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Grades 3-4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Bloom'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mparison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에 따른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성취기준 분석 및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

  • Received : 2024.03.28
  • Accepted : 2024.04.23
  • Published : 2024.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grades 3-4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identify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for grades 3-4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s well as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textbooks for grades 3-4 and the direction of teaching for teachers in the field. For this purpose, 57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cience Department 2022 revised curriculum for grades 3-4 were analyzed as to their knowledge dimensions and cognitive processes according to Bloom's Taxonomy of the New Educational Objectives. In cases where an achievement standard is a double sentence or combines two or more knowledge dimensions or cognitive process dimensions, we separated the sentences after having consulted with a group of experts and divided the achievement standards into 57 sentences. We then analyzed the frequency of the categorization of concepts and descriptors by comparing them with the previously studied elementary science standards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knowledge dimension, the "factual knowledge" accounted for 50 items (86%), compared to "conceptual knowledge" (10%), and "procedural knowledge" (4%), and "metacognitive knowledge" was not analyzed at all. Second, in terms of the cognitive processes, "Understanding" was the highest at 60% with 34 items. It was followed by "applying" with 11%, "creating" with 19%, "evaluating" with 15%, and "analyzing" and "remembering" with 6%. Third, when analyzing the descriptors, "I can explain" was the highest with 9%, followed by "comparison" with 6%, and "practice" and "classification" with 5%. Fourth, compared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onceptual knowledge" was reduced and "factual knowledge" was overwhelmingly increased. Fifth,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understanding,'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other cognitive process dimensions have decreased.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ocus of the Science Department for grades 3-4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heavily weighted toward the "factual knowledge," with "understanding" dominating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s. As a result, many concepts and applications have been reduc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descriptors with the resul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textbooks for grades 3-4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discussed, and so were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for the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4학년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의 3~4학년군 과학교육이 목표하는 바를 확인하고 차후 3~4학년군 과학 교과서 개발 및 현장 교사들의 교수학습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 3~4학년군 성취기준 57개를 블룸의 목표분류체계에 따라 지식차원과 인지과정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성취기준이 복문이거나 2개 이상의 지식차원 또는 인지과정 차원을 복합하여 서술한 경우에는 전문가집단의 자문을 통해 문장을 분리하여 성취기준을 57개의 문장으로 만들어 분석하였다. 이후 기존에 연구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개념 및 서술어의 분류 빈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차원에서는 '사실적 지식'이 50개 (86%)로 나머지 '개념적 지식'(10%), '절차적 지식'(4%)에 비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타인지 지식'은 한 개도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기'가 34개로 60%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적용하기'가 11개로 19%, '창안하기'가 15%, '평가하기'가 6%로 나타났으며 분석하기와 기억하기는 아예 없었다. 셋째, 서술어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설명할 수 있다'가 9개로 가장 많았으며 비교가 여섯, 실천과 분류가 다섯으로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넷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개념적 지식이 축소되고 사실적 지식이 압도적인 비중으로 증가하였다. 다섯째,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기가 크게 늘어난 데 반해 나머지 인지과정 차원은 축소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2022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교과의 지향점은 사실적 지식에 편중되어 있으며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기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많은 개념과 적용이 줄어들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연구 결과와의 서술어 비교 연구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의 과학 교과서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장의 교육과정에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지를 논의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석, 강이철, 권대훈, 박영무, 이원희, 조영남, 주동범, 최호성 역(2005a).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 아카데미프레스.
  2. 강현석, 정재임, 최윤경(2005b).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53(1), 51-84.
  3. 교육부(2022).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4. 김보경(2010).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통한 초등학교 과학과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체계 비교.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은주, 이진숙, 이훤, 김대현(2016).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6), 911-923.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6.0911
  6. 김종서, 이영덕, 이홍우(1987). 교육과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7. 박윤경, 정종성, 김병수(2015).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및 재구성 실태 조사. 초등교육연구, 28(4), 117-143.
  8. 박재근(2017).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탐구 활동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6(1), 43-60.
  9. 백남진(2014).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의 개선 방향 탐색: 한국과 미국 과학 교육과정 검토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2), 101-131. https://doi.org/10.15708/KSCS.32.2.201406.005
  10. 서영진(2013).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의 진술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46, 417-450.
  11. 송은정, 제민경, 차경미, 유준희(2016).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 분석: TIMSS 인지적 영역 평가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 (4), 607-616.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4.0607
  12. 조광희(2013). 2009 개정 물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특징. 교과교육학연구, 17(4), 1405-1420. https://doi.org/10.24231/RICI.2013.17.4.1405
  13. 조광희(2015). 통합적 탐구를 지향하는 고등학교 과학 및 사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3), 515-539.
  14. 천주영, 이성민, 홍훈기(2017).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 551-573.
  15. 최정인, 백성혜(2015).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277-288.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277
  16. 허경조(1993). 인지영역 교육목표분류학에 있어서 행동의 의미와 위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Anderson, L. W., & Krathwohl, D. R. (eds.)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Longman.
  18. Bloom, B. S., Engelhart, M. D., Furst, E. J., Hill, W. H., & Krathwohl, D. R.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1: Congnitive domain. David Mckay.
  19. Fullan, M. (1991).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A. Lewy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urriculum (pp. 378-384). Pergamon Press.
  20. Furst, E. J. (1994). Bloom's taxonomy: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issues. In L. W. Anderson & L. A. Sosniak (Eds.), Bloom's taxonomy: A fourty-year retrospective: Ninety-third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Hauenstein, A. D. (1998).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 objectives: A holistic approach to traditional taxonomie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2. Marsh, C. J. (2009). Key concepts for understanding curriculum. Routledge.
  23. Marzano, R. J. (2001).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rwin Press.
  24. Snyder, J., Bolin, F., & Zumwalt, K. (1992).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P. W. Jackson (Ed.),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pp. 402-435). Macmillan.
  25. Waller, V. (2006). Why we need good instructional design. Retrieved June 6, 2007 from http://www.elearningework.org/articles/article12.d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