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5B5A16056739).
References
- 강유진(2023). 두 개의 과학교육: 과학교구공사의 초기 역사를 통해 살펴본 1970년대 유네스코-유니세프와 한국문교부의 과학교육. 과학기술학연구, 23(3), 139-187.
- 강한수(1970). 초등학교 현행 자연과 교과서 진단. 교육연구, 3(8), 35-37.
- 경기도교육청, 전시성 업무.도단위 대회 행사 폐지(2012.10.8.). 뉴스피크. http://www.newspeak.kr/news/articleView.html?idxno=26418
- 과학기술처(1987). 과학기술행정 20년사.
- 교대 4년제로 개편 내년부터 특수과목교사도 양성(1973.6.5.). 매일경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3060500099207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3-06-05&officeId=00009&pageNo=7&printNo=2231&publishType=00020
- 교육50년사편찬위원회(1998). 교육50년사: 1948-1998. 교육부.
- 구전회(1970). 금년도 과학교육의 방점. 교육연구, 3(8), 16-18.
- 국가기록원(1963-1981). 유네스코(UNESCO)-유니세프(UNICEF) 프로젝트. 유네스코 본부 아카이브(관리번호: BTA 000308).
- 권병규(1973). 탐구적인 학습지도방법.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59-62).
- 권중록(1985). 서울신문사장상-자율탐구과학코너 설치활용. 과학과 기술, 199, 78-80.
- 권판근(1978). 체력장제도가 체육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경남문화연구, 1, 159-173.
- 권판근(1979). 체력장제도가 체육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영남지방을 중심으로. 경남문화연구, 2, 145-150.
- 김광명, 이흥순(1998). 자율실험 코너 운영을 통한 탐구 능력의 향상. 과학교육연구, 21, 89-115.
- 김기융(1970). 현행 과학교육 과정의 검토. 과학교육, 68, 27-32.
- 김기융, 차재선(1970). 초등과학 교육의 개선을 위한 연구 - SAPA(AAAS) program을 중심으로 한 보고 III. 논문집, 5, 375-399.
- 김미정(2017). 체력장제도를 통해 본 1970년대 체육교육정책 양상. 역사와 교육, 25, 43-74.
- 김영대(1969). SCIS 초등과학의 실험연구보고.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3월호, 34-39.
- 김영재(1975). 초등학교 체육과 지도교사들의 자질향상을 위한 체육기능장제도 연구 - 초등학교 교사 및 교육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마산교육대학 논문집, 6, 225-288.
- 김용덕(1970). 과학교육의 새로운 방법. 교육연구, 3(8), 28-30.
- 김재수(1981). 과학코너의 설치와 활용. 과학충남, 9, 129-136.
- 김종성(1970). 초등 과학교육 과정의 시안. 과학교육, 71, 46-48.
- 김종성(1973). 과학교육자료의 개발. 문교부(편), 전 국민과학화의 길 (pp. 66-68).
- 김창순(1982). 탐구력 신장을 위한 자연과 실기 연수회 운영. 과학충남, 14, 92-95.
- 김치영(1973). 과학화를 위한 수학교육.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71-73).
- 김학현(1980). 과학주임교사제 7년의 공과와 과제 - 그 오늘의 실상.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8월호, 21-24.
- 김현재, 차재선(1972). 초등 과학 교육의 학습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 논문집, 7(2), 83-114.
- 김형기(1978). 과학장제도 운영을 통한 국민학교 아동의 탐구력신장. 동연, 1, 112-132.
- 류인수(1970). SCIS Project의 적용을 위한 실험 연구. 교육연구, 3(8), 78-80.
- 문교40년사편찬위원회(1988). 문교40년사. 문교부.
- 문교부(편)(1972). 국민학교 새교육과정. 서울: 교육주보출판사.
- 문교부(편)(1973a). 전 국민 과학화의 길 - 전 국민 과학화를 위한 전국교육자대회 및 분과협의회 (회의록).
- 문교부(1973b). 1973년 문교시책. 문교월보, 38, 34-43.
- 문교부(1973c). 교육유신을 위한 우리의 노력. 문교월보, 47, 83-100.
- 문교부(1973d). 국민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310호.
- 문교부(1974). 과학주임교사의 기능과 임무.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1월호, 35-39.
- 문만용(2017). '전 국민 과학화운동': 과학기술자를 위한 과학기술자의 과학운동. 역사비평, 120, 284-315.
