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학교 6학년을 위한 디지털 활용 천문우주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a STEAM Program Utilizing Digital Astronomy and Space Resources for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 투고 : 2024.07.02
  • 심사 : 2024.08.23
  • 발행 : 2024.08.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천문·우주의 디지털 자료를 중심으로 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무선 표집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67명에게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STEAM 프로그램의 수업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STEAM 프로그램의 수업 전·후 통계적 검정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 < .05). 이는 디지털 중심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이 융합적 사고와 아이디어 생성의 절차적 과정을 통해 STEAM 프로그램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STEAM 태도 검사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의한 대응표본 t-검정에서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p <.05). 디지털 수업 자료를 분석하고 픽셀아트 작품 제작을 통한 발표 과정을 통해 흥미, 소통, 유용성 등에서 STEAM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향후 첨단 기술을 활용한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셋째, STEAM 프로그램 적용 후에 실시한 수업 만족도 검사에서는 '만족도' 구인은 평균 3.55, '흥미'는 3.35, 그리고 '수업 전반의 난이도'는 3.46을 나타내었으며, 기존 수업과의 차이점으로는 '미래 사회 직업정보 획득'이 강조되었다. 다만, 디지털 변환과 해석 과정에서 수업의 흥미도가 다소 낮아진 부분을 고려하여, 향후 수업에서는 체험 활동을 고려한 적절한 수업시수 배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개발된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학교급, 적용 시기, 난이도를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TEAM program based on digital astronomical and space resources and applied it to 167 randomly sele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TEAM program in enha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istical analysis of pre-test and post-test scores fo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related to the STEAM program showed significant results (p<.05). This suggests that the STEAM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the procedural process involved in generating ideas and convergent thinking during the digital problem-solving. Second, the paired sample t-test based o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the STEAM attitude test also showed significant results (p<.05). Analyzing digital materials and presenting pixel art projects positively influenced STEAM attitudes in terms of interest, communication, and usefulness. This underscores the need for developing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advanced technologies in the future. Third, in the class satisfaction test conduct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TEAM program, the satisfaction factor scored an average of 3.55, interest scored 3.35, and overall class difficulty scored 3.46. The main difference from traditional classes was the focus on 'acquisition of future career information.' However, given the slight decrease in interest dur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process,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classes allocate sufficient time for experiential activities. To generalize the developed program,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various school levels, implementation periods, and difficulty level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은성(2019).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STEAM 교육 사례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30(2), 173-187.
  2. 교육부(2022).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9]. 세종: 교육부.
  3. 김미정, 홍준의(2019). 고등학생을 위한 항공기, 공항 관련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생물교육, 47(3), 384-392. https://doi.org/10.15717/BIOEDU.2019.47.3.384
  4. 김정아, 김민규, 김용민, 유혜진, 김종훈(2019). 파이썬을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3), 197-206.
  5. 김지용, 권대웅, 이형국, 김순화, 한규정(2015). 융합적사고력 및 과학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창의체험형 R-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문화예술콘텐츠, 14, 105-126.
  6. 명전옥(2001).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39-349.
  7. 박찬솔, 손정우(2020).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통한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9(2), 245-258. https://doi.org/10.15812/TER.59.2.202006.245
  8. 배성희, 김형범(2016). 중등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천문 수업에 미치는 영향: 근거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3), 607-6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607
  9. 손준호, 김종희, 김영곤(2014). 천문 STEAM 프로그램에 서 코티칭의 활용이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35(7), 572-584.
  10. 안미리, 박인심, 변현정(2017). 창의적 사고기법에 관한 사례연구: 창의적 사고기법 적용수업이 영어쓰기능력과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문화와 융합, 39(6), 235-266.
  11. 유상미, 김형범, 김용기, 김흥태(2021). WWT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학교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 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1), 33-47.
