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교교육공간 혁신을 위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 탐색 - 교육분야 사용자 참여 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

Exploratory Study on the Educational Planning Process Model for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User Participatory Design Practices -

  • 투고 : 2024.05.15
  • 심사 : 2024.06.26
  • 발행 : 2024.06.30

초록

본 연구는 미래형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미래형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교육공간 혁신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참여 설계 방법에 기반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공간 혁신, 교육기획 절차, 사용자 참여 설계와 관련된 선행연구 및 실천사례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기획 절차 모형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초등학교 1개교의 개축 프로젝트의 교육기획 과정에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그 결과를 모형의 개선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된 '사용자 참여 설계에 기반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은 총 4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는 사용자 참여를 위한 초기 탐색 단계로, 교육기획가와 사용자가 미래교육을 위한 공유된 관점을 형성하고, 교육기획가는 학교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초점을 둔다. 2단계는 미래교육으로 전환을 위한 구성원간 합의를 도출하는 단계로, 학교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방향성을 큰 틀에서 설정하고 중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아이디어 발산을 시작하는 데 초점을 둔다. 3단계는 미래학교 운영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로, 학교의 교육 비전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수학습의 방향을 결정하며, 특색 교육공간에 대한 요구를 도출한다. 4단계는 교육기획을 마무리하는 단계이자 공간기획을 시작하는 단계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기획가와 공간기획가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기획 절차의 이점과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a model for educational planning based on user participatory design for the purpose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pace innovation. It reviewed previous research and practices related to educational space innovation, educational planning processes, and user participation design and suggested a draft model. This model was applied in the renovation project of an elementary school, and the problems encountered during the application were reflected upon and used to improve the model. The final model comprises four phases. Phase 1 is an initial exploratory phase foruser participation, where educational planners and users form a shared perspective regarding the future of education. Phase 2 is a needs-analysis phase for the transition to future education, which focuses on setting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school-level curriculum. Phase 3 specifies the direction of future school curricula and identifies needs for educational spaces. Finally, Phase 4 focus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educational and space planner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study discussed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this educational planning model for school space innov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UNESCO(2021). 함께 그려보는 우리의 미래: 교육을 위한 새로운 사회계약.
  2. 교육부(2021).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종합 추진계획.
  3. 교육부(2022).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4. 윤정일, 송기창, 김병주, 남수경 (2021). 「교육행정학 원론(7판)」. 학지사.
  5. Spinuzzi, C.(2005). The methodology of participatory design. Technical Communication, 52(2), 163-174.
  6. 계보경(2011). 미래를 위한 준비, 각국의 미래학교 프로젝트 추진 동향.
  7. 정성수, 김정겸, 노진관, 이영호, 정일환, 홍후조, 이길용, 최예나(2023). 그린스마트스쿨 추진학교 교육기획 역량 강화 방안. 교육부 정책연구. 11-1342000-000949-01.
  8. InnoSchool(2007). http://innoschool.tkk.fi/
  9. UK Department of Education(2012). Equalities impact assessment: building schools for the future (DFE-32060-2012).
  10. 한국교육시설안전원(2023). 한눈에 살펴보는 그린스마트스쿨 단계별 교육기획.
  11. 서울특별시교육청(2021).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 멉무 매뉴얼.
  12. 울산광역시교육청(2024). 울산 그린스마트 미래학교(공간재구조화) 길라잡이 2.0.
  13. McGregor, D.(1960). The Human Side of Enterprise. McGraw-Hill.
  14. Carrol, S. J., & Tosi, H. L. (1973). Management by objectives: application and research. The macmillan company.
  15. 고인룡, 강태웅(2014). 영국의 DQIfS를 포함한 사용자참여설계과정(UPDP)의 적용연구 -노량진 초등학교 개축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21(1), 43-53.
  16. 손석의, 김승제(2021). 사용자 참여설계를 통한 교실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인천광역시 학교공간 혁신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시설 논문지, 28(4), 11-17. https://doi.org/10.7859/KIEF.2021.28.4.002
  17. 신나민(2010). 학교 공간 개선에 있어 사용자 참여디자인이 갖는 효용성 및 참여방식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공학연구, 26(4), 171-189.
  18. 송은아(2009). 사용자 참여디자인의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일본의 지역공공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25, 77-84.
  19. 조창희, 이화룡(2015). 학교건축 사용자 참여디자인의 효율적 운영방법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22(1), 3-12.
  20. 이동국(2020).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 공간 혁신' 정책 키워드 분석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교육녹색환경연구, 19(2), 11-20. https://doi.org/10.7743/KISEE.2020.19.2.011
  21. 한세민(2021). 학교공간혁신 사업을 위한 사용자 참여설계 적용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6(2), 315-324.
  22. Konings, K. D., Brand-Gruwel, S., & Van Merrienboer, J. J.(2005). Towards more powerful learning environments through combining the perspectives of designers, teachers, and studen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4), 645-660.
  23. Konings, K. D., Seidel, T., & van Merrienboer, J. J.(2014). Participatory design of learning environments: integrating perspectives of students, teachers, and designers. Instructional Science, 42, 1-9. https://doi.org/10.1007/s11251-013-93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