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속철도가 지역 인구 이동에 미치는 영향 -지방소멸 위험과 인구 구조를 중심으로-

Effects of High-Speed Train on Regional Population In-Migration - Focusing on Shrinking City and Demographic Structure -

  • 김은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대학원 융합전공 스마트시티 글로벌 융합) ;
  • 윤희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Eunji Kim ;
  • Heeyeun Yoon
  • 투고 : 2023.12.29
  • 심사 : 2024.04.02
  • 발행 : 2024.06.30

초록

전 세계적으로 지방소멸 시대에 직면한 여러 국가에서는 지역 접근성 향상과 인구집중 현상 해소를 위해 고속철도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지방소멸 위험 수준을 고려하여, 고속철도의 운영이 한국 지자체의 연령대별 인구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종속변수로 연령대별 순유입 인구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모형으로 패널 공간자기회귀모형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고속철도가 지역 인구 유입에 미치는 영향은 지방소멸 위험 수준에 따라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속철도의 운행은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에는 인구 유입의 효과를 가져왔지만 그 외 지역에서는 인구 유출을 설명했다. 고속철도는 특히 생산 가능 인구를 대표하는 청장년층 인구 유입에 높은 영향을 미쳤지만, 이러한 효과 또한 소멸 위험이 적은 지역에 한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 균형발전과 지방소멸 해소를 위한 고속철도 설치 시 계획인구와 산업의 도입 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지역별 소멸 위험 수준에 따라 인구 구조와 유입에 긍정적 영향을 발생시키는 요인을 탐색하는 후속 연구와 각 지자체의 상황에 맞는 새로운 정책 도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Around the world, many countries experiencing the issue of shrinking cities are continually expanding high-speed rail networks to enhance regional accessibility and address imbalanc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high-speed train operations on the age-specific population migration in South Korean municipalities from 2012 to 2019, taking into account the risk levels of shrinking cities. For this purpose,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ge-specific net in-migration popula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employing the spatial panel autoregressive model.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high-speed rail on regional population inflow varies depending on the risk level of shrinking city. In other words, high-speed railway opera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population inflow in the capital areas and some major cities, while explained population outflow in the other regions. High-speed railways particularly exerte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flow of the young and middle-aged population, representing the working age, but this effect was also limited to regions with a low risk of shrink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planned population and industrial attraction when installing high-speed rail with the goal of achieving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and mitigating shrin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e need for subsequent research to explore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 population structure and inflow based on the level of shrinkage risk in each region,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new policies tailored to the specific situations of each local government.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3년 한국지역학회 후기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 이 성과는 정부(환경부)의 재원으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지식기반 환경서비스 특성화대학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3A2A01087370)

