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lanting Landscaping Pla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iver Sections - A Case Study on Godeokcheon(Stream) in Seoul -

도시하천 구간 특성에 따른 조경 식물 식재방안 연구 - 서울시 고덕천을 사례로 -

  • Moon, Yeong R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Han, Bong-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Park, Seok-Cheol (Institute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 문영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Received : 2024.01.10
  • Accepted : 2024.02.15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dequacy of landscaping plants in city streams by investigating the species and growth status of landscaping plants, taking Godeokcheon in Seoul Metropolitan City as an example. The stream structure related to the planting ground and the impact of flood damage were analyzed. The adequacy of the planting species was analyzed based on the native species and moist land-inhabiting plants presented in the preceding study results. The adequacy, depending on the planting location and planting form, was analyzed using the growth states of adaptive and nonadaptive species by river topography. The planting location of those along the waterfront was the best, followed by the plants on waterside hills and embankment slopes. It is thought that the adaptability of dryland-inhabiting plants increased as the soil dried due to the impervious pavement of surrounding bikeways and trails. The species adequate for embankment slopes are thought to be native species and dryland-inhabiting plants. It is thought that, for waterside hills, the planting rate of wetland-inhabiting plants should be increased, and for waterfronts, the planting rate of dryland-inhabiting plants should be decreased. As for the planting form, the growth state was the best when mixed species were planted and the worst when other plants appeared. For city streams, the planting rates of native species and wetland-inhabiting plants should be increased, and adequate plant species for each location should be selected.

