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재생에너지 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지・산・학・연 전문가의 요구분석

Needs Analysis of Regional, Industrial, Academic, and Research Experts on Curriculum in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 최지현 (고려대학교 에너지신산업 혁신융합대학사업단)
  • Choi, Jeehyun (New Energy Industry-Convergence Open Sharing Center, Korea University)
  • 투고 : 2024.04.08
  • 심사 : 2024.05.27
  • 발행 : 2024.05.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needs analysis among experts regarding the curriculum in the field of new and renewable energy for the future experts. To achieve this goal, purposive sampling was employed to select 30 experts from the reginal, industrial, academic, and research sectors in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field, who participated in needs surveys and expert Delphi surveys. Needs assessments for 53 courses and suitability evaluations for 6 curriculums were conducted, and comprehensive advisory opinions wer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Brich's needs assessment,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with the assistance of MS Office Excel 2018 and SPSS 25.0 software. The key findings include: (a) 18 courses should be given top priority for operation, while 4 courses should be considered secondarily; (b) All 6 curriculums received positive evaluations; (c) Improvements are needed in curriculum development to cater to both generalist and specialist training needs, incorporating the acquisition of new technology and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curriculums in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키워드

참고문헌

  1. 관계부처 합동(2024.01). 제2차(2024~2028)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안). 관계부처 합동. 
  2. 경기대학교 사회에너지시스템공학과(2024.05.17. 검색). https://www.kyonggi.ac.kr/cee/index.do 
  3. 경북대학교 에너지공학부(2024.05.17. 검색). https://energy.knu.ac.kr 
  4. 군장대학교 에너지융합화공과(2024.05.13. 검색). https://www.kunjang.ac.kr/main/enter/degree/engineering/energy 
  5. 동아대학교 미래에너지공학전공(2024.05.17. 검색). http://donga.dsso.kr/sub3_1.php 
  6. 박의섭.정용복.오세욱(2022). 탄소중립과 수소에너지 지하저장. 한국자원공학회지, 59(5), 462-473. 
  7. 산업통상자원부(2023.05). 에너지 인력양성 중장기 전략(안). 산업통상자원부. 
  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래에너지융합학과(2024.05.17. 검색). https://future-energy.seoultech.ac.kr 
  9. 신성대학교 신재생에너지과(2024.05.13. 검색). https://re100.shinsung.ac.kr/main 
  10. 양수영 외(2021). 에너지신산업을 위한 에너지 빅데이터 전처리 시스템.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16(5), 851-858. 
  11. 양의석.김수린.김기중(2019). 주요국의 에너지전환(Energy Transition) 추진성과와 과제.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9-19. 
  12. 이유진(2022). 국내 에너지신산업의 규모와 지리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51, 25-48. 
  13. 이유현.이용택(2021). 기후변화 시대 수요기반 수소에너지 융합교육과정 개발연구: 충청 지역대학 수소에너지 마이크로디그리 사례에 대한 CIPP 모형의 적용.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1(3), 13-25. 
  14. 이준혁 외(2020). 해상풍력산업 근로자 안전 향상 방안에 관한 고찰: 안전 교육과정 도입 중심.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3(1), 363-387. 
  15. 이혜선.엄미정(2022). 첨단・신기술분야 학과개편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교육혁신연구, 32(2), 1-27. 
  16. 장후은.이종호(2017).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의 역할 제고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3), 459-469. 
  17. 전주비전대학교 신재생에너지공학과(2024.05.13. 검색). https://www.jvision.ac.kr/vision/main/?menu=85# 
  18. 조대연(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1), 165-187. 
  19. 조선대학교 첨단에너지공학과(2024.05.17. 검색). https://newenergy.chosun.ac.kr/newenergy/index.do 
  20. 진성희(2017).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산업체 수요조사: 나노, 바이오, 로봇,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0(1), 18-27. 
  21. 최광훈.권규현(2021). 에너지 신산업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 전략에 관한 연구: 기술융합의 패턴, 혁신 영향력 및 예측 관점에서. 기술혁신학회지, 24(2), 1-21. 
  22. 최정희(2024).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 과자: D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8), 485-505. 
  23. 황규희.유한구.채창균(2023). 탄소중립 성장을 위한 인재양성 방안: 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4. 황두희.박금주(2021). 지속가능 에너지 산업 분야의 교육수요 분석 연구: 울산의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산 학기술학회 논문지, 22(10), 636-643. 
  25. 황윤자.도현미(2023). 항공・드론 디지털 신기술 분야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산업체와 교수자 인식 비교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4(9), 2193-2203. 
  26. ABEEK(2024). 공학교육인증기준2024(KEC2024). 한국공학교육인증원. 
  27. Altschuld, J. W., & Kumar, D. D.(2010). Needs assessment: An overview. Sage. 
  28. Altschuld, J. W., & Watkins, R.(2014). A primer on needs assessment: More than 40 years of research and practice. New Directions for Evaluation, 2014(144), 5-18. 
  29. Ayre, C., & Scally, A. J.(2014). Critical values for Lawshe's content validity ratio: Revisiting the original methods of calcul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7(1), 79-86. 
  30. Borich, G. D.(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31. Matkovic, P. et al.(2014).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redesign based on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n EDULEARN14 Proceedings (pp. 4113-4123). IATED. 
  32. Mink, O. G., Shultz, J. M., & Mink, B. P.(1979). Developing and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