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신영, 문혁준(2022). 보육교사 그릿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육아정책연구, 16(2), 29-52.
- 강정아(2016). 중학생의 영재성과 성에 따른 행동특성, 심리적 가정환경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고유민, 김유미(2013). 영재아 대상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이 영재아의 스트레스 인식 및 대처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12(3), 135-157.
- 길현주, 김수영(2016). 유아 교사의 정서지능,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25(2), 201-220.
- 김나미, 김신섭(2013).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지, 14(2), 1125-1144.
- 김순규(2007). 보호요인이 피학대 아동의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유미, 이지은(2010). 강렬한 삶을 살아가는 영재의 이해와 상담. 서울: 아카데미 프레스.
- 김정아(2016).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논총, 25(1), 161-183.
- 김진구, 박다은(2017).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31(1), 145-162.
- 김청택(2016). 탐색적 요인분석의 오, 남용 문제와 교정. 조사연구, 17(1), 1-29.
- 김혜정, 한기순(2013).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에 따른 영재 특성 비교. 영재교육연구, 23(2), 257-273.
- 류영주, 양수진(2017). 내재적⋅친사회적 동기와 삶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0(4), 93-115.
- 민현숙, 양연숙(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습몰입 비교. 영재교육연구, 22(1), 157-171.
- 박경림(201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비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경진, 류춘렬(2017).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에 대한 인식 비교: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4), 625-636.
- 박나정, 임나영, 이창훈(2018).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3(1), 20-40.
- 박양규, 김은정, 박중재(2001). SPSS 통계분석 10. 서울: 21세기.
- 배병렬(2002). 구조방정식모델 이해와 활용. 서울: 대경.
- 송수영, 이상민(2022).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검증. 직업교육연구, 41(4), 1-19.
- 신민, 안도희(2015). 영재와 평재 고등학생들의 성공에 대한 인식, Grit, 열망 및 성취 목적 비교. 영재교육연구, 25(4), 607-628.
-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 회복탄력성 검사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 양재민, 유미현(2022).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완벽주의와 그릿(Grit)의 비교 및 관계 분석. 영재교육연구, 32(2), 229-248.
- 여상인(2023).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이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과학영재교육, 15(3), 444-454.
- 오은희, 최인선, 정철상(2020). 대학생의 그릿이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 258-267.
- 오지현, 조미영(2015). 초기청소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어머니 반응과 문제행동간 관계: 성별에 따른 탄력성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2(2), 225-249.
- 유영란, 유지원, 박현경(2015). 고등학생의 그릿(Grit)과 객관적 추론, 자기조절학습 효능감 간의 관계 규명. 청소년학연구, 22(10), 367-385.
- 윤상천, 최선영(2017).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적 실패내성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비교. 초등과학교육, 36(4), 439-446.
- 이경미, 성승민, 장낙한, 여상인(2015).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 비교. 과학교육연구지, 39(3), 307-320.
- 이미란, 이혜원, 탁정화(2017).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그릿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 491-512.
- 이병임, 이희수, 류형선(2012). 과학영재들의 회복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 긍정성을 중심으로. 창의력교육연구, 12(1), 155-178.
- 이수경(2016). 성인초기의 성장 마인드셋, 고정 마인드셋과 그릿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수란, 손영우(2013).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과 투지(Grit).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3), 349-366.
- 이수란, 안태영, 박서단, 양수진(2021). 한국형 그릿 척도(The Korean Version of GRIT: K-GRIT) 개발 및 타당화: 측정학적 문제와 개념적 본질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40(3), 351-387.
- 이신숙(2012).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애경(2012). 청소년의 비행과 성격강점, 심리 사회적 적응간의 관계: 낙관성, 탄력성, 억압적 대처유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영훈, 김성수(2005). 부정 진술문을 포함한 자기통제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교육의 이론과 실천, 10(2), 29-51.
- 이하리, 이영선(2015). 청소년의 교사⋅또래애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3(2), 467-486.
