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Burden of the Population and People during the Reign of Tang Taizong before His Invasion of Goguryeo in 645

당 태종 '정관(貞觀)의 치'와 가정(苛政) - 645년 고당 전쟁 이전 조세·요역 수탈의 실상 -

  • Received : 2024.04.23
  • Accepted : 2024.06.25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ang Taizong was regarded as the emperor with the idea of cherishing the common people, paying close attention to his subjects' military service, and mobilizing of the people as recorded in Zhenguan Zhengyao (Essentials for Government), from the Zhenguan period during the reign of Tang Taizong. Contrary to the above, in reality, Li Shimin, the name of Tang Taizong, mobilized many subjects in the construction of Luoyang Palace in second capital city called Dongdu and Jiucheng Palace, a summer palace during Sui-Tang dynasty, and he requisitioned the subjects of Guannei Province and Longyou Province to install and protect provisional powers and a county in the Gaochang Kingdom. Given his antinomic behavior, the evaluation of Li Shimin as an ideal Confucian monarch should be reconsidered based on Zhenguan zhengyao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Dividing the 19 years before Goguryeo-Tang War in 645 into two periods, from the throne to 637 and from 639-644, the subjects were burdened by the construction of Luoyang Palace and Jiucheng Palace in the former period. In the latter period, after the conquest of the Gaochang Kingdom, there was a requisition for the transport of troops and supplies to be stationed in Xizhou, a reorganized prefecture and counties in the Gaochang Kingdom territory; probably mainly limited to the provinces of Guannei and Lungyou, which were geographically close to the West Regin that is now known as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The burden in the latter period was relatively less than in the former period. Even so, the number of households in 639, fourteenth year of Tang Taizong's reign, was only 34.1% and 26.8%, respectively, in 609, the sixth year of Sui Yangdi's reign. In this situation, Taizong's Goguryeo Invasion was not conducted in an economically situation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Tang Dynasty.