참고문헌

  1. 마스다 히로야, 2015, 「지방소멸」, 김정환(역), 서울: 와이즈베리.
  2. 마스다 외, 2014, 「성장을 이어가는 21 세기를 위하여: 저출산 극복을 위한 지방활성화 전략」(成長を続 ける 21世紀 のために: ストップ 少子化.地方元気戦 略), 일본창성회의(日本創成会議) 보고서.
  3. LeSage, J., & Pace, R. K., 2009, Introduction to spatial econometrics, Boca Raton: CRC Press.
  4. 변세일.이범현.민번식.조남건.이진.김재영.황형준.김철중 외, 2011, 「KTX를 활용한 국토 재창조 방안」, 안양: 국토연구원.
  5. 한국고용정보원, 2022, 「지역산업과 고용 2022년 봄호」, 음성: 한국고용정보원.
  6. 한국교통연구원, 2015, 「월간 교통: 2015년 2월호」, 세종: 한국교통연구원.
  7. 김동현.전희정, 2021, 지역출산율의 공간적 상호의존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간패널분석을 활용하여, 「국토계획」, 56(4), pp.173-193.
  8. 김상원.이훈래, 2016, 수도권 도시유형별 내부 인구이동 영향요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9), pp.737-744.
  9. 김성득, 2010, 경부고속철도 대구~경주~울산~부산 구간 노선 및 역사 선정의 합리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30(2D), pp.181-190.
  10. 김슬기.김의준, 2021, 2021 인구 및 고용위기지역의 공간경제 특성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43-356.
  11. 김유현, 2021, 지역의 경제.생활여건이 청년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55(2), pp.337-367.
  12. 김지영.길상혁.정문기, 2022, 소멸위기 지방정부의 핵심생산가능인구 유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4(2), pp.211-236.
  13. 맹디.이용상, 2021,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지역사회경제 영향에 관한 연구-중국 동북 3 성의 하다 고속철도를 중심으로,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24(12), pp.1048-1061.
  14. 문근식.이현석, 2016, 표본선택이변량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지역내외 주거이동특성분석: 고령.교육.결혼.직장 특성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14(2), pp.135-146.
  15. 민보경.변미리, 2017, 서울인구는 어떻게 이동하고 있는가?: 전출입이동의 공간 분석과 유형화, 「서울도시연구」, 18(4), pp.85-102.
  16. 배상석, 2009, 정책유형별 지방정부간 지출결정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9(4), pp.69-94.
  17. 송용찬.김민곤, 2016, 수도권 기초자치단체들의 인구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 30(3), pp.151-179.
  18. 신호철.오창석.정경훈, 2023, 지방소멸의 전국적, 지역적 원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계량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5(4), pp.133-160.
  19. 엄창옥.노광욱.박상우, 2018, 지역청년의 정주 및 귀환 결정요인: 대구지역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6(3), pp.259-283.
  20. 오은열.문채, 2016, 지역인구이동 변화에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9(4), pp.67-92.
  21. 유한별.탁근주.문정승, 2021, 한국 지방소멸 요인과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머신러닝 방법을 통한 탐색, 「지방정부연구」, 24(4), pp.443-476.
  22. 이민관.이주형, 2010, 중소도시의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자치연구」, 12(3), pp.139-168.
  23. 이상욱.권철우.임영주, 2019, 청년층의 지역이탈과 이주지역 선택: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37(1), pp.43-66.
  24. 이상호, 2016,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지역 고용동향 브리프」, 한국고용정보원.
  25. 이상호, 2018, 한국의 지방소멸: 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지역 고용동향 브리프」, 한국고용정보원.
  26. 이연경, 2018, 지방정부의 정책지향과 인구이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 재분배정책 가능성의 탐색, 「한국행정학보」, 52(2), pp.301-335.
  27. 이찬영, 2018, 연령대별 인구유출입 결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31(2), pp.707-729.
  28. 임동일, 2011, 강원도 3대 도시의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 춘천, 원주, 강릉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 pp.411-421.
  29. 임미화, 2013,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구주 연령별 주거이동발생 요인, 「부동산연구」, 23(2), pp.79-94.
  30. 임석회, 2019,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54(3), pp.365-386.
  31. 정일홍.이성우, 2011, KTX 개통에 따른 국토권역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2004~2009, 「지역연구」, 27(3), pp.121-138.
  32. 조연.이진선, 2021, 중국 후쿤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분석 연구; 구이양시를 중심으로,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24(1), pp.1-10.
  33. 조재욱.우명제, 2014, 고속철도 개통이 지역경제 및 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 대한민국 KTX 경부선.경전선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9(5), pp.263-278.
  34. 최현정.홍성조, 2020, 고차 서비스 접근성을 고려한 고속철도 연계형 생활권 구축에 관한 연구-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강원권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2), pp.170-181.