- 이현미(2016).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임현희, 조한익(2018). 청소년용 학업적 그릿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32(3), 495-523.
- 임효진(2017). 그릿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8(2), 169-192.
- 임효진, 류재준(2021). 그릿-S 척도 문항의 타당성 및 차별 기능 탐색. 교육심리연구, 35(3), 415-435.
- 임효진, 하혜숙(2017).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31(1), 59-81.
- 정은주, 정경은(2019). 청소년 회복탄력성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48), 243-273.
- 주석진(2011).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 및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18(11), 61-83.
- 주영주, 김동심(2016). 영재학생의 그릿(꾸준한 노력, 지속적 관심), 교사지원, 부모지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영재교육 만족도에 대한 예측력 검증. 특수교육, 15(1), 29-49.
- 차화연, 박은아, 김희진(2021). 유아교사용 그릿 척도(Grit Scale) 개발 및 타당화. 교육치료연구, 13(1), 99-119.
- 한국교육개발원(2024).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한미라, 김광수(2018). 유아교사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7(3), 411-427.
- 허수현(2016). 초등 수학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태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허지성, 박만구(2022). 초등수학영재 판별 도구로서 그릿 검사 타당성 검증. 수학교육 논문집, 36(3), 355-372.
- 홍세정(2020). 영재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완벽주의, 마인드셋 및 그릿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홍세희, 노언경, 정송(2011). 부정문항이 포함된 검사의 요인 구조: 자아존중감 검사의 예. 교육평가연구, 24(3), 713-732.
-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 Anastasi, A. (1982). Psychological testing (5th ed). New York Macmillan.
- Bagozzi, Richard, P., & Youjae, Yi.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 Benson, J., & Hocevar, D. (1985). The impact of item phrasing on the validity of attitude.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20(3), 231-240.
- Bollen, K. (1989).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Vol. 210). John Wiley & Sons.
- Byrne, B. M. (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erspectives on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Testing, 1(3-4), 327-334.
- Chen, F. F. (2007).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ex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3), 464-504.
- Cheung, G. W., & Rensvold, R. B. (2002).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233-255.
- Crede, M., Tynan, M. C., & Harms, P. D. (2016). Much ado about grit: A meta-analytic synthesis of grit liter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3(3), 492-511.
- Crowley, S., & Fan, X. (199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in personality assessment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8, 508-531.
- Datu, J. A. D., Valdez, J. P. M., & King, R. B. (2016). Perseverance counts but consistency does not! Validating the short grit scale in a collectivist setting. Current Psychology, 35, 121-130.
-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역). 서울: 박학사. (원저, Boston: Allyn & Bacon)
- Duckworth, A. L., & Quinn, P. 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 Duckworth, A. L., Kirby, T. A., Tsukayama, E., Berstein, H., & Ericsson, K. A. (2011).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ess 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 Bee.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2(2), 174-181.
-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 Dyer, J. G., & McGuinness, T. M. (1996).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10(5), 276-282.
-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 Fraering, M., & Minor, M. S. (2006). Sense of community: An exploratory study of US consumers of financial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 Marketing, 24(5), 284-306.
- Gerbing, D. W., & James C. A. (1988). An updated paradigm for scale development incorporating unidimensionality and its assess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2), 186-192.
- Horan, P. M., DiStefano, C., & Motl, R. W. (2003). Wording effects in self-esteem scales: Methodological artifact or response sty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0(3), 435-455.
- Hu, L. T., & Bentler, P. M. (1998).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am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3(4), 424-453.
- Ivcevic, Z., & Brackett, M. (2014). Predicting school success: Comparing conscientiousness, grit,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52, 29-36.
- Kline, R.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NY: Guilford publications.
- Lee, S. S., & Lee, D. K. (2018). What is the proper way to apply the multiple comparison test?.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71(5), 353-360.
- Maddi, S. R., Matthews, M. D., Kelly, D. R., Villarreal, B., & White, M. (2012). The role of hardiness and grit in predict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of USMA cadets. Military Psychology, 24(1), 19-28.
