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asures to Ensure Overturning Stability of Tripod Mobile Ladders Used in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 On Tripod Mobile Ladders Used in Korea Subject to EN131-Part 7 -

조경시공·관리에 사용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의 전도 안정성 확보 대책 - EN131-Part 7 규정을 적용한 국내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를 대상으로 -

  • Lee, Kang-Hy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Gi-Yeo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강현 (전남대학교 조경학과 ) ;
  • 이기열 (전남대학교 조경학과 )
  • Received : 2024.04.12
  • Accepted : 2024.05.17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A significant cause of fall or overturning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cluding landscap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s work at heights using portable ladders. Portable ladders are classified as A-type or triangular support ladde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upporting leg and support conditions. The tripod mobile ladder, which supports itself with only three supporting legs, is unstable and more prone to overturning compared to the A type ladders. Therefore, us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tripod mobile ladder and the stability regulations of EN131-Part 7, overturning and resistance moment calculation formulas were derived for all directions in which overturning could occur. The moments calculated using these equations, and the overturning stability in each direction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most are unstable for overturning at 8 or more step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increase the moment of resistance by changing the weight, depth, and width, and using outriggers to ensure stability against the overturning of ladder. However, when changing the specifications of these measures, the size increases are excessive and the applicability i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outriggers are an applicable measure as they can ensure stability against overturning with only a minimum expansion length.

이동식 사다리를 이용한 고소작업은 조경을 포함한 건설업에서 떨어짐 또는 전도 사고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동식 사다리는 버팀대의 수와 지지 조건에 따라 A형과 삼각지지로 구분되며, A형과 비교하여 3개의 버팀대로만 바닥을 지지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는 상대적으로 전도에 대한 불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의 제원과 EN131-Part 7의 전도 안정성 평가 규정을 이용하여 전도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방향에 대해서 전도 및 저항모멘트 계산식을 유도하여 대상 사다리의 모멘트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방향별 전도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따르면 방향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8단 이상에서 전도에 대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가 전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사다리의 무게, 깊이 또는 폭과 같은 제원의 변경과 전도방지장치인 아웃트리거를 설치하여 저항모멘트를 확대할 수 있는 대책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들 대책 중 제원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증가되는 크기가 과도하여 적용성이 부족한 반면에 아웃트리거는 최소한의 펼침길이만으로도 전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적용이 가능한 현실적인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2018) 산업재해 현황분석. 
  2. 고용노동부(2019) 이동식 사다리 안전작업지침. 
  3. 김은일, 권윤구, 이기열(2023) 조경시공.관리에서 사다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전도 안정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51(5): 1-12. 
  4. 김대영, 윤성민, 김지명, 이선용, 손기영(2020) 해외 사례 비교를 통한 건설현장 추락재해 예방기법 개선방안, 한국건축시공학회지 20(5): 471-480. 
  5. 김형석, 이석원, 정원제, 류보혁(2009) 이동식 사다리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에서의 추락재해 예방대책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4(6): 136-143. 
  6. 송창섭, 권영희, 김동령, 강경식(2013) 건설현장 사다리에서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2013(1): 225-234. 
  7. 안전보건공단(2015) 인력운반작업에 관한 안전가이드. 
  8. 안전보건공단(2023) 통계로 보는 2022년 산업재해. 
  9. 윤간우, 신용석, 이경숙(2015) 농업인의 사다리 추락 손상 원인 분석,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015(11): 241-242. 
  10. 이강현(2024)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의 전도 안정성 평가 및 대책,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문호(2020) 이동식 사다리 및 말비계 재해 예방을 위한 현장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황종문, 신성우(2020) 이동식 사다리 추락 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과제, 한국안전학회지 35(35): 86-94. 
  13.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2012) American National Standard Safety Requirements for Mobile Ladder Stands and Mobile Ladder Stand Platforms (ANSI-ASC A14.7-2011). Chicago: American Ladder. 
  14. Comite European de Normalisation(2013) Ladders Part 7: Mobile Ladders with Platform.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15. http://www.seoulladder.co.kr 
  16. http://www.ladder-shop.com 
  17. http://www.sadarimart.com 
  18. http://www.ydladder.com 
  19. http://gmarket.co.kr 
  20. http://www.sumte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