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Attracting University Campuses on the Local Economie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 Focusing on Changes in Neighborhood Commercial Areas -

지방 중소도시 내 대학캠퍼스 유치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근린상권 변화를 중심으로-

  • Lee, Dong Yun ;
  • Jeong, Seok
  • 이동윤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 정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24.01.09
  • Accepted : 2024.03.21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attracting a university campus on the local economie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focusing on changes in local commercial neighborhoods(such as the number of startups, closures, and stores counts). For this study, a Difference-in-Difference(DID)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attraction of university campuses in four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ese include the Yangsan Campu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Jincheon Campus of Woosuk University, the Taean Campus of Hanseo University, and the Dangjin Campus of Hoseo University. The comparison was based on the number of startups, closures, and store counts, using local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racting a university campu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number of startups, both spatially and temporally. The spatial factors for the number of closures and stores showed a decrease, while the interaction terms represent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attracting the university campus all indicated an increase. Second, the number of startups in cultural and food-related sectors increase, reflecting the new demand created by attracting the university campus. However, there was als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losures, indicating rapidly changing consumption trend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r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building floors, land use zoning, and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umber of startups, closures, and stores. This supports the assertion that attracting university campu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ommercial neighborhoods.

본 연구는 대학캠퍼스 유치가 지방 중소도시의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근린상권 변화(창업, 폐업, 점포개수)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방 중소도시에 유치된 4개의 대학캠퍼스(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우석대학교 진천캠퍼스, 한서대학교 태안캠퍼스, 호서대학교 당진캠퍼스)를 대상으로 창업·폐업 건수 및 점포 개수를 비교하였다. 비교 방법으로는 대학캠퍼스 유치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는 이중차분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캠퍼스 유치는 창업건수에 대한 공간적, 시간적 요인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폐업건수 및 점포개수에 대한 공간적 요인에서는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 전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교차변수에 대해서는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 및 음식 관련 업종의 창업건수는 대학캠퍼스 유치로 인해 새로운 수요 창출을 반영하여 증가하였으나, 동시에 빠르게 변화하는 대학생들의 소비 트렌드에 따라 폐업건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물의 층수, 용도지역, 공시지가와 같은 물리환경적 특성이 창업·폐업건수 및 점포개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캠퍼스 유치가 지역 근린상권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구.이민환, 2004, 지방대학과 지역경제의 효과; 소득창출 효과의 관점에서, 「경제연구」 제22권 제3호, pp.227-238.
  2. 강태연.박진아, 2021, 상권변화과정 분석을 통한 상권 재활성화 진단 연구, 「국토계획」 제56권 제3호, pp.40-51.
  3. 권영섭, 1992, 서울소재대학 지방분교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제8권 제1호, pp.51-66.
  4. 긷모형, 2014, 전통시장 이용객의 장소인식과 정책적 함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7권 제3호, pp.517-537.
  5. 김태경.권대한.최준영, 2012, 「대학유치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경기개발연구원 보고서>
  6. 김혜림.홍성조, 2022, 서울시 홍대 주변 상권의 공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회」 제87권, pp.21-34.
  7. 김홍기, 2006, 나주시 옛 영산포 시가지 가로공간의 변화와 건축물 특성, 「대학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제8호, pp.45-52.
  8. 박세훈.조만석.송지은, 2017, 「인구감소시대 지방중소도시 활력증진 방안」, <국토연구원 보고서>
  9. 박소현.최이명.서한림, 2006, 역사주거지구의 소규모 생활권단위 추정방법에 관한 기초연구; 북촌 도시형태요소와 근린편의시설의 분포상황을 중심으로, 제22권 제9호, pp.223-231.
  10. 박재필, 2014, 글로컬 군산대학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제11권 제1호, pp.225-247.
  11. 박정식.김재태, 2019, 점포 운영환경과 사업지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논문집」 제17권 제3호, pp.19-37.
  12. 서수정.장민영.김영하, 2019, 「중.소도시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 방안」, <건축공간연구원 보고서>
  13. 서정석.김정섭, 2021, 2017 포항 지진이 소매업 창.폐업에미친 영향,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자료집, pp.210-213.
  14. 손용만.박태원, 2017, 쇠퇴상권 재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계획요소 우선순위 비교분석; 서울시 신촌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30권 제4호, pp.1-18.
  15. 손철.장하주, 2018, 「영동지역 상권별 숙박.음식점업의 입지추세와 생존율에 대한 분석」, <한국은행 보고서>
  16. 안영진, 2010, 대학의 지역 경제적 파급효과; 독일 대학의 사례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3권 제3호, pp.529-546.
  17. 안영진, 2017, 대학의 지역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23권 제1호, pp.227-238.
  18. 양동양, 2006, 「도시.주거단지계획」, 서울; 기문당.
  19. 염지혜.양승우, 2014, 음식점 변화를 통한 서울 삼청동길의 사업가로 활성화 단계 실증해석, 「한국도시설계학회」 제15권 제6호, pp.111-122.
  20. 이금숙.박소현, 2019, 업종별 창업 및 폐업의 지리적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78-195.
  21. 이식, 2018, 대학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가톨릭광동대학교와 강릉시를 중심으로, 가톨릭관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이연수.박현신.유승환.강준모, 2014, 캠퍼스상권 매출액에 미치는 입지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제15권 제1호, pp.17-34.
  23. 이용백.진장익, 2021, 서울시 도시재생사업이 주변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국토설계」 제56권 제4호, pp.120-136.
  24. 이정란, 2017, 업종 다양성에 따른 상권의 형성 과정 및 변화 특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5. 이종관, 2018, 「대학교 캠퍼스가 지역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개발연구원 보고서>
  26. 이혜인.오광석, 2022, 영구시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의 상권변화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2권 제8호, pp. 367-376.
  27. 임보영, 2023, 도시재생사업이 근린상권의 창.폐업과 점포수에 미치는 영향; 도시재생선도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제39권 제3호, pp.31-40.
  28. 임태경, 2021,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청년인구 유입의 효과성분석; 충북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보」 제18권 제3호, pp.73-94.
  29. 장민영.성은영.정인아.변은주, 2022, 「동네생활권 개념 도입 및 정책적 활용방안 연구」, <건축공간연구원 보고서>
  30. 정성훈, 2021, 거리경제의 경제지리; 강원대학교 정문, 후문, 동문을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제31권 제4호, pp.124-131.
  31. 제승욱.강정규.김영근, 2018, 상가 업종 다양성에 따른 상권 변화 실증 분석, 주거환경, 제16권 제2호, pp. 357-369.
  32. 최은준.천상현.이수기, 2021, 사업체의 생존.폐업 기간을 활용한 서울시 상업공간의 변화분석, 「지역연구」 제37권 제4호, pp.3-19.
  33. 최정은.홍성훈, 2017, 지역거점 국립대학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학회」 제15권 제2호, pp.41-57.
  34. 황관석.박철성, 2015, 이중차분법을 이용한 수도권 DTI 규제효과 분석, 「주택연구」 제23권 제4호, pp.157-180.
  35. Abadie, A., 2005, Semiparametric Difference-in-Difference Estimates, Review of Economic Studies, vol.72, no.1, pp.1-19.
  36. Jacob,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Random House.
  37. Snow, J., 1855, On the Mode of Communication of Cholera, London: John Chruc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