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orkflow Procedures and Applications in BIM-based Design for Safety (DfS)

BIM 기반 설계안전성검토의 업무 절차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황재웅 (현대건설 토목사업본부) ;
  • 윤희택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첨단궤도토목본부) ;
  • 배준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시험인증센터) ;
  • 박영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첨단궤도토목본부)
  • Received : 2024.01.26
  • Accepted : 2024.03.22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A conventional Design for Safety (DfS), introduced to eliminate potential hazards in the design phase proactively, has encountered persistent challenges, such as perfunctory risk assessments and hazard identifications based on 2D drawings and inefficient workflow processes. This study proposes a BIM-based approach to Design for Safety (DfS)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methods, aiming to enhance efficiency and achieve practical safety management benefits. The proposed workflow process for BIM-based DfS has been refined and validated for on-site applicability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including risk assessments during the design phase and field applications for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Specifically, the critical process of risk assessment within the DfS methodology has also been transitioned to a BIM-based approach. This BIM-based risk assessment process has been evaluated through case studies, encompassing safety reviews for structural design,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and construction methodology with sequence in design projects. Additionally, the proposed BIM-based DfS has demonstrated exceptional on-site applicability and efficiency, as validated by the application of a BIM deliverable embedded in DfS information for CDE-based daily activity briefing, VR-based safety training, AR-based mitigation measures inspections, and other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construction phase.

설계안전성검토(DfS)는 설계상의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선제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위험성 평가 및 위험요소 발굴이 2D 설계도를 기반으로 수행되어 피상적이고, 업무 절차가 비효율적이라는 한계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설계안전성검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을 활용하여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고 실질적인 안전관리 효과를 얻을 수 있는 BIM 기반 설계안전성검토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안된 BIM 기반 설계안전성검토의 업무 절차는 설계 단계에서의 위험성 평가와 시공 단계에서의 안전관리 활동과 같은 사례 연구를 통해 실무 적용성을 보완하고 검증하였다. 특히, 설계안전성검토 업무 절차의 핵심 과정인 위험성 평가 프로세스를 BIM 기반으로 전환하여 제시하였으며, 구조물 설계를 비롯하여 건설장비 운영이나 공법 및 공정 순서에 대한 설계안전성검토에 BIM 기반 위험성 평가 프로세스를 적용한 사례 분석을 통해 설계 실무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Common Data Environment (CDE) 기반의 일일 안전 브리핑을 비롯하여 가상현실(VR) 기반 안전교육, 증강현실(AR) 기반의 위험요소 저감대책 점검과 같은 현장의 안전 관리 활동에 BIM 기반 설계안전성 검토 기법을 적용하여 현장 적용성과 업무 효율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서 시행한 2024년도 철도인프라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BIM 기반 통합플랫폼 개발사업(22RBIM-C158185-03)의 연구비 지원에 의한 결과임.

References

  1. 강인석.문진석.권중희(2007), "토목공사 개념설계단계의 가상현실(VR) 기능 구축방안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7(6D): 759~765.
  2. 국토교통부(2017), 「설계 안전성 검토 업무 매뉴얼」, 세종.
  3. 고용노동부(2023), 「2022년 산업재해현황분석」, 세종.
  4. 권오철.조주원.조찬원(2013), "설계단계에서의 BIM 안전설계 품질검토", 「한국CAD/CAM학회논문집」, 18(5): 348~358.
  5. 김현승.강인석(2020), "도면증강 객체기반의 건설공사 사전 시공검증시스템 개발 연구", 「LHI Journal」, 11(3): 93~101.
  6. 신민호.안기성.정지현.박사랑(2023), "철도 인프라 BIM과 CDE기반 안전 리스크 관리 방안",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26(1): 23~32
  7. 이동건.김진원.손정락(2019), "모듈러주택 품질관리를 위한 BIM 적용 방안", 「LHI Journal」, 10(2): 59~67.
  8. 이치주(2020), 「건설산업재해 감소를 위한 설계안전성검토(DfS)와 건설정보모델링(BIM)의 적용방안」, 세종: 국토연구원.
  9. 이치주.함성일(2020), "떨어짐 사고 예방을 위한 DfS와 BIM 기반의 안전난간 설계가이드 시스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6(10): 235~241. https://doi.org/10.5659/JAIK.2020.36.10.235
  10. 한국시설안전공단(2017), 「설계안전성검토(Design for Safety) 적용 매뉴얼 개선방안 연구」, 진주.
  11. Hyundai E&C (2021), "Design for Safety Report: Detailed Design for the Contract 6 of the Wolgot~Pangyo Double-Track Railway Project", Kyunggi. (in Korean)
  12. Hyundai E&C (2022), "Best Practices of BIM Implementation for Infrastructure Projects", Seoul. (in Korean)
  13. Kim, I., Y. Lee and J. Choi (2020), "BIM-based Hazard Recognition and Evaluation Methodology for Automating Construction Site Risk Assessment", Applied Sciences, 10: 2335.
  14. Mzyece, D., I. E. Ndekugri and N. A. Ankrah (2019),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and the CDM Regulations Interoperability Framework",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Management, 26(11): 2682~2704. https://doi.org/10.1108/ECAM-10-2018-0429
  15. Park, C. S. and H. J. Kim (2012), "A Framework fo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nd Visualization System", Automation in Construction, 33: 95~103. https://doi.org/10.1016/j.autcon.2012.09.012
  16. Zhang, S., K. Sulankivi, M. Kiviniemi, I. Romo, C. M. Eastman and J. Teizer (2015), "BIM-based Fall Hazard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in Construction Safety Planning", Safety Science, 72: 31~45. https://doi.org/10.1016/j.ssci.2014.08.001
  17. Zou, Y., A. Kiviniemi and S. Jones (2015), "BIM-based Risk Managemen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Proceedings of the 32nd CIB W78 Conference, Eindhoven, The Nether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