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aning of 'Human Affairs' in Daesoon Thought: Focusing on Its Relation to 'the Way of Heaven'

대순사상에서 '인사(人事)'의 의미 고찰 - '천도(天道)'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 Kim Eui-seong (Department of Daesoon Studies,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24.01.25
  • Accepted : 2024.03.25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The ideological context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kind (天人合一) is useful as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human affairs (人事)' in Daesoon Thought. In Daesoon Thought, the meaning of 'human affairs' occurs within the context of 'the Way of humans (人道)' being based upon 'the Way of Heaven (天道).' However, in Daesoon Thought, the characteristic of 'the Way of Heaven' originates from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上帝) and His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天地公事). Specifically, this entails the principle of 'what is devised by humanity (謀事在人), is achieved by Heaven (成事在天),' which is inverted to become 'what is devised by Heaven (謀事在天), is achieved by humanity (成事在人).' This is the principle of 'human affairs' that is reveal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y and Heaven is newly defined. In addition, the newly changed relationship between Humanity and Heaven is presented as the principle of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mutually guide one another (神人依導).' This principle clearly expresses 'human affairs' in the context of Daesoon Thought. Accordingly, the two directions in which 'human affairs' are completed are expressed as two stages: spiritual enlightenment (靈通) and the Harmonious Union between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神人調化). These two directions in which 'human affairs' pursues 'the Way of Heaven' show a depth beyond just encompassing transcendence and imman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y of Heaven' and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in particular, is a useful point for appreciating the how the meaning of 'human affairs' in Daesoon Thought differs from other uses of the term which occur elsewhere.

'천도(天道)'로부터 '인사'의 의미를 찾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사상적 맥락은 '인도(人道)'의 근거를 '천도'에 두면서 성립된다. 대순사상에서 '인사'의 의미 또한 기본적으로 '인도'의 근거인 '천도'라는 구조 속에서 도출된다. 하지만, '천도'와 '인사'의 관계는 특별하게 드러나고 있다. 대순사상에서는 '천도'의 개념이 이법적이며 본체적인 측면과 더불어 능동적인 의미로 확장되면서 고유한 '인사'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천도'가 지닌 이러한 특징은 상제의 천지공사(天地公事)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모사재인(謀事在人) 성사재천(成事在天)'의 원리가 '모사재천(謀事在天) 성사재인(成事在人)'으로 변화된다는 것은 인간과 하늘의 관계가 새롭게 규정되면서 드러나는 '인사'의 원리다. 또한 새롭게 변화된 인간과 하늘의 관계는 '신인의도(神人依導)'라는 신인관계의 원리로 제시되면서 대순사상이 지닌 '인사'의 원리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그에 따라 드러나고 있는 대순사상의 '인사'가 완성되는 두 가지 방향은 영통(靈通)과 신인조화(神人調化)라는 '인사' 완성의 두 가지 경지로 표현된다. '인사'가 '천도'를 지향하는 두 가지 경로는 초월성과 내재성을 포괄하는 차원에서 나아가 심화한 논점들을 보여주게 된다. 그중의 하나인 '천도'와 상제(上帝)의 관계에 관한 내용은 대순사상의 '인사'의미가 지닌 차이를 조망할 수 있는 지점이다. 대순사상의 '천도'는 상제의 천지공사에 의해 규정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상제의 초월성으로부터 연유되었다. 그러면서도 외적인 차원에서 '천도'와 합일을 이루는 '인사'완성이 긍정된다는 점에서 '인사'와 대비되는 '천도'의 초월성 또한 인정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다른 층위의 두 가지 초월성을 인정하는 관점은 절대적 유일신관과 대조되는 대순사상의 신관을 염두에 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4.
  3.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1969.
  4. 「도전 훈시」 (미발행 자료) 
  5. 고남식, 「전경에 나타난 신인조화: 성사재인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3, 1997.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7.3..015 
  6. 김의성, 「대순사상의 형이상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궁극적 실재를 중심으로」, 「철학논집」 42, 2015. https://doi.org/10.17325/sgjp.2015.42..423 
  7. 모종삼(牟宗三), 「중국철학 강의」, 김병채 외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11. 
  8. 미조구치 유조(溝口雄三) 외, 「중국사상문화사전」, 김석근 외 옮김, 서울: 민족문화문고, 2003. 
  9. 박인규, 「비겁(否劫)의 의미」, 「대순회보」 218,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9. 
  10. 성백효 역주, 「주역전의」,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4.
  11. 성백효 역주, 「맹자집주(孟子集註)」,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5. 
  12. 손흥철, 「천인합일의 성리학적 특성과 의미」, 「동서철학연구」 23, 2002. 
  13. 윤사순, 「유학의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에 대한 현대적 해석」, 「유교문화연구」 18, 2011. 
  14. 윤상철, 「「역경」의 천인합일관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15. 윤재근, 「신인조화에 나타난 신인관계 연구」, 「대순사상논총」 3, 1997.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7.3..017 
  16. 이경원, 「대순신관과 신인조화의 이상」, 「대순사상논총」 3, 1997.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7.3..005 
  17. 이광주, 「모사는 재천하고 성사는 재인이니라」, 「대순회보」 249,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21.
  18. 이종란, 「기란 무엇인가」, 서울: 새문사, 2017.
  19. 이종환, 「창조와 시간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해석」, 「기독교철학」 3-1, 2007. 
  20. 장립문, 「도」, 권호 옮김, 서울: 동문선, 1995. 
  21. 장별길, 「대순종교사상」, 여주: 대순진리회출판부, 1989. 
  22. 조원일, 「고대 중국의 천인관계론」,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020. 
  23. 존 쿠퍼(Cooper, John W.), 「철학자들의 신과 성서의 하나님」, 김재영 옮김,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4. 
  24. 차선근, 「수운과 증산의 종교사상 비교연구: 하늘관과 수행관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9, 2012. https://doi.org/10.21457/kars..69.201212.205 
  25. 최영진, 「유교사상의 본질과 현재성」,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2. 
  26. 최정락, 「도통진경에 이르는 두 가지 길: 대순진리회의 윤리적 수도와 신앙적 수도를 중심으로」, 「대순종학」 1, 2021. https://doi.org/10.23209/jods.2021.1.109 
  27. 최치봉, 「대순사상의 신 개념에 관한 연구: 「주역」의 신.신명.신도 개념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8,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8.0.267 
  28. 최치봉, 「중찰인사케 하옵소서」, 「대순회보」 249,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21. 
  29. 풍우란(馮友蘭), 「중국철학사」 상, 박성규 옮김, 서울: 까치, 1999. 
  30. 풍우(馮寓), 「동양의 자연과 인간이해: 중국의 천인관계론」, 김갑수 옮김, 서울: 논형, 2008. 
  31. 한국철학사전편찬위원회, 「한국철학사전: 용어편.인물편.저술편」, 서울: 동방의 빛,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