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are unique in many ways. First, there are nearly a hundred of them. Second, there are multiples bearing the same inscriptions. Third, their production methods, including type of firing, are diverse. Fourth, the forms of the bricks are inconsistent. Fifth, the positioning of the sides with inscriptions or stamped designs and those with no designs (as well as the vertical orientation of the inscriptions) are inconsistent. Sixth, most bricks bear inscriptions written reverseds. Seventh, white lime has been painted on the surfaces of the inscribed bricks. Despite these aspects, however, a comparison with Chinese inscribed bricks from the Weijin Dynasties reveals that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are indeed connected to their counterparts and provide important materials for forging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East Asian culture. Moreover, the understanding of the inscriptions as not just a series of Chinese characters, but as textual objects with characters stamped on them, a focus on how the inscribed bricks were placed inside the tomb, and the observation of them from viewers' perspectives can help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장무이묘 명문전은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낯설다. 첫째, 명문전이 백여 점에 육박할 정도로 많다. 둘째, 똑같은 명문이 다수 확인된다. 셋째, 소성 방식 등 제작 방식이 다양하다. 넷째, 명문이 찍힌 전돌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다. 다섯째, 명문이나 문양이 찍힌 면과 아무 문양이 없는 면의 위치 및 명문의 상하 방향이 일정하지 않다. 여섯째, 명문의 대부분이 반서로 찍혀 있다. 일곱째, 명문전 표면에 흰색 석회가 칠해져 있다. 그러나 시야를 넓혀 중국 위진시기의 명문전과 비교하면 장무이묘의 명문전은 더 이상 낯선 물건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명문을 문자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문자가 전돌에 압인된 하나의 기물로 이해하여 그것이 무덤 속 어디에 어떻게 위치해 있었는지를 주목하고, 이를 관람자의 시선에서 바라보아야 장무이묘의 명문전이 갖는 의미가 명확하게 드러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