- Marsh, H. W. (1987). The Factorial invariance of response by males and females to a multidimensional self concept instrument: Substantive and methodological issu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2, 457-480.
- Marsh, H. W., Hau, K. T., & Wen, Z. (2004). In search of golden rules: Comment on hypothesis-testing approaches to setting cutoff values for fit indexes and dangers in overgeneralizing Hu and Bentler's (1999) finding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1(3), 320-341.
- Meredith, W. (1993). Measurement invariance, factor analysis and factorial invariance. Psychometrika, 58, 525-543.
- Muenks, K. M., Wigfield, A., Yang, J., & O'Neal, C. (2016). The facture structure of grit in two age groups and its relations with self-regulation and engagement. Paper presentedat the annual meeting of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Washington, DC.
- Mulaik, S. A., James, L. R., Van Alstine, J., Bennett, N., Lind, S., & Stilwell, C. D. (1989). Evaluation of goodness-of-fit indice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5(3), 430-445.
- Mullen, M. R. (1995). Diagnosing measurement equivalence in cross-national research.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26, 573-596.
- Myers, M. B., Calantone, R. J., Page Jr, T. J., & Taylor, C. R. (2000). Academic insights: An application of multiple-group causal models in assessing cross-cultural measurement equivalence.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8(4), 108-121.
- Nunnally, J. C. (1967).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 Pilotte, W. J. (1991). The impact of mixed item stems on the responses of high school students to a computer attitude sca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0(3), 603-610.
- Pilotte, W. J., & Gable, R. K. (1990). The impact of positive and negative item stems on the validity of a computer anxiety sca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50, 603-610.
- Reivich, K., & Shatte, A. (2002). The resilience factor: 7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inevitable obstacles. New York: Broadway books.
- Reivich, K., & Shatte,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7 keys to finding your inner strength and overcoming life hurdles. New York: Broadway Book.
- Robert, R. E., Lewinsohn, P. M., & Seeley, J. R. (1993). A brief measure of loneliness scal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22, 231-240.
- Rojas, J. P., Reser, J. A., Toland, M. D., & Usher, E. L. (2012). Psychometrics of the Grit scale. Poster presented at the 2012 Spring Research Conference at University of Kentucky, Louisville, KY.
- Ruf, D. L. (2009). 5 levels of gifted: School issues and educational options. Scottsdale, AZ: Great Potential Press.
- Schmitt, N., & Kuljanin, G. (2008). Measurement invariance: Review of practice and implic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8(4), 210-222.
- Schriesheim, C., & Hill, K. (1981). Controlling acquiescence response bias by item reversals: The effect on question validit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41, 1101-1114.
- Silverman, L. K. (1993).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Love Publishing Co., Denver, CO, USA.
- Spector, P. E. (1992). Summated rating scale construction: An introduction. Newbury, Park,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 Stevens, J. (1996).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for the social sciences (3r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Strayhorn, T. L. (2013). What role of does grit play in the academic success of Blackmale collegians at predominantly White institutions? Journal of African American Studies, 18(1), 1-10.
- Tepper, B. J., & Tepper, K. (1993). The effects of method variance within measures. Journal of Psychology, 127(3), 293-302.
- Terrassier, J. C. (1985). Dyssynchrony-uneven development. The Psychology of Gifted Children, 265-274.
- Vandenberg, R. J., & Lance, C. E. (2000).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measurement invariance literature: Suggestions,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organizational resear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3(1), 4-70.
- Webb, J., Meckstroth, E., & Tolan, S. (2020). Guiding the gifted child. SCB Distributors.
- West, S., Finch, J., & Curran, P.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al culture, non 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Sage, Thousand Oaks.
- Wolters, C. A., & Hussain, M. (2015). Investigating grit and its relations with college students'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Metacognition and Learning, 10(3), 293-311.
- Yoshitsu, J., & Nishikawa, K. (2013). Development of the Japanese grit scale. Japanese Journal of Research on Emotion,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