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온라인 학술정보 서비스 상 원저작자 식별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for Identification of Original Authors in Onlin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 염정완 (숭실대학교 IT정책경영학과) ;
  • 홍성화 (숭실대학교 IT정책경영학과) ;
  • 주상현 (숭실대학교 IT정책경영학과) ;
  • 전삼현 (숭실대학교 IT정책경영학과)
  • Jung-Wan Yeom ;
  • Song-Hwa Hong ;
  • Sang-Hyun Joo ;
  • Sam-Hyun Chun (Graduate School of IT Policy and Management, Soongsil University)
  • 투고 : 2024.04.13
  • 심사 : 2024.06.07
  • 발행 : 2024.06.30

초록

현대 학술 연구 환경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연구자들에게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 접근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와 동시에 저자 식별 문제가 새로운 도전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저자 식별 문제는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연구 성과의 정확한 귀속과 연구 네트워크의 구축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표준이름식별자(ISNI)와 연구자고유식별번호(ORCID)와 같은 식별자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나, 저자들의 저조한 참여와 정보의 부정확한 입력 등으로 인해 여전히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저자 정보가 최초로 시스템에 입력되는 순간부터 식별을 위한 정보 관리 방법을 중점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저자 식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학술 정보 서비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학술 커뮤니티 내에서 저자 식별 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관련 기관과 연구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In the modern academic research environment,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provides researchers with increasingly diverse and rich access to inform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 issue of author identification has emerged as a new challenge. The problem of author identification is a major factor that undermines the transparency and accuracy of academic communication, potentially causing confusion in the accurate attribution of research results and the construction of research networks. In response, identifier systems such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Name Identifier (ISNI) and Open Researcher and Contributor ID (ORCID) have been introduced, but still face limitations due to low participation by authors and inaccurate entry of information. This study focuses on research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s for identification from the moment author information is first entered into the system, proposing ways to improve the accuracy of author identification and maximize the efficiency of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this, it aims to renew awareness of the issue of author identification within the academic community and present concrete measures that related institutions and researchers can take to solve this problem.

키워드

Ⅰ. 서론

현대의 학술 연구 환경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연구자들에게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 접근성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학술정보 서비스의 확장은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학술 자료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이는 학술 연구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1].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의 확대와 함께 저자 식별 문제가 새로운 도전 과제로 부상하고 있은데, 저자 식별 문제는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연구자의 식별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연구 성과의 정확한 귀속, 연구성과의 추적 및 평가, 그리고 연구 네트워크의 구축에 있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2].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학술 기관과 연구 커뮤니티는 저자 식별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고, 국제표준이름식별자(ISNI)와 연구자고유 식별번호(ORCID)와 같은 식별자 시스템의 도입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평가받고 있다[3]. 이러한 식별자 시스템은 각 연구자에게 고유한 식별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동명이인 문제를 해결하고, 연구자의 학술 활동을 명확하게 추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접근 방식과 기술적 해결책은 여전히 한계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고유 식별번호 시스템의 적용과 관리에 있어 저자들의 저조한 참여, 정보의 부정확한 입력, 그리고 관리 기관의 부재 등 다양한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1][4]. 이러한 문제들은 저자 식별 시스템의 효과를 저해하며, 학술 정보의 정확한 관리와 활용에 장애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재의 저자 식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모색한다. 특히, 저자 정보가 최초로 시스템에 입력되는 순간부터 식별을 위한 정보 관리 방법을 중점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저자 식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학술 정보 서비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학술 커뮤니티 내에서 저자 식별 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관련 기관과 연구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저자는 연구 결과물을 학회에 투고하며, 이 과정을 통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다양한 웹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게 된다[5].

그림 1. 저자, 학회, 원문DB업체, 도서관의 저작권 관계

Fig. 1. Copyright Relationships among Authors, Academic Societies, Electronic Journal Database Providers, and Libraries

출처 : 우지숙 et al., 2011

이러한 과정에서 저작권의 이동과 학술정보의 디지털화가 이루어지며, 학회와 원문DB업체 간의 저작권 관계가 형성된다. 원문DB업체는 학회로부터 학술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제공하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수익의 일부를 학회에 지급한다[6]. 또한, 학회는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관리 시스템의 운영을 통해 학술지 평가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학술지의 지원 및 평가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7].