『정관정요』에서 태종이 백성의 군역과 요역 동원을 세심히 신경쓰고 백성들을 부유하게 해야 한다는 애민사상을 지닌 임금으로 분식되었지만 실상은 달랐다. 본문에서 이세민의 고구려 침공 이전의 약 19년을 즉위부터 정관 11년(637)까지와 정관 13~18년(639~644)까지로 두 시기로 나누어 백성들의 요역과 조세 부담을 살펴보았다. 전자의 시기에 낙양궁과 구성궁을 건설하여 백성들의 부담이 컸고 후자의 시기에 고창국 정복 후 중앙아시아에 주둔할 병력과 물자 수송을 위한 징발이 있었다. 이밖에 태종이 사냥 등 순행을 할 때도 태종이 지나가는 지역의 백성들만 순행 비용을 부담하였다. 따라서 후자 시기의 부담은 전자 시기보다 상대적으로 적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정관 13년(639)의 호구수는 대업 5년(609)의 각각 34.1%와 26.8%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에서 태종의 고구려 친정은 당나라의 경제 상황이 좋은 상태에서 벌인 것이 아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舊唐書」
  2. 「商君書」
  3. 「隋書」
  4. 「新唐書」
  5. 「資治通鑑」
  6. 李林甫 等撰, 陳仲夫 點校, 「唐六典」, 北京: 中華書局, 1992(2005重印).
  7. 王讜 撰, 周勳初 校證, 「唐語林」, 北京: 中華書局, 1997.
  8. 王溥 撰, 「唐會要」,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6.
  9. 劉肅 撰, 「大唐新語」, 北京: 中華書局, 1997.
  10. 吳兢 編著, 「貞觀政要」,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78.
  11. 王欽若 等編纂, 周勳初 等校訂, 「冊府元龜」, 南京: 鳳凰出版社, 2006.
  12. 杜佑 撰, 王文錦 등 點校, 「通典」, 中華書局, 1988.
  13. 마크 에드워드 루이스, 「하버드 중국사 당: 열린 세계 제국」, 김한신 옮김, 서울: 너머북스, 2017.
  14. 최진열, 「당인(唐人)들이 인정한 고구려인의 정체성: 당대 묘지명에 보이는 고구려의 별칭(조선.삼한.부여) 분석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4, 2009. http://uci.or.kr/G704-002002.2009..24.007
  15. 최진열, 「당대 고구려 표기 기피현상: 수당(隋唐) 묘지명의 국명 표기 분석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38, 2012. http://uci.or.kr/G704-002002.2012..38.007
  16. 최진열, 「당태종 고구려 친정과 당군(唐軍)의 병력」, 「군사」 124, 2022. https://doi.org/10.29212/mh.2022..124.133
  17. 최진열, 「647~648년 당(唐)의 고구려 침공과 인력.물자 동원」, 「비교중국연구」 4-2, 2023. https://doi.org/10.29212/10.23166/csgc.2023.4.2.001
  18. 최진열, 「648년 당태종의 고구려 정복 준비와 그 실상」, 「군사연구」 156, 2023.
  19. 최진열, 「645년 고당(高唐) 전쟁과 당(唐)의 병참 문제」, 「동양사학연구」 167, 2024.
  20. 渡邊信一郞, 「唐代前期における農民の軍役負擔: 歲役の成立によせて」, 「中國古代の財政と國家」, 東京: 汲古書院, 2010(原載, 「唐代前期における農民の軍役負擔」, 「京都府立大學學術報告(人文.社會)」 55, 2003.
  21. 梁方仲, 「中國歷代戶口.田地.田賦統計」,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80.
  22. 劉玉峰, 「唐代公廨本錢制的幾個問題」, 「史學月刊」 2002-5, 2002.
  23. 馬世長, 「敦煌縣博物館藏地方殘卷」, 「敦煌吐魯番文獻硏究論集」 1, 中華書局, 1982.
  24. 馬世長, 「地志中的"本"和唐代公廨本錢」, 「敦煌吐魯番文獻硏究論集」 1, 中華書局, 1982.
  25. 費省, 「論唐代的人口分布」, 「中國歷史地理論叢」 2, 1988.
  26. 徐嫩棠, 「唐朝社會的擧貸及高利貸」, 西北大學碩士學位論文, 2003.
  27. 石俊志, 「褚遂良與捉錢令史」, 「金融博覽」 2012-7, 2012.
  28. 石俊志, 「復置公廨本錢, 以諸司令史主之: 中國古代貨幣法史料釋義之二十三」, 「當代金融家」, 2019.
  29. 薛英群, 「略談敦煌地志中的公廨本錢」, 「蘭州大學學報」 1980-2, 1980.
  30. 薛平拴, 「論唐都長安的金融業」, 「唐史論叢」 8, 西安: 三秦出版社, 2006.
  31. 閻守誠, 「唐代官吏的俸料錢」, 「晉陽學刊」 1982-2, 1982.
  32. 吳小鳳, 「唐代經濟史札記二題」, 「廣西師院學報(哲學社會科學版)」 22-3, 2001.
  33. 翁俊雄, 「唐朝鼎盛時期政區與人口」, 北京: 首都師範大學出版社, 1995.
  34. 王文利, 「唐代捉錢制度硏究」, 「中國社會經濟史硏究」 2023-1, 2023.
  35. 王育民, 「唐代人口考」, 「上海師範大學學報」 1989-3, 1989.
  36. 汪籛, 「唐太宗」, 「汪籛隋唐史論稿」,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1.
  37. 王仲犖, 「隋唐五代史」, 北京: 中華書局, 2007.
  38. 李錦綉, 「唐前期公廨本錢的管理制度」, 「文獻」 1991-4, 1991.
  39. 李錦綉, 「唐代財政史稿」 第二冊,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7.
  40. 李春潤, 「唐代的捉錢制」, 「中南民族學院學報」 1982-4, 1982.
  41. 張美玲, 「唐前期諸司經費經營管理硏究」, 黑龍江大學碩士學位論文, 2021.
  42. 趙喜惠, 「試論唐代的官員經商與商人入仕」, 西北大學碩士學位論文, 2003.
  43. 陳明光, 「試論唐太宗"輕繇薄賦"思想及其實踐: 與隋文帝的比較硏究」, 「漢唐財政史論」, 長沙: 岳麓書社,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