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4단계 두뇌한국 BK21 '인포스피어 과학교육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 곽영순, 신영준, 강훈식, 이수영, 이성희(2019).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학중점학교의 특성에 대한 질적탐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4), 525-534.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4.525
- 김효준, 송진웅(2019). 미국 차세대과학교육표준(NGSS)과 한국 미래세대과학교육표준(KSES)의 종합적 비교와 TIMSS Science Framework 준거를 통한 수행기대의 물리 내용 요소 분석. 새물리, 69(9), 916-931.
- 박종원(2016). 과학적 소양에 대한 세 가지 논의-통합적 이해, 교육과정에의 정착, 시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413-422.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3.0413
- 성승민, 여상인(2021). 과학 탐구 키움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정서, 학습동기, 과학 관련 자아개념, 진로포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32(3), 99-115. https://doi.org/10.20972/KJEE.32.3.202109.99
- 손오근, 임성민(2016). 안전교육과 과학교육을 통합한 프로그램이 특수교육 대상 중학생의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 17(1), 143-166.
-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임혁, 정대홍, 정종훈, 김진희, 정용재(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65
- 신영준, 곽영순, 김희경, 이수영, 이성희, 강훈식(2017).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2), 335-346.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2.0335
- 심완익, 김효남(2013). 초등학교 과학에서 인지적, 정의적학업성취와 자아개념과의 관계. 한국초등교육, 24(1), 43-61. https://doi.org/10.20972/KJEE.24.1.201303.43
- 유은주, 소금현(2016).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0(2), 103-115. https://doi.org/10.21796/JSE.2016.40.2.103
- 이명제(2009). 과학적 소양의 정의를 향하여. 초등과학교육, 28(4), 487-494.
- 이종혁, 유금복, 이선경(2021). 과학교육에서 '참여와 실천'을 추구하는 융복합 활동으로서 SSI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의 교육적 접근. 문화와 융합, 43(10), 765-788.
- 장진아, 임인숙, 박준형(2021). 일반 시민의 과학적 참여와 실천 사례 연구: 미세먼지 문제 대응 활동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5(2), 201-218. https://doi.org/10.21796/JSE.2021.45.2.201
- 천주영, 이경건, 홍훈기(2021).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및 성취기준 개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6), 483-499.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6.483
- Gangnam Future Education Center(GFEX). (2022). 우주선 및 우주기지 체험공간[사진]. 강남미래교육센터, 서울. https://gangnam.future-edu.kr/
- Hagop, A. Y. (2018). Scientific literacy for democratic decision- ma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3), 308-327. https://doi.org/10.1080/09500693.2017.1420266
-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2019). Scientific literacy for all Koreans: 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for the Next Generation. Seoul: KOFAC.
- Lacy, S. J., Tobin, R. G., Crissman, S., DeWater, L., Gray, K. E., Haddad, N., Hammerman, J. K. L., & Seeley, L. (2022). Telling the energy story: Design and results of a new curriculum for energy in upper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106(1), 27-56.
- Lee, L. S., Lin, K. Y., Guu, Y. H., Chang, L. T., & Lai, C. C. (2013). The effect of hands-on 'energy-saving house' learning activit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regarding energy saving and carbon-emissions reductio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9(5), 620-638.
- Nag Chowdhuri, M., King, H., & Archer, L. (2021). The Primary Science Capital Teaching Approach: Teacher Handbook. London: UCL Institute of Education.
- Rickinson, M. (2001). Learners and learn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A critical review of the evidenc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7(3), 207-320. https://doi.org/10.1080/13504620120065230
- Roth, W. M., & Barton, A. C. (2004). Rethinking Scientific Literacy. New York, NY: Routledge.
- UNESCO & UNICEF. (2013). Envisioning Education in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Executive Summary. Global Thematic Consultation on Education in the Post- 2015 Development Agenda.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223025?posInSet=10&queryId=b70c668f-fd72-48d8-81e2-1f110a011438
- World Economic Forum. (2016).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Geneva, Switzer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