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Child-Care Support Policy Strategies in Response to Declining Young Children's Population

영유아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보육현장 지원정책 제안

  • 김병만 (경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 정수정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강훈 (교육빅데이터연구소) ;
  • 임홍남 (서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정주 (춘해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4.03.15
  • Accepted : 2024.04.22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hild-care support policy strategy in response to the decrease in the population of children aged 0-5 years. This will be achieved by collecting opinions from a panel of experts on child-care support policies through a Delphi survey.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panel of 20 experts in child-care policy was selected,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ver three sessions. Data collec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underwent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ntent validity ratio, coefficient of variation, agreement, and convergence. Data processing was carried out using Excel 2016 and SPSS 26.0.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 child-care support policy strategy addressing the decrease in the population of children aged 0-5 years was developed, comprising three policy areas, nine policy tasks, and 38 detailed policy tasks.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will not only enable the preparation of a strategy for child-care support policy to address the decrease in the population of children aged 0-5 years but also offer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shaping the direction of child-care support policy in alignment with the common good.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전홍주 (2013). OECD 국가의 양육지원 정책과 출산율 분석: 현금지원 정책, 보육시설서비스 정책, 조세혜택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197-221. doi:10.14698/jkcce.2013.9.6.197
  2. 국회도서관 (2023). 저출산 대책: 한눈에 보기. 서울: 국회도서관.
  3. 김병만 (2012). 유아교육정책과 보육정책의 연구동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4), 5-31.
  4. 김병만 (2018a). 저출산 대책 육아정책 개발을 위한 유아교육.보육 전문가의 요구 및 전략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6), 505-515. doi:10.35873/ajmahs.2018.8.6.047
  5. 김병만 (2018b).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교육혁신연구, 28(4), doi:1-26.10.21024/pnuedi.28.4.201812.1
  6. 김병만 (2020a).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을 위한 상향식 정책방안 수립연구. 교육과 문화, 2(2), 59-72.
  7. 김병만 (2020b). 저출생 현상 대책을 위한 상향식 유아교육.보육정책 방안 수립 연구. 융합정보논문지, 10(3), 92-103. doi: 10.22156/CS4SMB.2020.10.03.092
  8. 김병만, 김미진 (2018). 새 정부 유아교육.보육정책 수립을 위한 19대 대선공약의 실현가능성및 중요도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108, 75-95. doi:10.37918/kce.2018.01.108.75
  9. 김병만, 황해익 (2015). 델파이 조사에 기반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113-142.
  10. 김정호, 홍석철 (2012). 보육료지원의 여성 노동공급 및 출산 효과 분석. 서울: 한국경제연구원.
  11. 박희준 (2024. 3. 7). [기고] 인구 감소...국가 존망 차원에서 다뤄야. https://www.imaeil.com/page/view/2024030413350888686에서 2024년 3월 7일 인출
  12. 서문희, 이혜민 (2014). [연구보고 2014-12] 영유아 교육.보육 재정 증가 추이와 효과: 2004-2014.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3. 손서영 (2023. 12. 3). 경쟁과 불안이 낮추는 출산율, 해법은?.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32306에서 2024년 3월 7일 인출
  14. 안다영 (2023. 10. 31). 아이 권하지 않는 사회...OECD가 본 한국 저출산 이유 [특파원 리포트]. https://news.kbs .co.kr/news/pc/view/view.do?ncd=7805919에서 2024년 3월 7일 인출
  15. 육아정책연구소 (2023). [연구자료 2023-01] 2022 영유아 주요 통계.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6. 윤정현 (2018). 아이 갖기를 주저하는 사회: 세상 을 바꾼 맬서스 의 고전 이론으로 바뀐 세상 을 다시 바라본다. 서울: 푸른길.
  17. 이강훈, 황해익 (2019). 델파이와 베이지안 기법을 활용한 유아기 놀이성 평가의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5), 891-923. doi:10.22251/jlcci.2019.19.15.891
  18. 이삼식 (2020). 한국 인구정책 변천과 시대적 함의. 세종: 한국개발연구원.
  19. 이소정 (2023). 저출산 분야 현안 분석 및 정책 발굴을 위한 심층 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이영욱 (2015). 보육료 지원정책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향. 세종: 한국개발연구원.
  21. 장인수, 이소영, 정희선, 고제이, 김세진 (2022). 2022년 저출산.고령사회 시행계획 및 핵심성과지표 개발 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장인수, 이지혜, 이선희, 이소영, 박종서(2023). 2023년도 저출산.고령사회 시행계획 수립 및 핵심성과지표 활용방안 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3.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05).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서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4.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10).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서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5.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15).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서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6.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20).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서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7. 정수정, 이강훈 (2022). 창의 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평가척도 개발: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교육과 문화, 4(1), 64-81. doi:10.23009/JEC.2022.4.1.64
  28. 정해주 (2024. 2. 28). 저출산위, "합계출산율 역대 최저...정책수요자 중심 대책 발굴하겠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01209에서 2024년 3월 7일 인출
  29. 정혜영, 강승지, 이연선 (2019).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저출산 정책시기별 연구동향 탐구: 영유아보육정책 제언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3(4), 821-844. doi:10.21459/kccr.2019.23.4.821
  30. 정혜영, 김병만 (2022). 빅데이터로 바라본 저출산의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유아교육.보육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132, 77-103. doi:10.37918/kce.2022.1.132.77
  31. 최병모, 김정호, 전영미 (2006). 세계화 및 지식기반경제시대에 대처하는 학교경제교육평가의 방향탐색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교육과정평가연구, 9(2), 205-230.
  32. 최혜영, 박진재, 신나리 (2017).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어린이집 운영 정책: 정책 고찰과 새 정부의정책 제언을 중심으로. 한보육지원학회지, 13(5), 21-41. doi:10.14698/JKCCE.2017.13.05.021
  33. 통계청 (2019). 장래인구특별추계(2017-2067년) 보도자료. 대전: 통계청.
  34. 통계청 (2024). 국가통계포털. 대전: 통계청.
  35. 홍석철, 정용관, 김상신 (2012). [2011년도 재정사업 심층평가 보고서] 저출산 대응 사업군 심층평가: 결혼.출산.육아 지원사업 중심으로. 세종: 한국개발연구원.
  36. Best, J. W., & Kahn, J. V. (2016). Research in education. Chennai, India: Pearson Education India.
  37. Duclos, E., Lefebvre, P., & Merrigan, P. (2001). A natural experiment on the economics of storks: evidence on the impact of differential family policy on fertility rates in Canada. Centre de recherche sur l'emploi et les fluctuations economiques, Universite du Quebec a Montreal (CREFE)= Center for Research on Economic Fluctuations and Employment (CREFE), University of Quebec, Montrea.
  38. Kalwij, A. (2010). The impact of family policy expenditure on fertility in western Europe. Demography, 47(2), 503-519. doi:10.1353/dem.0.0104
  39. Okoli, C., & Pawlowski, S. D. (2004). The Delphi method as a research tool: an example, design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s. Information & Management, 42(1), 15-29. doi:10.1016/j.im.2003.1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