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Manufacturing Location and the Decline of Industrial Cities in Korea

한국 제조업 입지 변화와 산업도시 쇠퇴

  • Yangmi Koo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NU, SNU Institute on Aging) ;
  • Seonghun Kim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구양미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 ;
  • 김성훈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24.06.14
  • Accepted : 2024.06.28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changes in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and to consider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m. From the 1960s to the 1980s, under Korea's export-oriented industrial policy and location policy of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es, a manufacturing spatial structure was centered o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the Southeastern Region. Since the mid-1990s, with the emergence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strengthen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technology- and knowledge-intensive manufacturing and R&D activitie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On the other hand, as the overseas relocation of assembly plants accelerated, the decline of industrial cities in the non-Metropolitan Region progressed. Since the 2010s, manufacturing and start-up activities have become more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howing signs of expanding to the adjacent northern Chungcheong Region. This results from changes in the global value chains followed by overseas relocation of production functions at the global level, and concentration of knowledge-intensive manufacturing and R&D activ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t the national level, which are reflected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제조업의 입지와 공간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1960년대~1980년대에 한국의 수출주도형 산업정책과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을 통한 입지정책의 영향으로 수도권과 동남권 중심의 제조업 공간구조가 구축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경제 세계화와 기업 경쟁력 강화에 따라 기술 및 지식 집약적 제조와 연구개발 활동이 수도권에 집중되었다. 반면 조립공장의 해외 이전이 가속화되면서 비수도권 산업도시의 쇠퇴가 진행되었다. 2010년대 이후에는 제조업 및 창업 활동이 수도권에 더욱 집중되면서 인접한 충청권 북부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것은 전세계적 차원에서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와 생산 기능 해외 이전, 국가적 차원에서 지식 집약적 제조 및 연구개발 활동의 수도권 집중이 제조업 공간구조에 투영된 결과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A2A01041269).

References

  1. 고병옥.구양미, 2023, "조선업 특화 도시의 산업 경로 변화: 2010년대 이후 조선업 불황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6(2), pp.73-95. https://doi.org/10.23841/EGSK.2023.26.2.73
  2. 구양미, 2021, "인구 변화와 도시 쇠퇴의 지역 불균형: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시사점," 국토지리학회지 55(3), pp.301-320. https://doi.org/10.22905/kaopqj.2021.55.3.5
  3. 구양미, 2022, "Entrepreneurial Ecosystems(기업가적 생태계) 개념과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5(1), pp.1-22. https://doi.org/10.23841/EGSK.2022.25.1.1
  4. 구양미, 2024, 산업단지, 한국경제 시민강좌 14, 서울: 도서출판 해남.
  5. 김새란.허재완, 2019, "수도권 규제가 수도권 내 지역격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1(1), pp.1-14. https://doi.org/10.16972/apjbve.14.2.201904.31
  6. 김의준.이호민.박승규, 2005, "수도권 제조업 집적경제 분석," 국토연구 45, pp.41-58. https://doi.org/10.1080/05679320500445888
  7. 김진근 외, 2016, 조선산업 구조조정에 따른 지역산업정책 방향, 경남발전연구원.
  8. 박기주, 2023, 중화학공업화, 한국경제 시민강좌 02, 서울: 도서출판 해남.
  9. 박진호.김영순.이진우.송부용, 2019, "전통산업도시의 과제와 리빌딩 방향: 한국판 러스트벨트, 동남권 산업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연구 44, pp.53-84. https://doi.org/10.34282/krea.2019.17.3.3
  10. 서순탁.김진수, 2017, "수도권 규제정책의 경로의존성 분석과 정책적 함의," 도시행정학보 30(4), pp.129-150. https://doi.org/10.36700/KRUMA.2017.12.30.4.129
  11. 유상민.변병설, 2011, "산업단지의 쇠퇴성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45(4), pp.519-528. https://doi.org/10.1016/j.jrp.2011.06.006
  12. 이삼수.이현주.김태균.김선우, 2013, "산업단지 정책 및 입지변화 특성 고찰,"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4), pp.87-110.
  13. 이인희.김걸, 2022, "우리나라 산업단지의 시대별 조성정책과 공간분포 고찰," 한국지도학회지 22(2), pp.83-93. https://doi.org/10.16879/jkca.2022.22.2.083
  14. 임석회, 1994, "지역균형개발과 수도권정비정책의 문제점: 개정 수도권정비계획법을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4(1), pp.240-252.
  15. 전지혜.이철우, 2019,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현 주소: 구미지역 산업 환경과 위기실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91-303.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91
  16. 정성훈, 2019,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진단과 처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37-245.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37
  17. 주무현, 2019, "한국 산업구조 재편과 지역의 고용위기," 한국사회경제학회 2019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pp.227-248.
  18. 최상오, 2023, 경제개발계획, 한국경제 시민강좌 01, 서울: 도서출판 해남.
  19. 최성웅.허동숙, 2021, "지역적 조건을 고려한 산업단지의 구조적 전환 추진전략 모색," 대한지리학회지 56(4), pp.387-406. https://doi.org/10.22776/KGS.2021.56.4.387
  20. Coe, N. M., Kelly, P. F. and Yeung, H. W. C., 2020, Economic Geography: A Contemporary Introduction, Hoboken: Wiley Blackwell.
  21. Mudambi, R., 2008, "Location, control and innovation in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8, pp.699-725. https://doi.org/10.1093/jeg/lbn024
  22. Park, S. O., 2015, Dynamics of Economic Spaces in the Global Knowledge-based Economy: Theory and East Asian Cases, Abingdon / NewYork: Routledge.
  23. LG디스플레이, 2006년 1월 2일, "파주 7세대 생산라인, 양산가동 돌입," https://www.lgdisplay.com/kor/company/media-center/latest-news?contentId=2594 (최종접속일: 2024년 5월 30일).
  24.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1년 5월 13일, "K-반도체 벨트 구축...기업 510조 투자.정부 전방위 지원,"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87383 (최종접속일: 2024년 6월 8일).
  25. 서울경제, 2023년 3월 17일, "글로벌 러브콜에도...용인에 300조 삼성 반도체 클러스터 짓는 이유 [biz-플러스]," https://sedaily.com/NewsView/29N27KMUJX (최종접속일: 2024년 6월 9일).
  26. 이데일리, 2023년 12월 1일, "'탕정'은 어떻게 아산의 중심이 됐을까?"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1905686635834256&mediaCodeNo=257 (최종접속일: 2024년 6월 2일).
  27. 전기신문, 2023년 4월 8일, "대기업 잇따라 수도권 R&D 구축...대전 떠나는 꿈돌이들,"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18185 (최종접속일: 2024년 6월 9일).
  28. 철강금속신문, 2020년 6월 10일, "현대제철의 67년 발자취, "우리나라 최초의 철강 업체 위상"," http://www.sn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64981 (최종접속일: 2024년 5월 30일).
  29. 한국경제, 1997년 9월 12일, "[산업면톱] 가전3사, '2단계 구조조정' 작업 착수," https://www.hankyung.com/article/1997091201081(최종접속일: 2024년 6월 27일).
  30. 한국경제, 2019년 2월 13일, "[단독] '120兆 반도체 클러스터' 용인으로 간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mp/2019021366151 (최종접속일: 2024년 6월 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