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ddressing Challenges in Leveraging Health and Medical Data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보건의료 데이터 연구 개발 활용의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 제언

  • 조규석 (연세대학교 기술경영학협동과정) ;
  • 방영석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24.03.25
  • Accepted : 2024.06.03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barriers to using health and medical data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within the healthcare industry and suggests ways to enhance data utilization.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drives transformative changes across industries, there is an increased demand for robust health and medical data, highlighting its critical economic value and utility in fostering innovation. Using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Grounded Theory, the study involves ten R&D professionals from healthcare industry, including both medical centers and corporations, using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o gather divers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health and medical data use. Key findings point to legislative, regulatory, and data quality and integration issues, as well as complexities in patient data access and usage. Technological limitations and inadequate data governance frameworks also emerge as significant obstacles. Recommendations focus on improving regulatory frameworks, enhancing data standardization and quality, and fostering stronger partnerships between data custodians and users. The study concludes that overcoming these obstacles requires a comprehensive strategy involving legislative changes, improved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and increased stakeholder collaboration. Implementing these recommendations could greatly enhance health and medical data utilization in R&D, significantly advancing medical science and patient care services.

Keywords

References

  1. 강만모, 김상락, 박상무, "빅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정보과학회지, 제30권 제6호, 2012, pp. 25-32.
  2. 강정묵, "지방정부의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영향 요인 분석: 서울시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제12권, 제1호, 2017, pp. 161-197.
  3. 권영준, "데이터 귀속보호․거래에 관한 법리 체계와 방향", 비교사법, 제28권, 제1호, 2021, pp. 1-43. https://doi.org/10.22922/JCPL.28.1.202102.1
  4. 권향원,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실천적 가이드라인과 이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20권, 제2호, 2016, pp. 181-216.
  5. 김길래, 정소연, "MICE 산업에서의 서비스사이언스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0권, 제3호, 2011, pp. 297-312. https://doi.org/10.9716/KITS.2011.10.3.297
  6. 김근령, 이대희,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적검토-개인정보보호를 중심으로", 과학기술법연구, 2018, 제24집, 제3호, pp. 57-90. https://doi.org/10.32430/ilst.2018.24.3.57
  7. 김재선, "미국의 보건의료데이터 보호 및 활용을 위한 주요 법적 쟁점: 미국 HIPAA/HITECH, 21세기 치료법, 공통규칙, 민간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22권, 제4호, 2021, pp. 117-157. https://doi.org/10.29291/kslm.2021.22.4.117
  8. 김은수, 박제인, 정종구,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이용과 한계: 대만판례 TAHR vs. NHIA (2012) 분석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제27권, 제1호, 2017, pp. 263-292.
  9. 김일중, 김두얼 편, 법경제학: 이론과 응용, 해남출판사, 2011, pp. 118-120.
  10. 김지희, "보건의료데이터 법제의 개선방안-가명정보의 활용, 데이터 거버넌스 및 법적 정합성 보완을 중심으로", 고려법학, 제106호, 2022, pp. 437-481.
  11. 김희정, 김석주, "지능정보 시대에서 보건의료 데이터 이용 활성화 방안: 보건의료 데이터 법.제도적 규제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25권, 제3호, 2022, pp. 1-21. https://doi.org/10.22896/KARIS.2022.25.3.001
  12. 김현영, 지현수, 이화순, 지종덕, "빅 데이터에 따른 지적정보의 효율화 방안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16권, 제1호, 2014, pp. 29-48.
  13.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제6판), 2021, 법문사.
  14. 박미정,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8, pp. 163-192. https://doi.org/10.17215/kaml.2018.06.26.1.163
  15. 배재권, "마이데이터(MyData) 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도적 요인에 관한 연구", 로고스경영연구, 제19권, 제1호, 2021, pp. 117-132. https://doi.org/10.22724/LMR.2021.19.1.117
  16. 보건복지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 2020.9. 신설, 2021.1. 개정, 2022.12. 개정, 2024.1. 개정.
  17. 성욱준, "공공부문 빅데이터 정책 활성화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제25권, 제2호, 2016, pp. 125-150.
  18. 송효진, 황성수, "정부 3.0 추진에 따른 공공데이터 개방과 지방정부의 방향성 모색",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7권, 제2호, 2014, pp. 1-28. https://doi.org/10.22896/KARIS.2014.17.2.001
  19. 윤건, "공공분야 데이터 융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33권, 제4호, 2023, pp. 131-158. https://doi.org/10.53865/KSPA.2023.2.33.4.131
  20. 윤상오, "빅데이터의 위험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6권, 제2호, 2013, pp. 93-122. https://doi.org/10.22896/KARIS.2013.16.2.004
  21. 윤수영, 오재인, "IT 자원, 인적 자원, 조직적 자원에 따른 빅데이터 사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제43권, 제4호, 2018, pp. 67-94. https://doi.org/10.7737/JKORMS.2018.43.4.067
  22. 윤희정, "조직적, 기술적, 환경적 요인이 빅데이터의 활용 및 효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관리연구, 제7권, 제2호, 2014, pp. 153-178.
  23. 이상진, 손달호, "교통 빅데이터의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8권, 제3호, 2018, pp. 145-164. https://doi.org/10.37272/JIECR.2018.06.18.3.145
  24. 전영주, "의료법상 의료정보 보호방안: 의무기록 보호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제28권, 2007, pp. 465-483.
  25. 정영진, "보건의료 데이터와 개인정보 보호와의 관계에 대한 소고", 법학논총, 제34권, 제3호, 2022, pp. 192-225.
  26. 천호성, "복지부, 건강 정보 민간업체에 넘기는 디지털 헬스케어법 제정 추진", 한겨레, 2024년1월30일자, Available at: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1126517.html (Accessed Jan uary 31, 2024).
  27. 최귀순,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 방법론 비교",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6, pp. 82-90.
  28. 홍은심, "민감한 환자 정보 팔리는데... 보건의료 빅데이터 관련 규정은 전무", 동아일보, 2023년4월26일자, Available at: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30425/118996790/1 (Accessed July 21, 2023).
  29. Ackoff, R.L., "From Data to Wisdom", Journal of Applied Systems Analysis, Vol.16, 1989, pp. 1-9.
  30. Glaser, B. and A. Strauss,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Hawthorne, NY, Aldine Publishing Company, 1967.
  31. Glaser, B., Theoretical Sensitivity: Advances in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Mill Valley, CA, Sociology Press, 1978.
  32. Glaser, B., Basics of Grounded Theory Analysis, Mill Valley, CA, Sociology Press, 1992.
  33. Glaser, B., Doing Grounded Theory: Issues and Discussion, Mill Valley, CA, Sociology Press, 1998.
  34. Kleiber, P.B., Focus Groups: More Than a Method of Qualitative Inquiry, in deMarrais, K. B. and S. D. Lapan (Editors), Foundations for Research: Methods of Inquiry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Mahwah, NJ, 2004, pp. 87-102.
  35. Rowley, J., "The Wisdom Hierarchy: Representations of the DIKW Hierarchy",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cience, Vol.22, No.2, 2007, pp. 163-180. https://doi.org/10.1177/0165551506070706
  36. Strauss, A. and J.M. Corbin,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s, Canons, and Evaluation Criteria", Qualitative Sociology, Vol.13, No.1, 1990, pp. 3-21. https://doi.org/10.1007/BF00988593
  37. Strauss, A. and J. M. Corbin,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1998.
  38. Wikipedia, DIKW pyramid, 2023, Available at https://en.wikipedia.org/wiki/DIKW_pyramid (Accessed October 31,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