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Improve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 to Find Out That Gas Occupies Space

기체가 공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아보는 실험의 개선 방안 및 효과 분석

  • Received : 2024.02.27
  • Accepted : 2024.04.11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an experiment f or determining whether gas occupies space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experiment, identify and improve problems in its presentation,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his study interviewed third-yea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teaching this experiment to students. Based on teachers' opinions and observations, this study identified issues with the current experiment, developed an improved experiment, and determined its effectiveness. Through this analysis, three key findings emerged.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original experiment on gases was presented in the same or highly similar manner in 5 of 7 textbooks (71.4%). Thus, while various textbooks have been developed with the aim of promoting diversity and creativity in scientific literature, most experiments presented in these books are identical. Second, the existing experiment was not suitable for its target audience (third-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was difficult to observe directly. The interviewed teachers also deemed the validity of the experiment to be considerably low. Finally, the original experiment was improved; this improved version was determined to be highly valid,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original experiment. The improved experiment was effective for students as it involved activities suitable for their intellectual level and was directly observable through the senses. Thus, the study analyzed and improved an existing science experiment f or elementary students, providing insights into the 2022 revised science authorized textbook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textbook development.

본 연구는 '기체가 공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아볼 수 있는 실험'이 2015 국정 과학 교과서와 검정 교과서에 제시된 특성을 비교하고, 실험의 타당도 검사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국정 교과서와 검정 교과서 7종의 주요 준비물, 실험 방법, 제시된 사례를 분석한 결과 5개 교과서(71.4%)의 실험이 국정 교과서의 실험과 같거나 거의 유사하게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학교과서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교과서가 개발되었지만 대부분 기존에 제시되어 있던 실험을 그대로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현행 실험의 경우 학생에게 다소 어려운 추론 능력을 요구하고 있고, 구체적이며 직관적인 관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는 현행 실험의 타당도가 매우 낮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개선된 실험은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집단의 경우 비교 집단과 비교하여 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선된 실험이 학생들의 탐구능력 함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선된 실험은 컵 속의 물과 공기를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감각을 통해 현상을 직접 관찰할 수 있으며, 학생 수준에 적합한 활동으로 구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체가 공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아볼 수 있는 실험'을 직접 지도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3학년 교사를 대상으로 의견수렴과 협의 과정을 통해 현행 실험의 문제점을 찾고, 개선된 실험을 개발하며, 그 효과를 검증하여 현재 개발되고 있는 2022 검정 과학과 교과서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헌태, 이규호, 노석구(2017).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에서 제시된 해륙풍 모형실험 분석 및 개선 방안. 초등과학교육, 36(1), 1-15.
  2. 고영신, 김세경, 이혜경(2004). 초등학교 과학과 이산화탄소 발생실험의 개선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23(2), 152-158.
  3. 교육부(2018). 과학 3-2 교사용 지도서. 세종: 교육부.
  4. 교육부(2022). 과학과 교육과정 -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9]. 세종: 교육부.
  5. 권치순, 권성기, 김태규, 박종욱, 박헌우, 윤회정, 정정인, 홍준의, 김민성, 김지훈, 김천웅, 김현이, 나희정, 남일균, 박상희, 박용신, 박현광, 박혜림, 송기선, 오한기, 이길경, 이창훈, 장은정, 정선희, 정순화, 정효해, 최보미, 홍정숙(2022). 과학 3-2 교과서. 서울: 지학사.
  6. 김미영(2005). 초등과학 교과서 내용 중 산소와 이산화탄소 발생 실험에 대하여. 대한화학회지, 32(4), 24-31.
  7. 김성실(2013). 인지갈등 전략을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에서 물의 상태변화에 대한 학습자 특성별 개념변화.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안양.
  8.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2002). 과학교육학개론. 서울: 북스힐.
  9. 노을, 장낙한(2015).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끓는점 측정 방법 분석 및 개선점 제안. 과학교육연구지, 39(3), 446-456. https://doi.org/10.21796/JSE.2015.39.3.446
  10. 류오현, 최문영, 송주현, 권장근, 백성혜, 박국태(2001). 중학교 분별증류 실험의 비교 분석 및 개선. 대한화학회지, 45(5), 481-490.
  11. 박일우, 홍영식, 이규호, 주은정, 박지선, 이현숙, 우석민, 강원정, 김소린, 류미, 구슬기, 윤미영, 이용민, 이하은, 김지은, 김현익, 김선동, 이영진, 한우석, 김석갑, 장덕자, 박응식, 유지원, 정원진, 권순미(2022). 과학 3-2 교과서. 서울: 금성출판사.