- 민관식(1973a). 전국교육자대회 경과 보고.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9-10).
- 민관식(1973b). 일선에서의 과학화 운동의 실천 방안.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5월호, 8-12.
- 박경호(2023). 입시 체력장 제도의 폐지에 대한 사적 고찰. 체육사학회지, 28(2), 87-100.
- 박노원(1973). 생활의 과학화를 위한 교육 - 과학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기술 교육 방안. 교육경남, 9월호, 64-70.
- 박대통령 연두 기자 회견(1973.1.12.). 경향신문.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3011200329202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3-01-12&officeId=00032&pageNo=2&printNo=8396&publishType=00020
- 박영구(2011). 중화학공업화선언과 1973년 공업교육제도 변화. 한국민족문화, 40, 347-388.
- 박정희(1973). 대통령각하 치사.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3-7).
- 박종우(1981). 과학코너의 설치와 활용방안. 과학충남, 9, 121-128.
- 박한식(1973). 수학과 교육내용.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48-51).
- 부문별 계획 명세(1970.7.15.). 조선일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0071500239103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0-07-15&officeId=00023&pageNo=3&printNo=15154&publishType=00010
- 서울시교육청 179개 주관사업 폐지(2011.10.17.). 서울타임스. http://www.seoultime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086
- 손환(2009). 일제강점기 조선의 체력장검정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8(5), 1-10.
- 송성수(2008). "전(全) 국민의 과학화운동"의 출현과 쇠퇴. 한국과학사학회지, 30(1), 171-212.
- 송완섭(1983). 과학주임교사의 임무. 과학충남, 17, 95-99.
- 송인명(1973). 과학화를 위한 지도방법의 혁신.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54-59).
- 송형호(1973). 탐구학습을 돕는 여건 조성.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64-66).
- 송형호(1976a). 과학주임교사의 업무 수행도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6월호, 21-25.
- 송형호(1976b). 과학주임교사의 업무 수행도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7월호, 27-29.
- 수원남국민학교(1988). 과학.기술장제 운영을 통한 과학재능의 조기계발. 경기장학, 99, 118-134.
- 신동헌(1981). 과학교육의 내실을 기하기 위한 학교장의 역할. 과학충남, 9, 183-187.
- 신상준(1972). 영어교사 기능장 제도를 제창하다. 어학교육, 4, 75-80.
- 신희명(1973). 지도방법의 계통화.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68-70).
- 안영덕(1981). 과학장제 운영. 교육전남, 46, 63-64.
- 양준한(1973). 과학주임교사의 역할. 과학교육과 시청각 교육, 6월호, 12-14.
- 어린이 '과학안목' 높아졌다(1983.3.31.). 경향신문.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33100329207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3-31&officeId=00032&pageNo=7&printNo=11540&publishType=00020
- 오수용, 김방출(2021).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으로 본 제4공화국의 체력장. 체육사학회지, 26(4), 59-79.
- 이경섭(1997). 한국 현대 교육과정사 연구(상). 파주: 교육과학사.
- 이경환, 박제윤, 권영민(2002). 한국 교육 과정의 변천.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 이길주(1983). 탐구과학 생활환경 조성을 통한 탐구력 신장 지도: 과학의 생활화를 중심으로. 과학충남, 16, 37-46.
- 이병례(2019).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식민지 조선의 건강담론과 노동통제. 한국사연구. 18, 163-201.
- 이상협(1973). 교사의 자질향상책.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62-64).
- 이영미(2009). 1970년대 과학기술의 "문화적 동원": 새마을기술봉사단 사업의 전개와 성격.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 이영하(1981). 해양코너의 운영과 효과. 과학충남, 10, 28-34.
- 이원식(1973). 중등학교 과학 교육내용.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40-42).
- 이정찬(1973). 과학주임교사제를 환영하면서.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6월호, 8-11.
- 이종섭(1979). 과학장제 운영을 통한 과학적 탐구능력의 신장 방안. 교육관리기술, 10(11), 72-75.
- 이종화(1969). 과학코너의 설치 활용과 발견적 관찰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2월호, 15-24.
- 이흥업(1973). 과학 교육 진흥과 주임교사 제도 신설.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7월호, 22-23.
- 이희동(1993). 과학장제 운영을 통한 자주적 탐구력 신장. 교육경북, 104, 92-97.