온라인 학술정보 서비스의 문제점 중 하나로 저자 식별의 어려움이 존재하는데, 연구자의 식별은 데이터베이스의 완결성을 추구하고,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8][9]. 학술자료의 이용량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는 정확한 저자 식별 없이는 연구자 네트워크 서비스, 연구자 커뮤니티 서비스 등의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10]. 이에 따라, 저자 식별을 위한 식별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저자 식별의 의의는 학술자료 관련 기관이 저자와 학술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저자를 명확히 식별함으로써 각 저자의 연구성과 목록과 인용 지수 등을 파악할 수 있다[11]. 또한, 저자 식별은 특정 학술 분야 성과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출판 프로세스 및 논문심사에서 연구자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요하다[12].

저자 식별의 복잡성과 어려움은 다양한 이유로 인해 발생한다. 동명이인 현상, 저자명의 이형표현, 법률적 이유나 결혼 등으로 인한 이름 변경 등이 저자 식별을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표준이름 식별자(ISNI)나 ORCID와 같은 고유한 식별자를 부여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11].

저자 식별의 국내 현황 및 문제점으로는 해외 학술지 투고 시 저자의 성과 이름의 약자로만 표기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식별이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었다[13]. 이에대한 해결하기 위하여 저자 식별을 위한 고유식별번호의 발급과 저자 스스로 업적관리를 위한 데이터 입력 인식의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술정보 서비스 내 저자 식별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다양한 접근 방식에 대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석형과 곽승진(2010)은 논문의 메타데이터 입력 단계부터 서비스 및 색인 과정에 이르기까지 활용될 수 있는 반자동화 전거데이터 구축 시스템의 개발에 주목하였다. 이는 저자 식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접근의 예로 볼 수 있다[14]. 또한, 이미화(2014)는 국내 상황에 적합한 국제표준이름식별자 체계인 KISNI의 구축을 통해, 서지 및 전거 레코드에 국제표준이름식별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MARC)의 확장 필요성을 강조하였다[15].

조재인(2013)은 국내 학술 논문에 ORCID를 적용하고, ORCID Identity system의 파트너 시스템으로 활동하여 해외 학술 논문에 기재된 국내 논문의 저자 식별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국제적인 저자 식별체계의 도입이 국내 학술 커뮤니티에 미칠 긍정적 영향을 시사한다[12].

공저자 관계를 활용한 저자 식별 방법도 주목할 만하다. 이승우 등(2006)은 공저자 정보의 활용이 학술 논문에서 동명이인 저자 식별에 유용함을 증명하였다. 이는 저자 식별 과정에서 공저자 정보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6].

머신러닝을 활용한 저자명 식별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신다예와 양기덕(2017)은 다양한 자질을 혼합하여 저자명 식별 성능을 높이거나 자질별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이는 기술의 발전이 저자 식별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론적 다양성을 제시한다[11].

김윤호와 조성환(2014)은 식별자와 메타데이터의 연계 방식에 대하여, 두 식별 체계가 서로 독립적인 위치에서 메타데이터와 식별자를 상호 교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각 식별 체계의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17].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저자 식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식과 기술적, 방법론적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대부분 기존에 구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식별 방법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새롭게 입력될 저자 정보의 정확성 향상에 대한 구체적 방안은 상대적으로 덜 탐구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저자 정보가 최초로 시스템에 입력되는 순간부터 식별을 위한 정보 관리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온라인 학술정보 서비스에서 저자 식별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III. 연구설계

1. 연구업적관리시스템의 저자 식별 현황

국내외에서 저자 식별을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영 중이다. 국내에서는 누리미디어의 DBpia, 국가과학기술지식 정보서비스(NTIS), 한국연구재단의 KRI 및 KCI시스템 등이 대표적이며, 이들 시스템은 연구자의 식별과 연구업적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12]. 해외에서는 Elsevier의 Scopus Author ID, ORCID, ISNI 등이 연구자 식별 체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8]. 이러한 시스템들은 연구자의 식별뿐만 아니라, 연구업적의 효율적 관리와 연구성과의 가시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가. 국내 저자 식별 방식의 특징

국내 저자 식별 시스템은 주로 학술지 출판과 연구과제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KRI 시스템은 국가 차원에서 연구업적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며, 연구자의 연구업적을 활용 및 공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연구자정보(KRI) 시스템은 2023년 7월 기준으로 약 75만명의 연구자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연구업적 정보의 자동 검증 시스템을 통해 연구업적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19].

