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7~8세기 중국 고승전의 정형화와 다양화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Chinese Biographies of the Eminent Monks in the 7th and 8th Century

  • 투고 : 2024.01.25
  • 심사 : 2024.03.25
  • 발행 : 2024.03.31

초록

7~8세기에 중국 불교는 가장 융성했고 주요한 종파들이 등장해 각기 다른 길을 갔다. 이러한 사실은 잇따라 저술된 여러 고승전과 그 체재의 성격 변화를 통해서도 드러났다. 6세기 초, 혜교(慧皎)는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의 역사를 담은 『고승전(高僧傳)』을 편찬했다. 이때 십과(十科)라는 체재를 마련했는데, 645년에 도선(道宣)은 이 십과를 기본틀로 삼아 『속고승전(續高僧傳)』을 편찬했다. 그러나 십과의 일부를 수정하고 보완함으로써 십과를 역사서에 걸맞은 체재로서 정형화했다. 『속고승전』 이후에는 십과를 변형한 체재를 갖춘 고승전들이 편찬되었다. 법장(法藏)은 『화엄경전기』(690년?)를 저술하면서 십과로 구성했으나, 과목들의 명칭과 의미가 화엄철학을 강조하는 쪽으로 크게 변했다. 이어 혜상(惠詳)은 『홍찬법화전(弘贊法華傳)』(706년?)을 편찬하면서 『고승전』과 『속고승전』의 십과를 바탕으로 새롭게 변형한 팔과(八科)를 갖추었고, 승상(僧詳)은 『화엄경전기』의 십과에 두 과목을 새로 추가한 십이과(十二科) 체재의 『법화전기(法華傳記)』(750년?)를 편찬했다. 두 고승전의 체재는 철학보다 신앙에 방점을 찍었다. 선종에서도 8세기 초부터 고승전이 잇달아 편찬되었다. 『전법보기(傳法寶紀)』(713년?), 『능가사자기(楞伽師資記)』(713년?), 『역대법보기(歷代法寶記)』(774년), 『보림전(寶林傳)』(801년) 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네 고승전의 체재는 이전과 전혀 달랐다. 어떠한 과목도 설정하지 않고, 스승에서 제자로 이어지는 계보를 세워 서술했다. 이는 선종이 경전에 의거하지 않고 수행자가 스스로 깨닫는 것을 요체로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처음에는 중국의 조사들만 입전하다가 『보림전』에 이르러서는 붓다 및 가섭 이하 27명의 조사들을 계보에 포함해 역사화했다. 이 허구적인 계보는 선종이 번성하면서 종파적 우월성과 정통성을 확보할 필요에 따른 것이었다.

In the 7th and 8th centuries, Chinese Buddhism was at its peak, and major sects emerged and began to differ from one another in significant ways. This fact was also revealed through several versions of Biographies of the Eminent Monks and changes observable in the peculiarity of their formats. In the early 6th century, Huijiao (慧皎) compiled Gaosengzhuan (高僧傳,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which contains the history of Buddhism after it was introduced to China. At this time, he established a new format called the ten-subjects (十科). In 645, Daoxuan (道宣) used these ten-subjects as the basic framework to compile Xu-Gaosengzhuan (續高僧傳). However,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some parts of the ten-subjects, he standardized the ten-subjects into a format suitable for historiography. After the Xu-Gaosengzhuan, several versions of Biographies of the Eminent Monks were compiled in a format that further modified the ten-subjects. Fazang (法藏) wrote Huayanjing zhuanji (華嚴經傳記, 690?) which consisted of the ten-subjects, but the names and meanings of the subjects changed significantly to emphasize the Avatamsaka philosophy. Subsequently, while compiling Hongzan fahuazhuan (弘贊法華傳, 706?), Huixiang (惠詳) compiled a newly modified list of eight-subjects based on the ten-subjects of Gaosengzhuan and Xu-Gaosengzhuan. Sengxiang (僧詳) compiled Fahua xhuanji (法華傳記, 750?) in the format of twelve-subjects which added two new subjects to the ten-subjects of the Huayanjing zhuanji. These two formats focused on faith rather than philosophy. Even in the Chan (Zen) schools, a series of Biographies of the Eminent Monks was compiled from the beginning of the 8th century. Chuan fabaoji (傳法寶紀, 713?), Lengqui shiziji (楞伽師資記, 713?), Lidai fabaoji (歷代法寶記, 774), and Baolin zhuan (寶林傳, 801) are all examples of such compilations. However, the format of these four Biographies of the Eminent Monks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prior versions. Without setting any subjects, the authors established and described a dharma lineage transmitted continually from master to disciple. This is because Chan Buddhism does not rely on Buddhist texts but focuses on monks achieving realization through other means. At first, only the Chinese patriarchs were listed, but starting with Baolin zhuan, 27 patriarchs including Buddha and Kasyapa were included in the dharma lineage and presented as history. This fictional lineage was based on the need to secure sectarian superiority and legitimacy as Chan Buddhism flourished.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3S1A5B5A16076036).