  12. 박찬주, 동효관, 신영준(2007).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 차이와 과학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초등과학교육, 26(2), 216-225.
  13. 박헌우(2008). 이산화탄소의 성질 실험 장치 개선 방안 탐색. 초등과학교육, 27(3), 244-251.
  14. 박헌우, 강심원(2007). 초.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환경 인식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1), 92-100.
  15. 방정아, 윤희숙, 최원호, 정대홍(2006). 기체 부피변화를 이용한 화학반응속도 측정 실험의 이해 및 개선 연구: HCl 수용액과 고체 Mg의 반응에 대하여. 대한화학회지, 50(5), 404-414. https://doi.org/10.5012/JKCS.2006.50.5.404
  16. 백명주, 정대홍(2022). 무선 온도 센서를 활용한 샤를 법칙 실험 개선. 현장과학교육, 16(3), 425-438. https://doi.org/10.15737/SSJ.16.3.202208.425
  17. 서혜리(2017). 대류실험상자의 개선 방안과 초등과학 수업에의 적용.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서울.
  18. 성숙경, 최취임, 정대홍(2009). 화학 I 금속의 반응성 실험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 대한화학회지, 53(3), 368-376. https://doi.org/10.5012/JKCS.2009.53.3.368
  19. 성태제(2010).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20. 손원기, 김준영, 정대홍(2018). 중학교 교과서에 도입된 용해도 측정 실험의 한계점 분석 및 대체 실험 제안. 현장과학교육, 12(3), 367-376. https://doi.org/10.15737/SSJ.12.3.201810.367
  21. 윤희숙, 정대홍(2006). 끓는점 오름 현상에 대한 학생, 예비교사, 화학 교사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7), 805-812.
  22. 이난희(2004).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 내용 중 백반 결정 만들기 실험의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서울.
  23. 이상원, 김지나, 문병찬, 신애경, 최도성, 권진희, 김보영, 김석주, 김진한, 김태훈, 박예선, 손준호, 심예지, 오정민, 유영석, 이병훈(2022). 과학 3-2 교과서. 서울: 천재교과서.
  24. 이종성(2001).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5. 장소영, 노석구(2005).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24(4), 435-442.
  26. 장신호, 최선영, 김수진, 이윤정, 박상희, 김상협, 염진서, 임희준, 심병주, 송윤미, 박재근, 한문현, 김율리, 남기수, 박권태, 정은영, 박시현, 박경중, 권금주, 김덕호(2022). 과학 3-2 교과서. 서울: 동아출판.
  27. 전영화, 홍란선, 강영진(2004). 산-염기 중화반응 실험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 대한화학회지, 48(2), 189-194. https://doi.org/10.5012/JKCS.2004.48.2.189
  28. 전지선(2006).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소금 결정 만들기 실험의 개선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0, 37-47.
  29. 정대균, 이혜정, 정선희, 오창호, 박국태(2007). 기체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조사 및 대안개념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26(4), 359-371.
  30. 정미현(2011).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물의 전기분해 실험 분석 및 개선.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청주.
  31. 조정호, 안미경, 지경준, 우영진, 이수환, 강철웅, 한홍수, 허희선, 이윤종, 한강민, 서유지, 강대훈, 김계형, 박세희, 문승환, 윤소영, 허양원, 송용준, 김두식, 오현석(2022). 과학 3-2 교과서. 서울: 비상교과서.
  32. 조한국, 이영희, 조윤호, 류재인, 김재희, 이경학, 박훈, 신연옥, 오병현, 하우영(2022). 과학 3-2 교과서. 파주: 김영사.
  33. 채희인(2017). 과학핵심역량의 재구조화에 기반한 초등과학 수업전략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인천.
  34. 최영재, 고영신(1994). 초등학교 자연과 실험지도방법의 오류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20, 131-150.
  35. 최혜정, 정진수, 김상호(2015). 중⋅고등학생의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수준 및 실행수준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9(1), 28-43. https://doi.org/10.21796/JSE.2015.39.1.28
  36. 팽애진, 백성혜(2005).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신념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146-161.
  37. 한수연(2004). 학교과학실험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 교육원리연구, 9(1), 47-82.
  38. 현동걸, 양일호, 김영신, 임성만, 김성운, 임재근, 김동현, 백명주, 정미연, 박유정, 박서정, 문양희, 권석원, 정재훈, 양용철, 조현준, 한신, 박선옥, 심현섭, 이민하, 이봉석, 김창원(2022). 과학 3-2 교과서. 성남: 아이스크림 미디어.
  39. 황찬숙(2014). 끓음과 끓는점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관찰과 추론 활동 및 반성적 사고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40. Bybee, R., & D eBoer, G. (1994). Research on goals for the science curriculum.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357-387). NY: Macmillan.
  41. Esler, W. K., & Esler, M. K. (1993). Teaching Elementary Science (6th ed).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42. Hodson, D. (1998). Is this really what scientists do? Seeking a more authentic science in and beyond the school laboratory. In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pp. 93-108). London: Routledge.
  43. Johnstone, A. H., & Al-Schuaili, A. (2001). Learning in the laboratory; some thoughts from the literature. University of Chemistry Education, 5, 42-51.
  44.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45. Matthews, M.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NY: Routledge.
  46. Roth, W. (1995). Authentic School Science. Boston, MA: Kluwer Academic Publications.
  47. Woolnough, B. E. (1998). Authentic science in schools, to develop personal knowledge. In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pp. 109-125). London: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