  35. 허문구, 2022, K-지방소멸지수 개발과 정책과제-지역경제 선순환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월간 KIET 산업경제」, 289, pp.42-57.
  36. 허재완.김갑성.유예진, 2018, 고속철도(KTX) 의 입지효과 및 개통으로 인한 수도권 인구집중 완화효과 분석, 「국토계획」, 53(4), pp.107-122.
  37. 홍성조.김용건, 2017,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강원도 지역경제 변화 예측, 「도시행정학보」, 30(3), pp.47-72.
  38. Anselin, L., & Bera, A. K., 1998, Spatial Dependence in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an Introduction to Spatial Econometrics, Handbook of applied economic statistics, 237(5), pp.237-290.
  39. Coronado, J. M., Urena, J. M. D., & Miralles, J. L., 2019, Short-and long-term population and project implications of high-speed rail for served cities: Analysis of all served Spanish cities and re-evaluation of Ciudad Real and Puertollano, European Planning Studies, 27(3), pp.434-460.
  40. Deng, T., Wang, D., Yang, Y., & Yang, H., 2019, Shrinking cities in growing China: Did high speed rail further aggravate urban shrinkage?, Cities, 86, pp.210-219.
  41. Huang, Y., & Zong, H., 2021, Has high-speed railway promoted spatial equity at different levels? A case study of inland mountainous area of China, Cities, 110, 103076.
  42. Kim, E., & Yi, Y., 2019, Impact analysis of high-speed rail investment on regional economic inequality: a hybrid approach using a transportation network-CGE model,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JTEP), 53(3), pp.314-333.
  43. Li, H., Lo, K., & Zhang, P., 2020, Population shrinkage in resource-dependent cities in China: Processes, patterns and drivers, Chinese Geographical Science, 30, pp.1-15.
  44. Li, M., & Chen, J., 2020, High-speed rail network in China: the contribution of fast trains to regional tourism and economic development, Tourism Review, 75(2), pp.414-432.
  45. Li, Y., & Chen, Z., 2023, Doe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ccelerate factor outflow from shrinking cities? An evidence from China, Transport Policy, 134, pp.180-190.
  46. Liu, Y., & Shi, J., 2019, How inter-city high-speed rail influences tourism arrivals: Evidence from social media check-in data, Current Issues in Tourism, 22(9), pp.1025-1042.
  47. Moyano, A., Moya-Gomez, B., & Gutierrez, J., 2018, Access and egress times to high-speed rail stations: a spatiotemporal accessibility analysi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73, pp.84-93.
  48. Pan, H., Cong, C., Zhang, X., & Zhang, Y., 2020, How do high-speed rail projects affect the agglomeration in cities and region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88, 102561.
  49. Reggiani, M., & Ortiz-Moya, F., 2022, The impact of high-speed rail on the trajectories of shrinking cities: the case of the extension of the Shinkansen network in northern Japan, International Planning Studies, 27(1), pp.91-106.
  50. Shao, S., Tian, Z., & Yang, L., 2017, High speed rail and urban service industry agglomeration: Evidence from China's Yangtze River Delta region,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64, pp.174-183.
  51. Wang, F., Liu, Z., Xue, P., & Dang, A., 2022, High-speed railway development and its impact on urban economy and population: A case study of nine provinces along the Yellow river, China,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87, 104172.
  52. Zhang, W., Nian, P., & Lyu, G., 2016, A multimodal approach to assessing accessibility of a high-speed railway station,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54, pp.91-101.
  53. 인구감소지역 지정 고시(행정안전부 고시 제2021-66호, 2021.10.19.)
  54.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윤 대통령 "살기 좋은 지방시대 만들기 위해선 촘촘한 교통인프라가 필수"". 2023년 06월 08일.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6017. 2023년 11월 24일 접속.
  55. 매일신문 "국가철도공단 "달빛고속철도, 지역균형발전 위해 꼭 필요"". 2023년 10월 17일. https://www.imaeil.com/page/view/2023101716524185228. 2023년 12월 01일 접속.
  56. 연합뉴스 "서울 인구 10년간 86만명 순유출...높은 집값에 174만명 떠나". 2024년 02월 05일. https://www.yna.co.kr/view/AKR20240204032200002?input=1195m. 2024년 02월 27일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