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act of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management activi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n the organization's non-financial performance

중소기업 ESG 경영 활동이 조직의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4.04.08
  • Accepted : 2024.04.25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e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focusing o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Using data from 78 survey respons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summarized. Firstly, ESG management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679, indicating a moderately strong correlation,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461, explaining 46.1% of the variance. Additionally, with a beta value of .679, a t-value of 8.058, and a p-value of .000, ESG management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Secondly, ESG management activities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corporate tru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695, indicating a moderately strong correlation,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483, explaining 48.3% of the variance. The beta value was .695, the t-value was 8.429,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000, indicat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rporate trust.The study aimed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their non-financi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anies can enhance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nd corporate trust through fulfilling social responsibilities and practicing sustainable management.

본 연구에서는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ESG 경영활동이 조직의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자료 78부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ESG 경영활동이 내부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상관계수는 .679로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결정계수(R2)는 .461로 46.1%의 설명력을 보였다. 또한, 베타값은 .679이며, t값은 8.058이고 p값은 .000으로 내부고객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로, ESG 경영활동이 기업 신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상관계수는 .695로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결정계수(R2)는 .483으로 48.3%의 설명력을 보였다. 베타값은 .695이며, t값은 8.429이고 유의확률은 .000으로 기업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ESG 경영활동을 조직의 비재무적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밝혔다는 데 그 의미를 두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통해 내부고객만족도와 기업 신뢰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연화(2023). 기업의 ESG활동이 기업이미지 형성을 통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탐색재 vs. 경험재 제품 기업 비교,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우수치(2022), 조직의 ESG 경영이 종사자의 조직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조직신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일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조희진(2023). 기업의 ESG활동이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용풍(2022). 종업원의 인식관점에서 바라본 기업의 ESG 활동과 비재무적 성과 간의 영향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윤수.(2023). 중소기업의 ESG경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영자의 비재무적 성과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제38권 제6호, pp.67-88.
  6. 이기철(2024). 상호금융기관의 ESG경영활동 진정성이 조직몰입, 내부고객만족, 고객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이지현(2022). 중소기업의 ESG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진규(2023). 기업 ESG 활동이 조직 자부심, ESG만족, 직무만족,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ESG 직무 여부의 조절효과,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강인숙(2003). 호텔기업의 환경, 경영전략, 조직구조 및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대영(2022). 기업가 정신과 사회적 가치 지향성이 일반제조업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SG 경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나기환(2013). 구성원의 조직문화가 조직 동일시, 내부고객만족 및 고객만족활동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강지호(2016).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노력이 기업 신뢰, 비재무적 경영성과 및 사회적 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 기업규모에 따른 비교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