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w Perspectives on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A Comparison with Chinese Inscribed Bricks from the Weijin Dynasties

장무이묘 명문전 낯설게 바라보기: 중국 위진시기 명문전과의 비교를 통해

  • Kim Byung-joon (Department of Asian Histo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병준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동양사학과)
  • Received : 2024.03.20
  • Accepted : 2024.05.02
  • Published : 2024.06.20

Abstract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are unique in many ways. First, there are nearly a hundred of them. Second, there are multiples bearing the same inscriptions. Third, their production methods, including type of firing, are diverse. Fourth, the forms of the bricks are inconsistent. Fifth, the positioning of the sides with inscriptions or stamped designs and those with no designs (as well as the vertical orientation of the inscriptions) are inconsistent. Sixth, most bricks bear inscriptions written reverseds. Seventh, white lime has been painted on the surfaces of the inscribed bricks. Despite these aspects, however, a comparison with Chinese inscribed bricks from the Weijin Dynasties reveals that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are indeed connected to their counterparts and provide important materials for forging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East Asian culture. Moreover, the understanding of the inscriptions as not just a series of Chinese characters, but as textual objects with characters stamped on them, a focus on how the inscribed bricks were placed inside the tomb, and the observation of them from viewers' perspectives can help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scribed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장무이묘 명문전은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낯설다. 첫째, 명문전이 백여 점에 육박할 정도로 많다. 둘째, 똑같은 명문이 다수 확인된다. 셋째, 소성 방식 등 제작 방식이 다양하다. 넷째, 명문이 찍힌 전돌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다. 다섯째, 명문이나 문양이 찍힌 면과 아무 문양이 없는 면의 위치 및 명문의 상하 방향이 일정하지 않다. 여섯째, 명문의 대부분이 반서로 찍혀 있다. 일곱째, 명문전 표면에 흰색 석회가 칠해져 있다. 그러나 시야를 넓혀 중국 위진시기의 명문전과 비교하면 장무이묘의 명문전은 더 이상 낯선 물건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명문을 문자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문자가 전돌에 압인된 하나의 기물로 이해하여 그것이 무덤 속 어디에 어떻게 위치해 있었는지를 주목하고, 이를 관람자의 시선에서 바라보아야 장무이묘의 명문전이 갖는 의미가 명확하게 드러나게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준, 2021, 「경계를 넘어서 -동아시아 시각에서 본 고구려 벽화-」, 「인문논총」(서울대 아시아연구소) 11-1