참고문헌

  1. 「高僧傳」, 고려대장경 32-764
  2. 「續高僧傳」, 고려대장경 32-908
  3. 「華嚴經傳記」, 大正新修大藏經 51-2073
  4. 「弘贊法華傳」, 大正新修大藏經 51-2067
  5. 「法華傳記」, 大正新修大藏經 51-2068
  6. 「傳法寶紀」, 「초기선종사 I」(야나기다 세이잔 주해, 양기봉 옮김, 서울: 김영사, 1999)
  7. 「楞伽師資記」, 「초기선종사 I」(야나기다 세이잔 주해, 양기봉 옮김, 서울: 김영사, 1999)
  8. 「歷代法寶記」, 「초기선종사 II」(야나기다 세이잔 저, 양기봉 옮김, 서울: 김영사, 1991)
  9. 「寶林傳」, 大藏經補編 14-0081. https://tripitaka.cbeta.org/B14n0081
  10. 「廣弘明集」, 大正新修大藏經 52-2103
  11. 「付法藏因緣傳」, 大正新修大藏經 50-2058
  12. 김호귀, 「선종의 법맥의식과 전등사서의 형성」, 「불교학보」 68, 2014. http://uci.or.kr/G704-001567.2014..68.001
  13. 정성본, 「선의 역사와 선사상」, 서울: 삼원사, 1994.
  14. 정천구, 「붓다의 신통에서 고승의 신이로」, 「대순사상논총」 39, 2021. https://doi.org/10.25050/jdaos.2021.39.0.215
  15. 정천구, 「중국 고승전의 체재 변화와 그 의미」, 「대순사상논총」 43, 2022. https://doi.org/10.25050/jdaos.2022.43.0.179
  16. 이부키 아츠시, 「중국 선의 역사」, 최연식 옮김, 서울: 씨아이알, 2011.
  17. 伊吹敦, 「唐僧慧祥に就いて」, 「早稲田大学文学研究科紀要別冊」 14, 1987.
  18. 市岡聡, 「「法華伝記」の撰者と成立年代について」, 人間文化硏究科」 18, 2012.
  19. 松森秀幸, 「「法華伝記」の成立年代と釈志遠伝」の位置づけについて」, 「印度學佛教學研究」 68-1, 2019.
  20. 的場慶雅, 「中国における法華経の信仰形態(一) - 法華伝記」, 「印度學佛教學研究」 31-1, 1982.
  21. 的場慶雅, 「中国における法華経の信仰形態(二) -「法華伝記」と「弘賛法華伝」における法華経の読誦と霊験説話について」, 「印度學佛教學研究」 32-2, 1984.
  22. 柳田聖山, 「初期禪宗史書の硏究」, 京都: 禪文化硏究所, 1967.
  23. 吉津宜英, 「華厳経伝記について」, 駒澤大学佛教学部論集 9, 1978.
  24. 王頌, 「《華嚴經傳記》考: 年代.撰者.史源」, 「文史」 128,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