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ognizing the Value of Religious Cultural Heritage and Establishing a Preemptive Preservation Foundation: A Case Study on Cultural Heritage as Observed at the Headquarters of Daesoon Jinrihoe

종교 문화유산의 가치 인식과 선제적 보전 기반 마련 -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문화유산을 사례로 -

  • Received : 2024.01.25
  • Accepted : 2024.03.25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Designating and registering cultural heritages are actions taken to effectively preserve and utilize something's value as a form of cultural heritage. It is the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 that establishes a legal basis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starts with recognizing a given object, entity, or idea's value as a form of cultural heritage. Protecting and utilizing these forms of heritage properly can only occurs after something is recognized as a form of cultural heritage. In light of this, new religions, given their relatively short histories, naturally have fewer sites or objects designated or registered forms of cultural heritage. They tend not to actively recognize the value of the heritage they have inherited. Cultural heritage can be appropriately preserved when we recognize that it has potential value cultural and historical that can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in the future. Among the designated and registered forms of cultural heritage, those associated with religious culture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however, most of these are Buddhist. Since new religions have also been around for over 50 or even 100 years in some cases, they should have a foundation to proactively protect various items, sites, and traditions that may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in the future. Selecting and listing forms of cultural heritage to be protected, minimizes further change to instead focus on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This process also involves preparing internal regulations within the religious community regarding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research on cultural heritage values,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selected example of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comprehensive management, including cultural heritage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are necessary requirements for this process. Although potentially valuable as forms cultural heritage, many have items and sites end up damaged or go missing before they have a chance to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preserving and managing cultural heritage internally within religious communities is meaningful because it preemptively preserves that value even prior to formal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Daesoon Jinrihoe's Yeoju Headquarters Temple Complex, houses objects that have obvious value as cultural heritage such as Cheonggye-tap Pagoda. This pagoda and other comparable items at the headquarters should be properly and preemptively preserved in light of their cultural value.

문화재를 지정·등록하는 것은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활용하기 위함이다. 보전·활용 대상으로서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문화재 지정·등록이다. 이러한 문화재 보전과 활용은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그것이 문화재임을 알아차려야 보호해야 할 필요성을 알게 되고 활용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비추어 상대적으로 역사가 길지 않은 신종교들은 아직 문화재로 지정·등록된 것이 많지 않고, 자신들이 이어온 유산들이 갖는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인식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문화유산은 그것이 미래에 문화재로 지정·등록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가진 것임을 인식할 때 문화유산답게 보전할 수 있다. 지정·등록 문화재 중에서 종교 문화재의 비중이 크나, 불교 문화재가 대부분이다. 신종교들도 50년, 100년이 넘는 역사를 이어왔으므로, 미래에 문화재로 지정·등록될 가능성이 있는 것들을 선제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어야 한다. 보호 대상 문화유산 선정 및 목록 작성, 역사적·문화적 가치에 중점을 둔 현상 변경 최소화, 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종교계 내부 규정 마련, 역사적·문화적 가치와 보전·관리에 관한 연구 촉진, 문화유산과 그 주변 환경을 포함하는 포괄적 관리 등이 보전 기반 마련에 필요한 것들이다. 문화유산으로 가치가 있음에도 문화재로 지정·등록되기 전에 훼손되거나 없어진 것들이 많다. 종교계 내부적으로 실질적인 문화유산 보전·관리 기반을 갖추는 것은 문화재 지정·등록 이전에 그 가치를 선제적으로 보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청계탑 등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문화유산은 그 가치를 인식할 때 적절히 보전할 수 있고, 활용을 통한 가치 확산도 모색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재보호법」
  2. 권채리, 「비지정문화재 보호의 모색: 프랑스 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법학논집」 21-2, 2016. http://uci.or.kr/G704-SER000014565.2016.21.2.008
  3. 김진영, 「세계유산 관점에서의 대순진리회 도장의 가치」, 「대순사상논총」 35, 2020. https://doi.org/10.25050/jdaos.2020.35.0.393
  4. 류호철, 「근대문화유산의 보존 특성과 제도 및 정책 개선 방향」, 「근대문화 유산, 어떻게 보호하고 활용할 것인가?」 국회 토론회 자료집, 2023.
  5. 류호철, 「미지정문화재로서 불교 전통문화의 가치 인식과 그 의미」, 「동아시아불교문화」 51, 2022. http://uci.or.kr/I410-ECN-0102-2023-200-000708572 10-ECN-0102-2023-200-000708572
  6. 류호철, 「미지정문화재의 법적 성격과 보존.관리 기반 강화: 강원도 인제군의 미지정문화재 현황을 사례로」, 「역사민속학」 56, 2019. https://doi.org/10.22792/jkhf.2019..56.002
  7. 문화재청,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 2022」, 2023.
  8. 소현숙, 「예산(禮山) 사면석불(四面石佛)의 제작 시기와 성격, 그리고 백제의 대중교섭: 사면상(四面像)의 형식과 착의법을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 26, 2019. https://doi.org/10.17300/dah.2019.26.3
  9. 신영대, 「풍수지리로 본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91
  10. 오세권, 「'차용' 표현으로 본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尋牛圖)' 연구」,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60, 2020. https://doi.org/10.18555/kicpd.2020.60.08
  11. 차선근, 「대순진리회와 불교의 심우도 비교연구」, 「대순사상논총」 46, 2023. https://doi.org/10.25050/jdaos.2023.46.0.33
  12. 남미영, 「극장의 추억, 철거 대신 '보존' 길 열었다」, 《강원도민일보》 2020. 5. 11.
  13. 이세훈 기자, 「원주 문화유산 아카데미극장 철거 대신 활용 모색해야」, 《강원도민일보》 2023. 8. 25.
  14. 이인모 기자, 「'철거 갈등' 원주 아카데미극장, 역사의 뒤안길로」, 《동아일보》 2023. 11. 1.
  15. Tylor, Edward Burnett, "Primitive culture", New York: Harper, 1958[1871].
  16. 《국가문화유산포털》 www.heritag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