  2. 안정준, 2024, 「장무이묘(張撫夷墓) 출토 명문전(銘文塼)의 내용과 작성 의도」, 「박물관과 연구」 1
  3. 우홍(김병준 역), 2001, 「순간과 영원: 중국고대의 미술과 건축」, 서울: 아카넷
  4. 윤용혁, 2008, 「공주 송산리 6호분의 사신도 벽화에 대하여」, 「한국사학보」 33
  5. 이나경, 2024, 「장무이묘 출토 문자전의 고고학적 검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박물관과 연구」 1
  6. 이병호, 2021, 「공주 송산리 고분군 출토 명문전의 재검토」, 「한국고대사연구」 104
  7. 정인성, 2010, 「대방태수 張撫夷墓의 재검토」, 「한국상고사학보」 69
  8. 정재훈, 1987, 「공주 송산리 제6호분에 대하여」 「문화재」 20
  9. 조윤재, 2008 「공주 송산리6호분 명문전 판독에 대한 管見」 「호서고고학보」 19
  10. 한경순, 2011, 「공주 송산리 6호분 벽화의 제작기술 고찰」, 「보존과학회지」 27-4
  11. 江蘇省文物管理委員會, 1966, 「南京象坊村發見東晉墓和唐墓」, 「考古」 1966-5
  12. 古運泉, 1990, 「廣東新興縣南朝墓」, 「文物」 1990-8
  13. 廣州市文物管理委員會, 1955, 「廣州市西北郊晉墓清理簡報」, 「考古通訊」 1955-5
  14. 廣州市文物管理委員會, 1961, 「廣州沙河鎮獅子崗晉墓」, 「考古」 1961-5
  15. 廣東省博物館, 1961, 「廣東韶關市郊古墓發掘報告」, 「考古」 1961-8
  16. 南京博物院, 1962, 「江蘇溧陽孫吳鳳凰元年墓」, 「考古」 1962-8
  17. 南京博物院, 1973, 「江蘇溧陽果園東晉墓」, 「考古」 1973-4
  18. 南京市博物館, 1987, 「南京獅子山, 江寧索墅西晉墓」, 「考古」 1987-7
  19. 南京市博物館, 1992, 「江蘇南京鄧府山吳墓和柳塘村西晉墓」, 「考古」 1992-8
  20. 南京市博物館, 1993, 「南京西善桥南朝墓」, 「文物」 1993-11
  21. 南京市博物館, 2001, 「江蘇南京仙鶴觀東晉墓」, 「文物」 2001-3
  22. 南京市博物館.南京市江寧區博物館, 2013, 「南京將軍山西晉墓發掘簡報」, 南京市博物館 編, 「南京考古資料彙編(貳)」, 鳳凰出版社
  23. 南京市博物館.南京師範大學文物與博物館學系, 2013, 「南京仙鹤山孙吴.西晋墓」, 南京市博物館 編, 「南京考古資料彙編(貳)」, 南京:鳳凰出版社
  24. 南京市文物保管委員會, 1965, 「南京板橋鎭石閘湖晉墓淸理簡報」, 「文物」 1965-6
  25. 南京市江寧區博物館, 2009, 「南京江寧孫吳"天冊元年"墓發掘簡報」, 「東南文化」 2009-3
  26. 南京市考古硏究所, 2015, 「南京板橋新凹子兩座西晉紀年墓」, 「中國國家博物館館刊」 12
  27. 羅宗真, 2004, 「六朝考古」, 南京:南京大學出版社
  28. 麥英豪.黎金, 1955, 「廣州西郊晉墓清理報導」, 「文物參考資料」 1955-3
  29. 房縣博物館, 1992, 「房縣郭家莊南齊紀年墓發掘簡報」, 「江漢考古」 1992-03
  30. 福建博物院.將樂縣博物館, 2014, 「將樂縣大布山南朝唐宋墓群清理簡報」, 「福建文博」 2014-1
  31. 徐蟬菲, 2002, 「洛陽北魏元懌墓壁畵」, 「文物」 2002-2
  32. 安徽省文物考古硏究所.馬安山市文化局, 1986, 「安徽馬鞍山東吳朱然墓發掘簡報」, 「文物」 1986-3
  33. 楊頻, 2013, 「反書傳統, 反左書與"透明之石"的過度解釋」, 「南京藝術學院學報」 2013-5
  34. 陸錫興, 2004, 「反左書鉤沉」, 「書法叢刊」 2004-4
  35. 楊豪, 1981, 「廣東韶關市郊的晉墓」, 「考古學集刊」 1981-1
  36. 楊泓, 2000, 「東晋.南朝拼攘磚畫的源流及演演變」, 「漢唐美術考古和佛敎」, 北京:科學出版社
  37. 李梅田.李雪, 2017, 「六朝墓葬反書磚銘芻議」, 「古代墓葬美术研究」 4
  38. 李艶天.劉平生, 2002, 「安徽南陵長山西晉紀年墓發掘報告」, 「東南文化」 2002-5
  39. 浙江省文物考古硏究所 編, 2019, 「浙江紀年墓與紀年瓷:紹興卷」, 文物出版社
  40. 浙江省文物考古硏究所, 2012, 「浙江漢六朝墓報告集」, 北京:科學出版社
  41. 浙江省文物考古硏究所編, 2012, 「臨安市 牛上頭 謝氏家族墓地 發掘報告」, 「浙江漢六朝墓報告集」, 北京:科學出版社
  42. 鄭岩, 2002, 「魏晋南北朝壁畫墓研究」, 北京:文物出版社
  43. 鄭岩, 2013, 「逝者的面具:汉唐墓葬艺术研究」, 北京:北京大學出版社
  44. 鎭江博物館, 2013, 「江蘇東吳西晉墓」, 「南京考古資料彙編(貳)」, 南京:鳳凰出版社
  45. 鎭江博物館.句容市博物館, 2010, 「江蘇句容春城南朝宋元嘉十六年墓」, 「東南文化」 2010-3
  46. 淸江縣博物館, 1987, 「江西淸江經樓南朝紀年墓」, 「考古」 1987-4
  47. 湖北省博物館, 1965, 「武漢地區四座南朝紀年墓」, 「考古」 1965-4
  48. 輕部慈恩, 1971, 「百濟遺跡の硏究」, 東京: 吉川弘文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