으로 살펴본 3기 신도시의 복합화.입체화 공간계획 특성 연구 -인천 계양,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23(1): 5-20.
  20. 임유빈(2012) 주변 녹지분포를 고려한 공원녹지면적 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SH도시연구원 주택도시연구 2(1): 29-38. https://doi.org/10.26700/shuri.2012.06.2.1.29
  21. 조용주(2021) 3기 신도시 계획과제와 남양주 왕숙2지구 마스터플랜. 도시설계 22(2): 45-61.
  22. 최동아, 정욱주(2014) 제1기 수도권 신도시 시설녹지의 설치유형 및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일산, 평촌, 산본 신도시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15(5): 109-123.
  23. 하혜경, 김한배(2016) 산본신도시와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 비교로 본 경관특성 고찰. 한국경관학회지 8(1): 20-38.
  24. 한국토지주택공사(2017) 주택 조경 트렌드 분석 및 디자인 전략 수립 용역. 한국토지주택공사 보고서.
  25. 한봉호, 최진우, 염정헌, 안영희(2012) 택지개발지역의 입지유형에 따른 공원.녹지확보 적용지표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40(1): 34-42. https://doi.org/10.9715/KILA.2012.40.1.034
  26. 한지형(2023) 3기 신도시 도시건축통합 마스터플랜의 계획 내용 및 설계 해법에 대한 특징 비교 분석 -<과천과천>, <안산신길2>, <수원당수2> 시범지구 당선작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9(2): 207-218.
  27. 황지현, 김용진(2023) 3기 신도시 마스터플랜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남양주 왕숙지구, 하남 교산지구, 인천 계양지구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9(1): 157-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