도시하천 내 조경 식물은 하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도입 기준과 적정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고덕천을 사례로 조경 식물의 식재종 및 생육상태를 조사하여 도시하천 내 조경 식물의 식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식재지반 관련 하천구조와 침수피해 영향권을 분석하였다. 식재종 적정성은 선행연구 결과에 제시된 자생종과 습지성에 기준을 두고 분석하였다. 식재 위치 및 식재 형태에 따른 적정성은 하천 지형구조별 적응종과 부적응종을 생육상태로 분석하였다. 고덕천 습지성 식물의 식재비율은 교목이 가장 높았고, 관목이 가장 낮았다. 식재 위치별 식물의 생육상태는 수변에 식재된 식물이 가장 양호했고, 둔치, 제방 사면 순으로 나타났다. 도시하천은 자전거도로와 산책로의 불투수포장으로 인해 토양이 건조해지면서 건조지성 식물의 적응력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방 사면의 적정종은 자생종과 건조지성 식물로 판단되었다. 둔치는 습지성 식물의 식재비율을 높이고, 수변에는 건조지성 식물의 식재비율을 낮춰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재 형태에 따른 생육상태를 분석한 결과 혼합종을 식재했을 때 생육상태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단일종을 식재했으나 다른 식생이 출현한 경우가 가장 생육생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하천은 자생종과 습지성 식물의 식재비율을 높이고, 식재 위치에 적정한 식물종을 선정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구(2011) 고덕천 생태하천 정비공사 실시설계 보고서. 강동구 보고서.
  2. 강동구(2016) F.I.N.E 고덕천 2030 기본계획 보완 용역. 강동구 보고서.
  3. 강수학(2007) 도시하천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생태계 평가-청계천을 사례로-.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국토교통부(2016) 조경 설계기준. 국토교통부 보고서.
  5. 국토교통부(2019)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6. 김점규(2018) 도시하천 생태복원 시 초본류의 장마철 생존 적정성 분석 연구 - 경기도 포천천 생태복원 구간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명현, 권상준, 김창환(2002) 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진단 -남한강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5): 98-106.
  8. 박병관(2012) 생태하천 저수호안의 식재기반에 따른 식생복원 모델에 관한 연구-경기도 국가하천의 저수호안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박재철, 이석우, 정경숙, 김도균(2014) 하천둔치 경관 조성을 위한 식재식물의 생육적정성 분석-순천 동천 경관 식재지를 중심으로. 휴양및경관연구 8(4): 21-31.
  10. 배정희(2004) 도시하천의 횡단지형구조 및 호안구조에 따른 식생분포특성과 식생도입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양홍모(2017) 도시하천 제방 사면에 식재한 몇몇 벼과식물의 활착 및 군락유지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45(5): 42-59. https://doi.org/10.9715/KILA.2017.45.5.042
  12. 유승봉(2020) 수변생태벨트 식물현황 분석 및 식재수종 선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윤용한, 서수현, 이선영, 오득균, 주진희(2021) 옥상녹화에서 혼합식재에 따른 블루페스큐와 지피초화류의 생육반응.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4(5): 15-23. https://doi.org/10.13087/KOSERT.2021.24.5.15
  14. 유주한, 박경훈, 최진환(2014) 창원시 가음정천의 생태복원에 따른 귀화식물 특성 분석과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지 42(4): 48-59. https://doi.org/10.9715/KILA.2014.42.4.048
  15. 윤평섭(2001) 한국의 화훼원예식물. 서울: 교학사.
  16. 이경보, 김창환, 이덕배, 김종구, 박찬원(2004) 동진강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농학회지 23(1): 34-40.
  17. 이다경(2013) 중랑천 송정제방 녹지의 기능 활성화를 위한 식재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상돈, 김석철(2008) 도림천 수변지역 조성을 위한 생태적 관리방안 및 하천환경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10(3): 133-139.
  19. 이수동, 강현경, 장한솔(2010) 호안 녹화용 매트 시공 후 식생변화 모니터링 -성남시 탄천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3): 302-317.
  20. 이영희(2010) 생물종 다양성 회복을 위한 하천 복원용 종자의 적용. 하천과 문화 6(2): 62-69.
  21. 이용호, 강병화, 나채선, 양금열, 민태기, 홍선희(2011) 자연형 하천 복원공사 이후 식생관리에 의한 초본 식물상과 천이 -서울시 양재천 사례 연구-. 한국잡초학회지 31(1): 49-70. https://doi.org/10.5660/KJWS.2011.31.1.049
  22. 이유미, 박수현, 정승선(2002) 서울 중랑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71-286.
  23. 이정석, 이계한, 오찬진(2010) 새로운 한국수목 대백과 도감. 서울: 학술정보센터.
  24. 이창복(2014) 원색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25. 전승훈, 차윤정, 최정권(2000)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조성 후 3년간의 식물상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28(5): 76-86.
  26. 정연숙, 이우철, 조강현, 주광영, 민병미, 현진오, 이규송(2012) (우리나라 습지생태계) 관속식물의 유형분류. 춘천: 수생태복원사업단.
  27. 조형진, 우효섭, 이진원, 조강현(2008) 도시하천 양재천에서 복원 후 하안식생의 변화. 한국습지학회지 10(3): 111-124.
  28. 최일홍, 한봉호, 기경석(2010) 경기도 수원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이후 식생 변화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6): 723-734.
  29. 환경부, 한국환경공단(2011) 생태하천 복원 기술지침서. 환경부 보고서.
  30. Abramson, L. W., T. S. Lee, S. Sharma and G. M. Boyce(2002) Slope Stability and Stabilization Method.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pp. 530-545.
  31. Castelle, A. J. and A. W. Johnson(2000) Riparian Vegetation Effectiveness. National Council for Air and Stream Improvement, Inc., Technical Bulletin No. 799. pp. 1-26.
  32. Grime, J. P.(1979) Primary strategies in plants. In: Transactions of the Botanical Society of Edinburgh 43(2): 151-160. https://doi.org/10.1080/03746607908685348
  33. Mitsch, W. J. and J. G. Gosselink(2000) The value of wetlands: Importance of scale and landscape setting. Ecological Economics (35): 25-33.
  34. Mulder, C. P. H., D. D. Uliassi and D. F. Doak(2001) Physical stress and diversity-productivity relationships: the role of positive interactio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8(12): 6704-6708. https://doi.org/10.1073/pnas.111055298
  35. https://www.kbr.go.kr/content/view.do?menuKey=799&contentKey=174
  36. http://www.nature.go.kr
  37. https://www.treeinfo.net/plant/list.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