  12. 이상균(2017). 과학과 Eco-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과 STEAM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62-75.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1.62
  13. 이상균, 김순식(2013). 지역체험자원을 활용한 STEAM 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261-270.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3.261
  14. 이지윤, 최정주, 곽소나(2015). 스마트 제품디자인 방법론 기반 고등학교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2), 203-212. https://doi.org/10.17280/JDD.2015.15.2.020
  15. 이희후(2019). 데이터 시각화 도구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과학기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 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17. 한국과학창의재단(2018). 2017년 융합인재교육(STEAM) 사업 성과분석 연구[AD18030006].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8. 한신, 김용기, 김형범(2019). 자연재해 주제를 활용한 창의융합 HTE-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291-301.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3.291
  19. 한신, 김형범(2019). 초등학생을 위한 활동중심 STEAM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자외선'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6), 513-523. https://doi.org/10.5392/JKCA.2019.19.06.513
  20. 홍기대(2009). 초등 지리수업에서 사고기법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의 신장방안. 사회과교육, 48(4), 161-173.
  21.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revised ed.). New York: Academic Press.
  22. Cropley, A. J. (1999). Definitions of creativity. Encyclopedia of Creativity, 1, 511-524.
  23. Csikszentmihalyi, M., & Wolfe, R. (2000). New conceptions and research approaches to creativity: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creativity in education.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81-93. Elsevier Science.
  24.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16). A Draft of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Helsinki: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5. Fouh, E., Akbar, M., & Shaffer, C. A. (2012). The role of visualization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puters in the Schools, 29(2), 95-117. https://doi.org/10.1080/07380569.2012.651422
  26. Gentner, D. & Stevens, A. L. (1983). Mental model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 Haylock, D. W. (1987).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Education Studies in Mathematics, 18, 59-74. https://doi.org/10.1007/BF00367914
  28. Hosgorur, V., & Bilasa, P. (2009). The problem of creative education in information society.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 713-717. https://doi.org/10.1016/j.sbspro.2009.01.125
  29. Keating, D. P. (1980). Four faces of creativity: The continuing plight of the intellectually underserved. Gifted Child Quarterly, 24(2), 56-61. https://doi.org/10.1177/001698628002400203
  30. Keats, D., & Schmidt, J. (2007). The genesis and emergence of education 3.0 in higher education and its potential for Africa. First Monday, 12(3). Retrieved from http://firstmonday.org/issues/issue12_3/keats/index.html.
  31. Lubart, T. I. (2001). Models of the creative process: Past, present and futur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3-4), 295-308.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334_07
  32. Maley, A., & Kiss, T. (2018). Creativity and english language teaching: From inspiration to implementation. London: Palgrave Macmillan.
  33. Miller, A. L. (2014). A self-report measure of cognitive processes associated with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6(2), 203-218. https://doi.org/10.1080/10400419.2014.901088
  34. Root-Bernstein, R. S., & Root-Bernstein, M. (1999). Sparks of genius: The thirteen thinking tools of the world's most creative people. New York: Houghton Mifflin.
  35. Rubinstein, M. F. (1995). Patterns of problem solving (2nd ed). New York: Prentice-hall.
  36. Ryan, L., Silver, D., Laramee, R. S., & Ebert, D. (2019). Teaching data visualization as a skill.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39(2), 95-103. https://doi.org/10.1109/MCG.2018.2889526
  37. Scott, W. (1955). Reliability of content analysis: The case of nominal scale coding. Public Opinion Quarterly, 19(3), 323-325. https://doi.org/10.1086/266577
  38.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9). The concept of creativity: prospects and paradigms.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15).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Tan, L. T., Goh, B., Subramaniam, S., & Ramanathan, O. (2017). Engag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authentic research projects based on environmental science theme. Singapor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40. Torrance, E. P. (1981). Predicting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1958~1980) and the teacher who "made a difference". Gifted Child Quarterly, 25, 55-62. https://doi.org/10.1177/001698628102500203
  41. Wing, J. M. (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366(1881), 3717-3725.
  42. Wolf, F. M. (1986). Meta-analysis: Quantitative methods for research synthesis. Beverly Hills, CA: Sage.
  43. Yakman, G. (2008). STΣ@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PATT. Retrieved from http://www.steamedu.com/2008_PATT_Pub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