그림 2. 한국연구자정보 연간 연구자수 증가 추이

Fig. 2. Annual Increase Trend of Researchers in Korea Researcher Information

나. 해외 저자 식별 방식의 특징

해외 저자 식별 시스템, 특히 ORCID는 전 세계적으로 연구자 식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ORCID는 연구자에게 고유한 식별자를 제공함으로써 연구업적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자 간의 협력을 촉진한다. ORCID의 도입은 연구자의 식별 문제를 해결하고, 연구업적의 국제적인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20].

2. 저자의 자기 식별 관리인식 조사

저자 식별 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연구자들의 인식과 참여가 필수적이다. 본 조사는 연구자들이 자기 식별과 연구업적 관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IV. 연구결과 및 분석

연구업적관리시스템의 저자 식별 방식과 개선 방안에 대해 분석한 결과, 동명이인 문제 해결을 위해 ORCID와 같은 식별체계 활용이 강조되었으며, 이는 연구자들이 자신의 학문적 업적을 명확하고 영구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국연구재단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ORCID 가입을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외 연구자 식별 및 연구업적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그림 3. CrossRef를 통한 ORCID 자동 업데이트

Fig. 3. Automatic ORCID Update via CrossRef

출처 : 김은정 & 노경란, 2017

연구업적관리시스템의 현황 분석 결과, ORCID와 같은 식별자 시스템의 도입이 연구자 식별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연구업적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CrossRef와의 연계를 통한 ORCID의 자동 업데이트 기능은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업적을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하며, 연구 성과의 국제적 가시성을 향상시킨다[20].

저자의 자기 식별 관리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총 98명의 연구자가 참여하였고, 대다수의 연구자가 저자 식별 시스템의 존재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자신의 연구업적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에는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저자 식별 시스템의 개선과 연구자들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표 1. 논문 저자를 대상 저자식별 인지 설문 결과

Table 1. Survey Results on Author Identification Awareness Among Paper Authors

그림 4. 저자 식별 시스템을 알고 있음에도 업적 정보를 관리하지 않는 이유

Fig. 4. Reasons for Not Managing Achievement Information Despite Being Aware of the Author Identification System

본 연구는 KRI 시스템의 가입자 수 증가, 그림 3에서 제시된 식별 체계의 효율적 관리 방안, 그리고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시스템을 활용한 저자 식별 정확성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의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및 시스템 간 상호 연계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한국연구재단의 한국연구자정보(KRIID) 및 국제적 식별자들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와 함께 연구자 식별 번호의 필수 입력을 포함한 학술지 평가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이는 저자 식별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5.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을 통한 KRIID 자동 업데이트 제안모형

Fig. 5. Proposed Model for Automatic KRIID Update through Korea Citation Index

V. 결론

본 연구는 온라인 학술정보 서비스에서 저자 식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저자 식별의 개선은 단일 기관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며, 저자, 학회, 민간DB 업체, 국가연구성과업적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주체의 유기적 협력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모형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을 통한 KRIID 자동 업데이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안은 저자의 적극적인 식별 시스템 가입과 업적 등록, 학회의 식별정보ID 입력 기능 제공, 원문 DB업체의 식별정보ID 기반 서비스 제공, 그리고 국가기관의 중앙 레지스트리 시스템 제공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제언이 실현될 경우, 저자 정보의 정확성 향상, 연구 시간 및 비용 절감, 학술 정보 서비스의 효율성 증가, 연구자의 작업 부담 감소 등의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본 연구는 저자 식별에 대한 인식 조사의 대표성, 제안된 중앙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실행 가능성, 학회와 민간 서비스 제공자의 제안 수용 의도 등 몇 가지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학술 커뮤니티 내 저자 식별 문제 해결을 위한 포괄적이고 협력적인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참고문헌

