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Argumentative 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a the SSI Argumentation Education Program

SSI 논증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논증 능력 발달 분석

  • Received : 2024.04.21
  • Accepted : 2024.07.17
  • Published : 2024.07.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learning process of the argumentative 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gards to learning science. Toward this end, the SSI argumentation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the science curriculum for sixth-grade students across 10 months. In this process, the scoring criteria in terms of formal and content aspects were developed and used to assess their argumentative text analysis and expression 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SSI influenced their ability to analyze argumentative texts. However, their formal and content aspects improved as learning progressed. Second, with regards to the formal aspect associated with the ability to express argumentative texts, reasons were initially most frequently cited. Over time, incorporating evidence to support these reasons and the use of rebuttal also increased. Third, in terms of content aspect, the level of use of all elements increased as learning progressed; however, level of acknowledgments and rebuttal elements exhibited a relatively slower progress. In summary, ability of the students to analyze and express argumentative texts improved as they increasingly gained experience in learning about argumentation. The study deduc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develop their argumentative abilities through appropriate learning support, such as teacher feedback, along with implementation of the SSI argumentation education program over an extended perio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SSI materials and incorporation of SSI argumentative writing in the science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논증 능력 발달과 학습 과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교육과정과 연계한 SSI 논증 교육 프로그램을 10개월 동안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의 논증 글 분석 및 표현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형식 측면과 내용 측면의 채점 기준을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증 글 분석 능력은 주제에 따라 영향을 받긴 했지만 학습이 진행되면서 형식 측면과 내용 측면 모두 향상되었다. 둘째, 논증 글 표현 능력 중 형식 측면에서는 이유만을 드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이유에 대한 근거를 추가하고 더 나아가 반박까지 활용하는 경우도 늘어났다. 셋째, 논증 글 표현 능력 중 내용 측면에서는 모든 논증 요소의 활용 수준이 점차 높아졌으나, 반론 인식과 반박 수준의 향상은 상대적으로 더디게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논증 학습 경험이 누적됨에 따라 학생들의 논증 글 분석 및 표현 능력은 향상되었다. 장기간 동안 SSI 논증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 더불어 교사의 피드백 등 적절한 학습 지원이 있다면 초등학생들도 논증 능력의 발달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육과정과 연계된 SSI 자료 개발과 SSI 논증 글쓰기의 교육과정 반영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2018). 예비 생물교사의 SSI (Socio-Scientific Issue) 관련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구조 분석. 생물교육, 46(1), 55-62.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1.55
  2. 곽경화, 남정희(2009). 과학적 논의과정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논의과정 변화 및 논의상황에 따른 논의과정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400-413. https://doi.org/10.14697/JKASE.2009.29.4.400
  3.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제2015-74호. 세종: 교육부.
  4. 교육부(2022).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제2022-33호.
  5. 김미정, 윤혜경(2016). 과학적 추론과 논증활동. 파주: 교육과학사.
  6. 김영대, 김효남(2015). 초등학생들의 과학 논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1(2), 1-11.
  7. 김현미(2014). 초.중학생의 설득적 글에 반영된 논증 구조 및 논증 도식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서혜정, 위수민(2022). 글쓰기 교육에 참여한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1), 125-146.
  9. 양일호, 이효정, 이효녕, 조현준(2009). 과학적 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03-220. https://doi.org/10.14697/JKASE.2009.29.2.203
  10. 유혜경, 임희준(2014).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논증활동에서 증거의 유형 및 수준 분석. 초등과학교육, 33(1), 162-171.
  11. 위수민, 윤지영, 임성만(2014). 지구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 (socio-scientific issue)와 관련된 논증적 글쓰기를 통해 알아본 예비교사들의 논증구조 발달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23.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11
  12. 이윤정, 장신호(2023). 과학관련 사회적 쟁점 기반 과학 수업 연구의 특징 분석. 초등과학교육, 42(1), 127-148.
  13. 이현주(2008).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의사결정유형. 교과교육학연구, 12(2), 377-396. https://doi.org/10.24231/RICI.2008.12.2.377
  14. 이현주(2018). SSI 교육이란 무엇인가: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사회참여와 실천을 위한 교육. 서울: 박영 스토리.
  15. 임혜진, 여상인(2012).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논증 특징. 초등과학교육, 31(1), 13-24.
  16. 조현준, 양일호, 이효녕, 송윤미(2008). 초등과학 영재의 논증활동에서 사용된 증거의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95-505. https://doi.org/10.14697/JKASE.2008.28.5.495
  17. 한신, 김중한, 김형범(2020). 과학관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논증구조 변화에 주는 영향: 에너지와 기후변화 주제를 중심으로.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3), 247-258. https://doi.org/10.22368/KSECCE.2020.10.3.247
  18. Duschl, R. A., & Osborne, J. (2002). Supporting and promoting argumentation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8, 39-72. https://doi.org/10.1080/03057260208560187
  19. Latour, B., & Woolgar, S. (2013). Laboratory life: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fact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Lemke, J. L. (1990). Technical discourse and technocratic ideology. In Selected papers from the 8th World Congress of Applied Linguistics (Vol. 2, pp. 435-460).
  21. Maloney, J., & Simon, S. (2006). Mapping children's discussions of evidenced in science to assess collaboration and argu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5), 1817-1841 https://doi.org/10.1080/09500690600855419
  22. McNeill, K. L., & Krajcik, J. S. (2011). Supporting grade 5-8 students in constructing explanations in science: The claim, evidence, and reasoning framework for talk and writing.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23. McNeill, K. L., Lizotte, D. J., Krajcik, J., & Marx, R. W. (2006). Supporting students' construction of scientific explanations by fading scaffolds in instructional material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5(2), 153-191.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1502_1
  24.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5.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6. Toulmin, S. E. (1958). The use of argu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Walton, D. N. (1990). What is reasoning? What is an argument?. Journal of Philosophy, 87, 399-419. https://doi.org/10.2307/2026735
  28. Williams, J., & Gregory, C. G. (2007). The craft of argument. 윤영삼 역 (2008). 논증의 탄생. 서울: 홍문관.
  29. Zeidler, D. L., & Kahn, S. (2014). It's debatable!: Using socioscientific issues to develop scientific literacy K-12. NST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