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심지 위계 분석을 통한 대전시 도시공간구조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Urban Spatial Structure through Central Hierarchy Analysis: Focus on Daejeon

  • 류경수 (경남연구원 도시환경연구실) ;
  • 박성은 (주택도시보증공사)
  • RYU, KYUNG-SOO ;
  • PARK, SOUNG-EUN
  • 투고 : 2024.03.11
  • 심사 : 2024.04.02
  • 발행 : 2024.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차별화 된 분석지표를 활용하여 2040년 대전의 중심지 위계와 도시공간구조를 설정하는 것이다. 미래의 대전시의 도시공간에서 중심지 위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인구밀도, 건축물의 용도(상업 및 업무, 주거 등), 통행량 데이터(KTDB) 등 3개 지표를 도출하였다. 지표를 활용하여 중심지 위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핵)기능을 담당하는 1차 중심지는 둔산도심과 원도심(대전역세권, 도심융합특구지정), 도안신도시 일원으로 3개 지역으로 설정하고, 부도심(지역거점)에 해당하는 2차 중심지는 9개로 설정하였으며, 지역중심(생활권 중심)에 해당하는 3차 중심지는 10개, 그리고 특화거점 5개를 신설하는 중심지 위계를 설정하였다. 둘째, 2030대전도시기본계획 상 중심지 위계와는 다른 새로운 2차 중심지와 3차 중심지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3개 지표를 통해 도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도시공간구조와 중심지 위계 설정에 있어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entral hierarchy and urban spatial structure of Daejeon in 2040 using differentiated analysis indicators. In order to establish a central hierarchy in the future urban space of Daejeon City, three indicators were derived: population density, use of buildings (commercial, office, residential, etc.) and traffic volume data(KTDB).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enter hierarchy using indica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mary centers responsible for urban (core) functions are set in three areas, including Dunsan downtown, the original downtown (Daejeon Station area, designated as a special urban convergence zone), and Doan New Town, and the secondary centers corresponding to sub-city centers (regional bases). was set at 9, 10 tertiary centers corresponding to regional centers (living area centers), and a center hierarchy was established with 5 new specialized bases. Second, new secondary and tertiary centers emerged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center hierarchy in the 2030 Daejeon Urban Basic Plan. The three indicators used in this study yielded meaningful results in establishing urban spatial structure and central hierarchy that can secure urban competitive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재원 외 4인, 2022, "중심지위계별 통행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지방중소도시 생활권 설정 연구", 「국토계획」, 57권, 3호, pp.35-51.
  2. 김광중.김선웅, 1998, 「서울시 중심지체계 변화분석과 정책과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
  3. 김상수 외 3인, 2008, "대전광역시 중심지 위계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1권, 3호, pp.23-33.
  4. 김선웅.김상일.성수연 2019, 「서울시 광역중심 기능진단과 육성방안」, 서울연구원, 서울.
  5. 김창석.우명제, 2000, "서울시 중심지 설정과 중심지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5권, 1호, pp.17-29.
  6. 남광우.강인주.임두현, 2009, "도심 인구구심력의 유효범위 변동성 측정", 「한국지리정보학회」, 12권, 2호, pp.120-131.
  7. 노희순.최막중.이창무, 2004, "도시공간구조의 다핵화 과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권, 2호, pp.47-61.
  8. 대전광역시, 2006, 「2020년 대전도시기본계획」, 대전광역시, 대전.
  9. 대전광역시, 2013, 「2030년 대전도시기본계획」, 대전광역시, 대전.
  10. 대전광역시, 2019, 「2030년 대전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대전광역시, 대전.
  11.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1, 「국토.지역계획론」, 3정판, 보성각, 서울.
  12.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0, 「도시계획론」, 6정판, 보성각, 서울.
  13. 류경수, 2023, "대전시 상업지역 주거복합건축물 사례 분석을 통한 관리방안 연구", 「지역연구」, 39권, 2호, pp.63-76.
  14. 류경수.임병호.지남석, 2023, "격자단위 공간정보 분석에 기초한 중심지 체계 설정에 관한 연구:대전시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24권, 1호, pp.81-95.
  15. 문영일, 2013, "역세권의 토지이용 유형별 지하철 이용수요에 미치는 도시계획 요소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서울특별시, 2023, 「2040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특별시, 서울.
  17. 부산광역시, 2023, 「2040부산도시기본계획」, 부산광역시, 부산.
  18. 서여림.김기호, 2016, "1960년대 이후 도시기본계획이 서울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미친 영향-다핵도심구상의 실천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17권, 3호, pp.5-23.
  19. 서주옥.김도년.이성창, 2017, "건축물 연면적 현황과 도시기본계획의 중심지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물리적 중심지 검증 연구", 「도시설계」, 18권, 1호, pp.105~114.
  20. 선권수, 2009, "중심지 체계의 도시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손세욱.유상혁, 2000, "대전시의 중심지 식별과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5권, 3호, pp.51-66.
  22. 신임호, 2012, "서울시 지하철 통행패턴을 통한 연령계층별 활동중심지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오용준 외 6인, 2021, 「충청권 메가시티 형성방향 및 정책과제」, 충남연구원, 충남.
  24. 이수빈, 2021, "서울시 도시공간 중심성의 변화와 그 요인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종상.서덕수, 2020, "통근통행에 의한 직간접 흐름을 이용한 지역의 중심성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7권, 3호, pp.125-134.
  26. 이종상.서영창.김성록, 2018,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지역의 중심성 측정=지역간 경쟁관계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3권, 4호, pp.87-93.
  27. 임병호, 2022, 「대전시 중심지체계 설정에 관한 연구」, 대전세종연구원, 대전.
  28. 장영호, 2010, "도시의 내연적 성장과 외연적 성장에 다른 공간구조변화 측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전병혜.이명훈.옥석문, 2008, "도시의 성장과 쇠퇴측면에서 본 서울대도시권의 지역유형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3권, 5호, pp.153-164.
  30. 주미진, 2023,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부산.울산권 도시 공간구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3권, 5호, pp.489-509.
  31. 허윤경.이주영, 2009, "울산의 도시공간구조 변화 분석", 「국토계획」, 44권, 2호, pp.111-121.
  32. Burt, R. S., 1992, 「Structure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