  1. L. L. Haak, M. Fenner, L. Paglione, E. Pentz, & H. Ratner, "ORCID: a system to uniquely identify researchers", Learned Publishing, Vol. 25, No. 4, pp. 259-264, 2012.
  2. A. Meadows, "Everything you ever wanted know about ORCID:... but were afraid to ask",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Vol. 77, No. 1, pp. 23-30, 2016. 
  3. A. MacEwan, A. Angjeli, & J. Gatenby, "The International Standard Name Identifier (ISNI): The evolving future of name authority control",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Vol. 51, Nos. 1-3, pp. 55-71,
  4. Sang-Hee Oh, Seung-Jin Kwak, Seung-Min Lee, & Jin-Ho Park,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SNI for the Personnel Information Management: Having Focused Group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the ISNI-Korea Consortium manage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50, No. 2, pp. 121-147, 2019. DOI: https://doi.org/10.16981/kliss.50.2.201906.121 
  5. Ji-Sook Woo, Hye-Sun Kim, Seok-Jong Lim, Ki-Joong Kim, Bo-Ra-Mi Kim, Hyun-Ki Shin, Jung-Min Choi, Jong-Soo Yoon, Gwang-Pyo Bae, So-Young Jung, Hyun-Kyu Choi, & Hee-Yoon Choi, "Study on the Public Access Policy of Public Research Outputs", Seoul: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11. 
  6. Yoon-Hyung Choi, "A Study on Copyright Possession Plan of Journal Articles in Kore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3, Daejeon, Korea. 
  7. Korean Citation Index, "Call for proposals for the 2023 academic journal support project", Retrieved November 10, 2023, from https://www.kci.go.kr/kciportal/ss-mng/bbs/bbsNoticeView.kci?boardBean.boarSequ=000000000601&boardBean.bullScriSequ=000000035274, 2023. 
  8. Soo-Sang Lee, "Analyt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ies of Research Networks and Research Performanc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44, No. 3, pp. 405-428, 2013. DOI: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405 
  9. Byung-Hak Leem, "An Effect of Co-authorship Network on Research Performance: Focusing on Co-authoring of Logos Management Review", Logos Management Review, Vol. 10, No. 1, pp. 1-20, 2012.
  10. Jang-Won Gim, Myung-Gwon Hwang, Sa-Kwang Song, Jin-Hyung Kim, Do-Heon Jeong, & Han-Min Jung, "Researcher History Tracking Service for Prescriptive Analytics based on Researcher Activities", Journal of KIISE: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Vol. 20, No. 6, pp. 359-363, 2014.
  11. Da-Ye Shin, & Ki-Duk Yang, "A Method for Same Author Name Disambiguation in Domestic Academic Paper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 28, No. 4, pp. 301-319, 2017. DOI: https://doi.org/10.14699/KBIBLIA.2017.28.4.301 
  12. Jane Cho,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Author Identification System of Research Outcome based on ORCID",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 24, No. 1, pp. 45-62, 2013. DOI: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1.045 
  13. Hyun-Jung Kim, "Review of Author Name Disambiguation Techniques for Cit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 23, No. 3, pp. 5-17, 2012. DOI: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3.005 
  14. Seok-Hyoung Lee, & Seung-Jin Kwak, "A Study on the Construction for Name Authority Data of the Korean Academic Paper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 21, No. 1, pp. 105-118, 2010. DOI: https://doi.org/10.14699/KBIBLIA.2010.21.1.105 
  15. Mi-Hwa Lee,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ISNI for Authority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 31, No. 3, pp. 133-151, 2014. DOI: https://doi.org/10.3743/KOSIM.2014.31.3.133 
  16. Seung-Woo Lee, Han-Min Jung, Pyung Kim, In-Su Kang, & Won-Kyung Sung, "A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Co-authorship for Identity Resolution in Bibliography",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 2006. 
  17. Yoon-Ho Kim, & Seong-Hwan Cho, "A Study on the Linkage and integration of UCI (Universal Content Identifier) between ICN (Integrated Copyright Number)",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4, No. 5, pp. 27-33, 2014.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4.14.5.27 
  18. So-Hyun Yoon, "A Study on Author Identifier by Comparing ISNI and ORCID", Proceedings of the 26th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p. 87-92, 2019. 
  19. Korean Research Information, "Home page", Retrieved July 2023, from https://www.kri.go.kr, 2023. 
  20. Eun-Jeong Kim, & Kyung-Ran Noh, "A Study on Utilization of ORCID based Author Identifier at National Level",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 28, No. 3, pp. 151-174, 2017. DOI: https://doi.org/10.14699/KBIBLIA.2017.28.3.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