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Origin of Stone Pagoda Construction Techniques at Stone Brick Pagoda of Bunhwangsa Temple in Gyeongju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축조기법 기원에 관한 연구

  • 김인수 (전남대학교 문화재학협동과정 )
  • Received : 2024.03.21
  • Accepted : 2024.06.24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constructed in 634, is Korea's oldest stone pagoda. As a prototype of the Silla Stone Pagoda, the pagoda was constructed using flagstones. Since it was constructed with flagstones, it has been known to be a pagoda that replicates the brick pagoda until now. The latest research suggests that it copies the India Stupa or the Stacked Stone Pagoda more than the Brick Pagoda. However, the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onstruction technique and shape compared to Brick Pagodas, India Stupas, and Stacked Stone Pagodas. Therefor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stone building technique used in Silla.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the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is a stone pagoda that creatively reflects the existing Silla stone building techniques such as stone fortresses and stone chamber tombs.

Keywords

References

  1. 金富軾, 「三國史記」 
  2. 一然, 「三國遺事」 
  3. 강우방.신용철, 「탑」, 서울, 솔, 2013 
  4. 강원고고문화연구원, 「寧越 正陽山城 II 사적 제446호 영월 정양산성 4~6차 발굴조사 보고서」, 강원고고문화연구원.영월군, 2017 
  5. 강원고고문화연구원, 「寧越 正陽山城 IV 사적 제446호 영월 정양산성 9~10차 발굴조사 보고서」, 강원고고문화연구원.영월군, 2018 
  6. 고유섭, 우현 고유섭 전집발간위원회 편, 「朝鮮塔婆의 硏究. 上, 總論篇」, 파주, 열화당, 2010 
  7. 곽이라 외 19명, 「석조문화재 수리기술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2019 
  8. 關野貞, 「朝鮮の建築と藝術」, 東京, 岩波書店, 1941 
  9. 국립문화재연구소.전라북도,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 장엄」,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10. 김상구, 「7~9세기 전탑분석을 통한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 조영특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1. 김정기.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청산 김정기 저작집 2 고건축편, 석탑과 목조건축」, 경주, 학연문화사, 2017 
  12. 김준식.이진혁. 「순흥지역 횡구식석실과 그 축조 집단의 성격」, 「야외고고학」, 제19호, 한국문화유산협회, 2014 
  13. 김준영, 「분황사 석탑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4. 김진형, 「寧越 正陽山城의 발굴조사 성과와 과제」, 「 先史와 古代」, Vol.65, 한국고대학회, 2021 
  15. 김춘호, 「일본 내량시대(內良時代)에 있어서 불탑의 전개」, 「한국종교사연구」, 제13권, 한국종교사학회, 2005 
  16. 남시진, 「新羅石塔의 始源考察」, 「문화재」, Vol.42 No.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17. 대구대학교, 「順興邑內里壁畵古墳 發掘調査報告書」, 大邱大學校博物館, 1995 
  18. 문화재관리국, 「芬皇寺石塔 實測調査報告書」, 문화재관리국, 1992 
  19. 박경식, 「新羅 始原期 石塔에 대한 考察」, 「文化史學 」, 제19호, 한국문화사학회, 2003 
  20. 박경식, 「분황사 모전석탑의 양식 기원에 대한 고찰」, 「新羅文化」, 제41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3 
  21. 박경식, 「한국 석탑의 양식 기원」, 서울, 학연문화사, 2016 
  22. 박성형, 「벽전(우리벽돌건축의 조형원리)」, 서울, 시공문화사, 2010 
  23. 박홍국, 「한국의 전탑연구」, 서울, 학연문화사, 1998 
  24. 백찬규, 「鳳甘模塼 五層石塔의 修理復元記」, 「문화재」 Vol.23, 국립문화재연구소, 1990 
  25. 사단법인 대한건축학회, 「동양건축사도집」, 서울, 기문당, 1995 
  26. 양병모, 「단양 온달산성의 축조시기와 운영주체에 대한 재고찰」, 「한국고대사탐구」, Vol.29,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8. 
  27. 이서현, 「통일신라 석조미술사」, 고양, 역사산책, 2022 
  28. 이현국, 「중국고탑의 조형과 예술」, 안산, 황매희, 2014 
  29. 이희봉, 「신라 분황사 탑의 '模塼石塔說'에 대한 문제 제기와 고찰」, 「건축역사연구」, 제20권 제2호, 2011 
  30. 임세권, 「문경 소야리 미면사지의 계단식 적석탑과 출토유물」, 「安東史學」, 제6집, 안동사학회, 2001 
  31. 장충식, 「新羅石塔硏究」, 2판, 서울, 일지사, 1991 
  32. 전호태, 「영주 순흥 신라 벽화고분의 가치와 의의」, 「한국문화연구」, Vol.41,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1 
  33. 차용걸, 「報恩 三年山城-2003年度 發掘調査 報告書」,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보은군, 2005 
  34. 차용걸, 「보은 삼년산성-발굴정비 기초설계 보고서」, 中原文化財硏究院, 2006 
  35. 차용걸, 「한국 축성사 연구 고대산성의 성립과 발전」, 과천, 진인진, 2016 
  36. 천득염.김준오, 「龍門石窟의 塔形浮彫 硏究」, 「건축역사연구」, 제20권 제1호, 2011 
  37. 천득염, 「인도 불탑의 의미와 형식」, 광주, 심미안, 2013 
  38.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재연구소, 「三年山城 -기본 자료 및 종합 보존.정비계획 안」,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보은군, 2001 
  39. 한욱.김지현, 「韓國 甎塔과 模甎石塔의 關係性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Vol.35 No.7, 대한건축학회, 2019. 7. 
  40. 황수영, 「黃壽永全集3, 한국의 불교 공예.탑파」, 서울, 혜안, 1998 
  41.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 
  42. 국가유산청, https://www.khs.go.kr/ 
  43.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https://kabc.dongguk.edu/ 
  44. 동국대 불교학술원, 「한글대장경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 
  45. 문화재청,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에서 새로운 명문 벽돌 출토」,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2. 1. 27.,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3214§ionId=b_sec_1&pageIndex=1&strWhere=&strValue=&mn=NS_01_02 
  46.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 
  47. 维基百科, https://zh.wikipedia.org/ 
  48. e뮤지엄, https://www.emuseum.go.kr/ 
  49. 中時新聞網, https://www.china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