- 임병기(1973). 과학교육과 타 교과의 관계.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51-53).
- 임상규(1973). 과학주임교사의 할 일. 과학교육과 시청각 교육, 6월호, 15-17.
- 임소정(2015). 금오공업고등학교의 설립과 엘리트 기능 인력의 활용, 1973-1979.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 임재영(1981). 과학놀이 코너 운영. 교육전남, 46, 56-57.
- 장미현(2022). 기능우대사회는 가능했을까: 1970년대 국가기술자격제도 일원화 시도와 '역설'. 사학연구, 147, 237-271.
- 전문표(1973). 과학주임교사에게 바라는 일.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7월호, 24-26.
- 정연태(1969). UNESCO/UNICEF 지원의 과학교육 프로젝트를 위한 아세아 지역 협의회 참가 보고서.
- 정연태(1984). 한국과학교육의 오늘과 내일. 서울: 한국방송사업단.
- 정연태(1988). 교육과 과학과 한평생: 정연태 문집.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정용재(1973). 과학교육과정 개발사업.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45-48).
- 정준모(1970). 새 시대에 맞는 과학교육의 목표. 교육연구, 3(8), 23-27.
- 조주행(1984). 과학실 운영 사례. 과학충남, 22, 269-276.
- 중앙대학교 부설 한국교육문제연구소(1974). 문교사 1945-1973.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 차재선(1970). 자연과 화학 영역에서의 문젯점. 과학교육, 71, 8-10.
- 차재선(1971). 개편교육과정의 잇슈. 교육연구, 4(9), 55-58.
- 차재선(1972a). 초등과학 교육과정의 개편. 논단, 1(1), 19-20.
- 차재선(1972b). SCIS Program 학습이 아동의 과학적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논총, 3, 169-185.
- 차재선(1973). 국민학교 자연과 교육내용.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38-40).
- 청주교육대학 SCIS 초등과학연구그룹(1970). SCIS 초등과학교육과정 실험 연구 보고(1). 과학교육, 64, 68-73.
- 청주교육대학 SCIS 초등과학연구그룹(1972). SCIS 초등과학교육과정 실험 연구 보고(끝). 과학교육, 91, 64-65.
- '체력장 변경없다' 문교부 발표(1977.9.15.). 동아일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09150020920701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09-15&officeId=00020&pageNo=7&printNo=17216&publishType=00020
- 최규진(2023). 전시체제기 국민체력관리와 건민운동. 역사 연구, 47, 333-395.
- 최기철(1970). 새 과학교육 과정 제정은 이렇게. 과학교육, 68, 19-21.
- 최승만(1979). 과학장제 2년을 결산하다(상). 과학과 교육, 5월호, 98-102.
- 최영복(1970). 과학과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 교육연구, 3(8), 20-22.
- 최영복(1973). 과학교육과 기술교육.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42-44).
- 최종락(1973). 과학화를 위한 교육 내용의 개선.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33-38).
- 최초의 과학장제 실시한 인천시교육청(1979).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4월호, 121.
- 최형섭(1973a). 기조강연, 현실 과제면에서 - 국력배양과 국민의 과학화 운동.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20-28).
- 최형섭(1973b). 전 국민 과학화에 따른 과학교육 방향과 문제점 타개. 교육전남, 6월호, 43-49.
- 충남도교육청 교원.학생대상 행사 감축(2000.5.4.). 홍성신문. http://www.h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75
- 하병권, 김덕만, 박화서(1971). SCIS 초등과학 교육과정의 실험연구. 서울교대 논문집, 4, 301-312.
- 하영준(1974). 현행 체력장 종목과 인성과의 관계: 남자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9, 67-72.
- 학교 일회성 행사 줄줄이 폐지(2015.3.19.). 헤드라인 제주. https://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6096
- 80년도 문교 정책 방향 - 대통령 연두 순시 보고 자료를 중심으로(1980).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3월호, 80-83.
- Osgood, K. (2006). Total Cold War: Eisenhower's Secret Propaganda Battle at Home and Abroad. Lawrence, KS: University Press of Kansas.
- Rudolph, J. L. (2019). How We Teach Science; What's Changed, and Why It Matter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The Cent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1973). Evaluative research on UNESCO/UNICEF-assisted Korean science education project. The Cent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 Wolfe, A. J. (2017), 냉전의 과학 (김명진, 이종민 역). 파주: 궁리출판. (원저 2013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