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mentar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Through Fermi Estimate

초등 영재의 페르미 추정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분석

  • Heo, Jung-In (Samjung High School) ;
  • Noh, Jihwa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4.02.07
  • Accepted : 2024.02.27
  • Published : 2024.02.29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combining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eir work on Fermi estimation problems. The analysis revealed that gifted students exhibited strong logical validity and breadth but showed some weaknesses in divergent thinking abilitie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2008). 창의적 사고 지향 교수 모델 개발 및 적용. 제53차 한국과학교육학회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대회 구두발표. 
  2. 강순희 외 (2011).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수업 전략의개발 및 적용 효과 (제 III보). 대한화학회지, 1056-1073.  https://doi.org/10.5012/JKCS.2011.55.6.1056
  3. 구혜미 (2016). 중등 수학 영재와 일반 고등학생들의 지두력과 수학적 사고력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자.이경진.유솔아 (2005).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수학 교육과정 개발의실제. 교육과학사. 
  5. 김부윤.이지성 (2005). 수학에서의 창의적 태도의 측정 도구 개발과 그 적용.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1), 25-34. 
  6. 김영정 (2002).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인지과학, 13(4), 81-90. 
  7. 김홍원.김명숙.송상선 (1996). 수학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보고서 ( I ). 한국교육개발원. 
  8. 박인숙 (2010). 메타인지 기능을 강화한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봘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손아영 (2015). 가설설정에서 그럴듯한 점, 발전시킬 점, 우려되는 점으로 질문하는 활동의 일반 화학 탐구 실험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의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송설란 (2011). 페르미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력과 정당화 과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승우 (2010). 페르미식 문제에서 나타나는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문제해결 사고과정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한국전력 통계(2012). 발전설비 추이, 13-14. 
  14. 황혜정 외 (2016). 수학교육학신론. 문음사. 
  15. Arleback, J. B. (2009). On the use of Realistic Fermi problems for introducing mathematical modelling in school. The Montana Mathematics Enthusiast, 6(3), 331-364  https://doi.org/10.54870/1551-3440.1157
  16. Balka, D. (1974).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Arithmetic Teacher 21, pp.633-636.  https://doi.org/10.5951/AT.21.7.0633
  17. Carlson, J. E. (1997). Fermi problems on gasoline consumption. The Physics Teacher, 35(5), 308-309.  https://doi.org/10.1119/1.2344696
  18. Dirks, M. K. & Edge, D. R. M. (1983). Problem solving: Enrico Fermi and the bull moose. Vector, 40(3), 25-28. 
  19. Donald J. Treffinger & Scott G. Isaksen & K. Brian Dorval(2006). Creative problem solving : an introduction / 4th ed. 
  20. Efthimiou, C. J. & Llewellyn, R. A.(2007). Cinema, Fermi problems and general education, Physics Education, 42(3), 253-261.  https://doi.org/10.1088/0031-9120/42/3/003
  21. Hadamard. J. (1975). Essai sur la Psychologie de l'Invention dans Le Domaine Mathematicque. 정계섭 역(1990). 수학 분야에서의 발명의 심리학, 범양사. 
  22. Hosoya (2007). 地頭力, 홍성민 역, 지두력, 이레. 
  23. Kittel, A. & Marxer, M. (2005). Wie viele Menschen passen auf ein Fussballfeld? Mit Fermiaufgaben individuell foerdern, Mathematik Lehren, 131(Aug), 14-18. 
  24.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The Univ. of Chicago Press. 
  25. Peter-Koop, A. (2004). Fermi Problem i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s: Pupil's interactive Modeling Processes. University of Oldenburg, Germany. 
  26. Peter-Koop, A. (2005). Fermi Problem i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s: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modelling processes. APMC, 10(1), 4-8